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

강인욱, 이후석, 오대양, 정현승, 조원진, 배현준, 김동일 (지은이)
주류성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62464931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22-12-28

책 소개

고조선이 어떤 고고학적 배경 속에 출현하였으며, 또 어떤 과정을 거쳐 문화 정체성을 형성시켜 나갔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특히 비파형동검문화가 형성되고 발달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청동유물들이 어떤 맥락으로 정착되어 고조선의 무기와 제사 체계가 확립되었는지 주변 사회와의 관계 속에 규명하고자 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1부 고조선의 성립과 유라시아
1. 청동기시대 고대 북방 유라시아와 동북아시아의 네트워크 - 전차의 확산을 중심으로
- 강인욱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2. 유라시아 초원과의 교류관점에서 본 대릉하 유역의 상-주시기 청동예기와 고조선의 성립 - 강인욱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3. 상말주초 하북-요서지역의 정세와 기자조선
- 조원진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연구조교수)
4. 비파형동검 등장 이전 요서지역의 문화 변동 - 위영자문화를 중심으로
- 오대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전담조교수)

2부 고조선시대(=비파형동검문화)의 전개와 주변 지역
5 고조선문화권 청동기의 전개와 사회, 시대 구분
- 이후석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6 청동기시대 중국 동북지역과 기북지역의 교류사 - 비파형동검문화를 중심으로
- 김동일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7 요서지역 청동단검문화의 변천과 네트워크
- 정현승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8 요령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네트워크와 교류
- 이후석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9 비파형동검문화 성립 이후 요서지역의 토기문화 시론 - 점토대토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배현준 (동북아역사재단 초빙연구위원)

맺음말을 대신하여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소개

강인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고 러시아과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꾸던 고고학을 평생의 업으로 살고 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및 한국 고대사・고고학연구소 소장이다. 유라시아와 고조선의 고고학을 주로 연구하며 우리의 과거를 좁은 한반도의 틀을 벗어나서 넓게 보고자 한다. 지은 책으로는 『역사를 보다』 『사라진 시간과 만나는 법』 『황금, 불멸의 아름다움』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테라 인코그니타』 『유라시아 역사 기행』 등 다수가 있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 EBS ‘클래스ⓔ’에 출연했고 <한겨레>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에 칼럼을 연재하며 고고학의 진정한 매력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펼치기
오대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전담조교수 『북한지역의 청동기시대 묘제와 고조선 연구』(단국대학교출판부, 2020) 『요서지역의 청동기문화 : 문화접경·다양성·상호작용』(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고조선사 연구동향』(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 「금강하류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제사·의례적 성격 고찰」(『한국고고학보』125, 2022) 「송국리유적 석관묘의 특징과 성격 재검토」(『한국청동기학보』 28, 2021)
펼치기
배현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사연구소 초빙연구위원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Ⅰ- 선·원사시대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동북아시아 철기문화 연구의 새로운 움직임』(공저, 역사공간, 2018) 「세죽리-연화보유형 개념의 출현과 전개 - 해방 후~현재까지의 연구사 정리」(『백산학보』 123, 2022) 「출토 유물로 본 후기 십이대영자문화와 연문화의 네트워크」(『백산학보』 120, 2021) 「요서지역 전국 연문화의 전개와 그 배경 -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69, 2020)
펼치기
이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주류성, 2022, 공저)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Ⅰ- 선·원사시대 편』(동북아역사재단, 2020, 공저) 「남한지역 세형동검문화의 형성 과정」(『한국고고학보』 128, 2023)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한국고고학보』 111, 2019)
펼치기
정현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북방지역 주요 고고 유적』(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조선고고연구 해제집 1·2』(공저, 국립문화재연구원, 2017) 「북한~중부지역 청동단검문화의 변천과 교류」(『고고학』 20-2, 2021) 「遼西地區靑銅文化的形成與演變」(『靑銅器與金文』 4, 2020) 「중국 기북·요서지역 중원식동과의 전개와 계통」(『한국고고학보』 104, 2017)
펼치기
조원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ERICA 문화재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공저, 주류성, 2022), 「위만조선-漢나라의 전쟁 양상」(『군사』 118, 2021), 「고조선 중심지의 변천을 바라보는 최근 시각」(『선사 와 고대』 72, 2023), 「기자동래설의 성립 과정에 대한 검토」(『한국고대사연구』 109,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청동기로 본 중국 동북지역과 기북지역의 교류양상」(『한국고고학보』 2022-3, 2022) 「비파형·세형동검의 검병 구조와 전개 과정 고찰」 (『호남고고학보』 71, 2022) 「玉皇廟文化靑銅短劍硏究」(『北方民族考古』11, 2021, 중국) 「청동기시대 기북지역 반유목문화의 개념과 영역 -옥황묘문화와 낙타량유형을 중심으로-」(『고고광장』 28, 2021) 「옥황묘문화의 편년과 전개양상」(『한국상고사학보』 105, 2019)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