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권으로 꿰뚫는 탈핵

한권으로 꿰뚫는 탈핵

(핵 없는 세상을 위해 함께 만든 교과서)

김기진, 정욱식, 김영희, 이준택, 하미나, 김익중, 장정욱, 진상현, 이헌석, 정연미, 하승수, 김혜정, 양이원영, 윤순진, 석광훈, 이유진, 이성호, 박진희 (지은이), 천주교창조보전연대 (엮은이)
무명인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권으로 꿰뚫는 탈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권으로 꿰뚫는 탈핵 (핵 없는 세상을 위해 함께 만든 교과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88998277024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14-03-17

책 소개

후쿠시마 3주기를 맞아, 한국의 대표적인 탈핵전문가 18명이 공동집필한 책으로 핵발전의 기초 원리에서부터 핵심적인 문제점, 그리고 한국에서 그 대안을 모색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기획은 한국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환경단체이며, 후쿠시마 사고 이후 탈핵운동에 전념하고 있는 천주교창조보전연대가 했다.

목차

추천사 강우일 주교 5
추천사 이용훈 주교 9
발행사 양기석 신부 12

제1부 핵과 핵발전

1장 원자폭탄과 버려진 한국인 피폭자들 김기진(부산일보) 19
비극의 시작 : 원자폭탄 투하·19 얼마나 희생됐나·23 한국인 피해규모·26 한국인 피폭자들이 처한 현실·29 원폭피해자 실태조사·35 유전성에 대한 논란·38 특별법 제정·43 결론 : 한국의 원폭문제를 풀기 위한 제언·45

2장 핵실험과 핵보유 현황 정욱식(평화네트워크) 47
2000회가 넘는 핵실험·47 핵무기 보유국은?·50

3장 세계 핵발전소 중대사고 김영희(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 53
들어가며·53 쓰리마일 핵발전소사고·54 체르노빌 핵발전소사고·57 후쿠시마 핵발전소사고·65 중대사고 발생가능성에 관하여·83 맺으며·84

4장 핵발전의 원리와 구조 이준택(건국대학교) 87
핵분열의 발견·87 핵연료의 농축과 감속재·90 핵분열생성물의 생성과 방사능·92 원자로(핵발전소)의 구조와 종류·98 핵발전소는 즉각 폐지해야 한다·103

제2부 핵발전의 문제점


5장 방사선 노출의 건강영향 하미나(단국대학교) 107
방사선 노출의 건강영향·107 저선량 방사선 노출과 암·109 자연방사선·111 의료방사선·113 결론·117

6장 한국인의 피폭경로 김익중(동국대학교) 121
방사선에 피폭되면 인체에 어떤 손상이 오는가?·121 방사선의 세 가지 출처·122 네 가지 피폭경로·123 반감기·125 세 가지 출처별 피폭경로·126 여성과 어린이가 방사능에 더 민감하다·127 피폭량을 줄이는 방법-자연방사선·128 피폭량을 줄이는 방법-병원방사선·129 피폭량을 줄이는 방법-인공방사선·130 핵산업계의 방사선 위험평가 축소방법1-‘기준치 이하라서 안전하다’·131 기준치의 단위·131 기준치는 나라마다, 상황마다 달라진다·132 기준치는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가?·134 ALARA 원칙에 맞는 적절한 기준치·135 요오드 기준치가 불검출이어야 하는 이유·136 핵산업계 방사선 위험평가 축소방법2-세슘과 요오드만 평가한다·137 스트론튬의 위험성·139 우리나라 핵발전소 주변 방사성물질 오염 실태·140 국민 피폭량을 줄이기 위한 제언·140

7장 파이로·프로세싱과 고속로 장정욱(마쓰야마대학교) 143
들어가기·143 파이로·프로세싱(Pyro-processing)·146 고속로(Fast Reactor)·161 맺는 말·172

8장 세계의 사용후핵연료 정책 진상현(경북대학교) 176
사용후핵연료 처리에 관한 인류의 고민·176 처분장 건설에 실패한 미국·179 연구개발 단계의 프랑스·181 부지선정 중인 영국·186 부지 확정 직전 단계의 스웨덴·190 영구처분장을 건설 중인 핀란드·195 논의와 합의 없이 강행하려는 한국·198

9장 원자력손해배상제도의 현황과 과제 장정욱(마쓰야마대학교) 203
미완성 기술인 핵의 이용과 사고 리스크·203 <원배법>의 기본원칙·204 사고방지 기능과 낮은 배상조치액·207 배상조치액의 증액방법·209 <보상계약법>의 폐지와 국제협약·211

10장 핵발전을 둘러싼 차별과 불평등-환경부정의 사례로서의 핵발전 정책 이헌석(에너지정의행동) 214
왜 서울엔 핵발전소가 없을까?·215 온배수 : 거대한 발전소가 갖는 문제점·218 핵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은 어디로?-765kV 송전선 문제·220 우라늄 채광에서 폐기과정까지 나타나는 다양한 환경파괴·223 인류의 역사와 기술을 뛰어넘는 핵폐기물과 폐로 문제·226 비효율과 환경파괴의 상징, 양수발전소·228 상업적 발전과 군사용 사이의 불명확한 경계·230 핵사고만 생각해서는 안 되는 핵발전의 문제점·232

11장 핵발전과 경제성 정연미(중앙대학교) 234
핵발전의 비용·234 핵발전산업의 몰락이 가시화되고 있다·235 전 세계적으로 핵발전 비용은 증가하고 있다·237 핵발전 해체비용과 사고비용은 얼마인가·239 한국의 핵발전 비용은 과연 저렴한가·242 핵발전은 경제적 대안이 될 수 있는가·246 경제성 평가의 한계, 어떤 에너지 미래를 선택할 것인가·248

12장 초고압 송전선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하승수(녹색당) 252
발전-송전 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점·252 초고압 송전선으로 인한 피해들·256 고압 송전선으로 인한 피해와 <송주법>·258 초고압 송전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과제·261

제3부 한국의 핵발전과 대안 모색


13장 한국 핵발전의 역사와 탈핵운동 김혜정(시민방사능감시센터) 267
들어가는 말·267 한국 핵발전의 역사·269 한국의 핵발전 현황·271 핵발전 추진세력과 정치권·272 반핵운동의 역사와 한계·274 핵산업계의 핵발전 확대 전략·277 후쿠시마 이후 탈핵운동의 동향과 변화·278 탈핵운동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고 있는 밀양송전탑 반대운동·282 후쿠시마 이후 탈핵운동의 평가와 시민사회의 과제·285

14장 한국의 핵발전소 현황과 안전 양이원영(환경운동연합) 288
핵발전소 밀집도 세계 최고에 지진 가능성 높아·288 핵발전소 겹겹이 안전장치, 그래도 중대사고 발생·292 핵발전소 안전 비리 원인1-규제당국의 무능·294 핵발전소 안전 비리 원인2-핵발전 위주 전력수급정책·296 비행기 사고 등과 비교할 수 없는 핵발전소사고의 특징·299 만의 하나, 사고 시를 대비한 핵발전소사고 모의실험·299 한국 최초의 핵발전소사고 모의실험·302 월성핵발전소 사고 시 최대 90만명 인명피해와 1019조원의 경제피해·305

15장 전력정책 윤순진(서울대학교) 309
한국 전력소비의 과거와 현재·309 최근 전력 위기의 본질·313 한국의 전력정책·320 결론·327

16장 왜곡된 국내 에너지가격구조와 개선방향 석광훈(에너지시민연대) 329
서론·329 국내 에너지가격구조의 근원과 왜곡현황·330 이명박 정부 전기요금 및 핵발전정책으로 인한 비용·339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가격개선 성과와 문제점·341 에너지가격구조의 개선방향·347 결론·349

17장 핵발전의 대안-수요관리 윤순진(서울대학교) 350
수요관리의 의미와 유형·350 수요관리정책 현황과 문제점·355 대안의 모색·357

18장 탈핵을 위한 에너지 대안, 지역에너지 이유진(녹색당) 361
탈핵 에너지 대안 정책과 탈핵정치 세력화·362 지역에너지 체제로의 전환-서울시 ‘원전하나줄이기’와 ‘탈핵·에너지전환도시 선언’·367 탈핵운동과 시민들의 에너지전환 활동·372

19장 세계 재생에너지 동향 및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정책 이성호(전북대학교) 376
세계 재생가능에너지(renewable energy) 동향·376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정책 및 동향·383 우리나라의 재생가능에너지 잠재량·387 우리나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의 방향과 과제·390

20장 해외 에너지 전환 사례와 그 시사점 박진희(동국대학교) 393
지역 에너지 전환 사례·394 에너지 전환 사례가 주는 시사점·407

저자소개

하승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4년째 휴업 중인 변호사이고, 전직 대학교수다. 20대 국회 4년 동안 원내외 정당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을 연결하여 선거제도 개혁을 성사시키려고 노력했다. 전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전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전 국회 정치개혁특위 자문위원, 전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했고, 지금은 녹색전환연구소 기획이사, 세금도둑잡아라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여전히 한국정치의 변화를 위해서는 선거제도 개혁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 저서로 『지역, 지방자치, 그리고 민주주의』, 『청소년을 위한 세계인권사』, 『착한 전기는 가능하다』,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삶을 위한 정치혁명』, 『배를 돌려라 : 대한민국 대전환』, 함께 쓴 책으로 『행복하려면 녹색』, 『세상을 바꾸는 힘』, 『껍데기 민주주의』, 『삐딱할 용기』 등이 있다.
펼치기
정욱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평화 연구자, 활동가.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평화’라는 믿음으로 1999년 평화네트워크를 설립해 핵과 전쟁 없는 세상, 모두가 공평하게 누리는 평화를 상상하고 궁리해왔다. 2021년부터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을 겸임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석사 학위(군사안보 전공)를 받았다. 통일부 등 정부기관과 서울시·경기도 등에서 자문위원을 지냈다. 2006-2007년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방문학자로 한미동맹과 북핵문제를 연구했다. 20여 년간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군축·반핵·평화체제에 천착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제8회 리영희상(2020)을 수상했다. 주요 저작으로 《핵과 인간》 《MD본색》 《사드의 모든 것》 《한반도의 길, 왜 비핵지대인가?》 《흥미진진 핵의 세계사》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북한이 온다》 《청소년에게 전하는 기후위기와 신냉전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일보 편집국 부국장. 한국전쟁 중 민간인 학살, 히로시마 원폭 사건 진상규명 활동을 하고 있다. 관련 저서 세 권을 냈고, 국립중앙도서관에 컬렉션을 구축했다.
펼치기
윤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숙명여고에서 정치경제와 사회문화를 가르쳤습니다. 4년의 교사 생활 이후 미국 델라웨어대학교에서 도시행정과 공공정책 석사학위, 환경에너지정책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서울시립대 행정학과를 거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과 협동과정 환경교육 전공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환경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하였습니다.
펼치기
이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녹색전환연구소장. 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연구와 활동을 하고 있다. 녹색연합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을 지냈다. 국무총리 그린뉴딜 특보, 서울에너지공사 이사,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으로 역할했다. 저서로 『원전 하나 줄이기』, 『전환도시』, 『태양과 바람을 경작하다』가 있다. 2021년 ‘들불상’을 받았다.
펼치기
이헌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생운동 시절부터 환경운동을 해왔으며, 청년환경센터와 에너지정의행동 대표 등을 맡았다. 화력발전소, 핵발전소, 핵폐기장, 송전탑 문제로 싸우고 있는 지역주민들과 20여 년째 연대운동을 해왔다. 영흥도 석탄화력발전소, 삼척과 영덕 핵발전소, 밀양 송전탑 반대운동 등에 참여했고, 국가에너지시민회의, 반핵국민행동, 핵없는 사회를 위한 공동행동, 탈핵지역대책위원회 등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간 연대체의 사무국 활동을 계속해왔다.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집행위원, 정의당 기후에너지정의특별위원회 위원장, 녹색정의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 탈핵신문 운영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그린뉴딜과 신공항으로 본 대한민국 녹색시계』(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하미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WHO 서태평양 사무국 기후변화와 건강정책 전문가 자문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 진흥본부 건강기반구축단장,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관을 역임했다. 주로 환경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있으며, 화학물질, 방사선 및 전자파 노출의 건강영향, 특히 어린이의 성장 발달 및 건강에 대해 270여 편의 연구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저서로는 『환경보건정책입문』(공저, 2022), 『방사능 상식사전』(공저,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익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생물학과 면역학을 전공한 동국의대 교수이다.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의 안전성 평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반핵 운동을 시작해 후쿠시마 핵 사고 이후에는 원자력 발전 자체의 위험성을 깨닫고 탈핵 운동으로 전환했다. 핵으로부터의 탈피를 의미하는 탈핵을 위해 『한국 탈핵』(2013, 한티재) 등의 책을 저술했고, 현재까지 1,200회 이상의 탈핵 강의를 했다. 탈핵에너지교수모임, 반핵의사회 등의 설립에 참여하고 현재도 이 단체들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박진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부교수이자,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소장. 2003년 에너지전환 이사로 재생가능에너지 정책 연구를 시작했다. 논문으로 「독일 탈핵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시사점」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변호사로, 탈핵법률가모임 해바라기 대표. 재벌개혁과 소액주주운동을 주로 하는 경제개혁연대 부소장으로 활동하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핵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탈핵운동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이준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1년 독일 마르부르크대학(Marburg University)에서 고에너지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래, 1992년부터 건국대학교에서 핵물리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정연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DAAD-독일유럽연구센터 연구전담교수.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환경정책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김혜정 (해설)    정보 더보기
1988년부터 지금까지 환경운동가로 살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의 사무총장을 역임했고, 후쿠시마 원전사고 뒤로 젊은 엄마들과 함께 탈핵운동의 대중화 와 원자력 안전 규제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방사능 시대를 살아가는 엄마 들에게》(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양이원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환경운동연합 처장. 1997년부터 환경운동연합 반핵운동 담당 간사였고, 2005년에 공공정책학과 경영학을 대학원에서 공부했고, 현재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에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석광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에너지시민연대 정책위원. 녹색연합에서 핵·에너지 담당으로 활동했고, 영국 서섹스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수료했다. 국가에너지위원회 전문위원, 일본 도쿄대 법정대학원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펼치기
이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 산학협력단 교수. 서울시의회 4·5대 의원,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타 소장,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상근부회장 등을 역임했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정책, 신재생에너지가 전문분야이다.
펼치기
장정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경남 마산 출생으로 일본 마쓰야마(松山)대학 경제학부 교수이며 일본환경회 의(JEC) 이사다. 일본 쿄토(京都)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를 졸업한 경제학박사로 전공분야는 원자력정책, 환경경제론, 지방재정론이다. 공저로 천주교창조보전연대에서 엮은 <한 권으로 꿰뚫는 탈핵/파이로프로세싱과 고속로>가 있다. <일감법학> 제24호, 2014년 2월호에 ‘후쿠시마사고와 원자력손해배상 제도’를 실었으며 주간경향에 <장정욱 교수의 탈핵을 꿈꾸며>를 연재했다. 현재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에 다수의 칼럼을 싣고 있다.
펼치기
천주교창조보전연대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환경단체로, 하느님께서 만드신 창조세계 보전과 인간 존엄성을 위해 활동하고 있고, 후쿠시마사고 이후 탈핵운동에 전념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