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63810485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1-04-21
책 소개
목차
1장 연구 개요
Ⅰ. 연구 목적 9
Ⅱ. 현지조사 개요 10
2장 장흥 농악의 전승배경과 현황
Ⅰ. 장흥군의 역사문화적 배경 17
1. 지리적 위치로 본 장흥 17
2. 역사 속의 장흥 19
3. 전통기반에 민속이 조화를 이룬 장흥문화 23
Ⅱ. 장흥 농악의 전승현황 25
3장 장흥 농악의 전승양상
Ⅰ. 장흥읍
1 장흥읍 농악의 현황 35
2 장흥읍의 농악 36
3 장흥읍 줄다리기 54
4 장흥 군민의 날 및 보림문화제 56
Ⅱ. 관산읍
1. 관산읍 농악의 현황 59
2. 방촌마을의 농악 61
3. 산서마을의 농악 90
4. 우산마을의 농악 112
5. 고읍마당의 농악 117
Ⅲ. 대덕읍
1. 대덕읍 농악의 현황 127
2. 오산마을의 농악 128
Ⅳ. 부산면
1. 부산면 농악의 현황 131
2. 호계마을의 농악 132
Ⅴ. 안양면
1. 안양면 농악의 현황 167
2. 사촌마을의 농악 172
3. 수문마을의 농악 211
Ⅵ. 용산면
1. 용산면 농악의 현황 231
2. 장전마을의 농악 234
3. 어동마을의 농악 250
Ⅶ. 장동면
1. 장동면 농악의 현황 269
Ⅷ. 장평면
1. 장평면 농악의 현황 270
2. 우산마을의 농악 272
Ⅸ. 회진면
1. 회진면 농악의 현황 304
2. 대리마을의 농악 306
3. 노력마을의 농악 322
4장 장흥 농악의 특징과 계승방향
Ⅰ. 장흥 농악의 지역적 특징
1. 풍어 기원과 개부르기 349
2. 농촌 두레꾼들의 일놀이와 농악 351
3. 집단성을 강조한 치배구성 352
4. 북놀이의 발달과 버꾸놀이 354
Ⅱ. 장흥 농악의 음악적 특징
1. 질굿 장단의 유형과 음악적 구조 355
2. 삼채-휘모리-넘기는 가락의 활용 양상 361
3. 버꾸놀이의 실체와 음악적 특성 364
Ⅲ. 장흥 농악의 보존과 계승방향
1. 장흥 농악의 보존 의미 369
2. 장흥 농악의 계승방향 371
[부록] 탐진댐 수몰지구(유치면)의 농악
1. 유치면 농악의 현황 377
2. 단산마을의 농악 378
3. 늑룡마을의 농악 386
4. 신풍마을의 농악 386
5. 농악과 광대놀이 393
참고문헌 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