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일기연구와 근대의 재구성

동아시아 일기연구와 근대의 재구성

이성호, 이케다 유타, 진정원, 마츠다 시노부, 허펑차오, 옌하이젠 (지은이), 이정덕, 안승택 (엮은이)
논형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630원
20,2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000원 -10% 1100원 18,700원 >

책 이미지

동아시아 일기연구와 근대의 재구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일기연구와 근대의 재구성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357157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6-30

책 소개

‘생활일기’에서 동아시아의 근대를 성찰한다. 지역적으로 다양한 근대성들을 개인기록, 특히 생활현장에서의 실제 경험과 감각을 바탕으로 나날의 삶을 기록해나간 일기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려 한다.

목차

서문
1부 동아시아 일기 연구의 동향과 방법

1장 역사와 개인기록- 이케다 유타


1. 서론

2. 현황과 연구동향
일기론/ 문학 연구/ 정치사의 연구/ 저명인의 일기/ 전쟁체험의 일기

3. 농촌일기로부터의 고찰
다이쇼·쇼와기의 일기 보급/ 농촌민의 일기/ 자아의 기록/ 개인적인 기록의 역사성/ 일기의 자기교육기능

4. 맺으며

2장 일기 자료로 돌아본 대만사 연구 20년- 진정원


1. 들어가면서
2. 일기 사료의 등장과 정리
3. 대만인의 입장에서 다시 쓰는 대만사
4. 새로운 연구 방법의 모색
5. 나오면서

3장 한국에서의 일기연구와 근대성- 이정덕


1. 근대와 근대성
2. 조선시대 일기와 그 연구
궁중일기/ 양반들의 일기/ 사행일기(使行日記)/ 농촌 일기/ 근대논의

3. 개항기와 일제시대의 일기와 그 연구
농촌 일기와 연구/ 도시인 일기와 연구/ 전통을 전근대, 서양서 도입된 것을 근대라고 보는 근대인식

4. 해방 후 일기와 연구
농촌일기와 연구/ 도시일기와 연구/ 압축근대와 일기

5. 한국에서 일기를 통한 근대논의


2부 일기를 통해서 본 동아시아의 근대

4장 신생활운동으로 살피는 아시아의 전후- 마츠다 시노부


1. 들어가며

2. ‘생활’ 연구의 함의
현대 중국에 있어서의 ‘생활’/ 현대 일본에 있어서의 ‘생활’/ 과거 일본에 있어서의 ‘생활’

3. 『아즈미도쿠야일기』와 신생활운동
신생활운동이란 어떤 특징을 지닌 운동인가/ 『아즈미도쿠야일기』에 대하여/ 『아즈미도쿠야일기』에 있어서의 신생활운동

4. 신생활운동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5장 『관원선생일기』로 본 전후초기 대만대호여량 수매 문제- 허펑차오


1. 서론

2. 전후초기의 양식 결핍과 대호여량 수매의 실시

3. 지주들의 대호여량 수매에 대한 반응
등칙(等則)의 부실과 부세액의 과다 문제/ 수매가격 문제/ 벼농사를 짓지 않는 땅과 수확하지 못한 땅의 징실 문제

4. 정부의 조치
수매가격의 고수/ 양식위원회의 수요를 부정함/ 대부호에 대한 고발/ 대호에 대한 단속/ 경찰의 식량독촉

5. 결론

6장 왕위안화의 『90년대 일기』로 본 당대 중국의 변화- 옌하이젠


1. 왕원화와 그의 일기
2. 당대 중국 사회 자주성의 회귀와 한계
3. 왕원화 일기에서 본 당대 중국 사회생활의 변천
4. 결론

7장 1970년대 주민 동원과 농촌사회의 변동- 이성호


1. 농촌사회 개발의 두 측면

2. 자료의 특성

3. 국가의 농촌 근대화 전략
새마을운동과 주민 동원의 체계화/ 이데올로기적 동원/ 감시와 통제

4. 국가의 지적, 도덕적 지배와 주민의 자발적 동원

5. 농촌사회 권력구조의 변화

6. 맺음말

색인/ 필자소개

저자소개

이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 산학협력단 교수. 서울시의회 4·5대 의원,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타 소장,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상근부회장 등을 역임했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정책, 신재생에너지가 전문분야이다.
펼치기
이케다 유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야마구치대(山口大) 인문사회학과 교수
펼치기
진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 중앙연구원 대만사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일본 식민 통치기의 대만 사회, 특히 하층민과 주변인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從東亞看近代中國婦女敎育―智識分子對賢妻良母的改造」(2005), 「看不見的植民邊緣: 日治臺灣邊緣史讀本」(공저, 2012), 「東アジアの良妻賢母論―創られた傳統」(2006) 등이 있다.
펼치기
마츠다 시노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도쿄대(東京大) 역사문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일본사 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쇼와죠시대학 역사문화학과 교수(전임강사)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일본 근현대사이며, 신생활운동, 농회(農會), 전후사(前後事)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논저로 「新生活運動協?―一九四○年代∼一九六○年代半ば―」(공저), 「西山光一日記」(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허펑차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 국사관(國史館, Academia Historica) 연구원
펼치기
옌하이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경사범대학(南京師範大學) 중국사학과 교수
펼치기
이정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류학과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뉴욕시립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학교에서 글로벌융합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문화인류학을 가르치며 전북대 쌀삶문명연구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 서구와 동아시아의 상호작용과 차이가 어떻게 상상되고 재구성되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재미한인에 대해서는 백인의 지배전략과 인종차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21세기 한국의 문화혁명』, 『근대라는 괴물』, 『서구근대개념과 서구우월주의』, 『동아시아 심성체제』, 『다민족관계 속의 LA한인』(공저), 『글로벌시대의 재미한인 연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3578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