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흥의 농악

장흥의 농악

(버꾸놀이의 신명)

나승만, 이경엽, 이윤선, 송기태, 김혜정, 박종오 (지은이)
심미안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흥의 농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흥의 농악 (버꾸놀이의 신명)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63810485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1-04-21

책 소개

장흥 농악의 전승현황을 조사하고 기록한 책이 나왔다. 장흥군에는 특색 있는 가락과 벅구(버꾸)놀이, 농악 문서 등이 전해지고 있지만 그 현황이 파악되지 않은 상태다. 장흥 농악의 역사·문화적 배경 및 음악사적 배경, 연행 양상, 전승 과정, 음악적 특징 및 악보, 주요 연희자의 이력과 전수 및 전승실태 등이 파악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이 책에서는 그것을 정리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목차

1장 연구 개요
Ⅰ. 연구 목적 9
Ⅱ. 현지조사 개요 10

2장 장흥 농악의 전승배경과 현황
Ⅰ. 장흥군의 역사문화적 배경 17
1. 지리적 위치로 본 장흥 17
2. 역사 속의 장흥 19
3. 전통기반에 민속이 조화를 이룬 장흥문화 23
Ⅱ. 장흥 농악의 전승현황 25

3장 장흥 농악의 전승양상
Ⅰ. 장흥읍
1 장흥읍 농악의 현황 35
2 장흥읍의 농악 36
3 장흥읍 줄다리기 54
4 장흥 군민의 날 및 보림문화제 56
Ⅱ. 관산읍
1. 관산읍 농악의 현황 59
2. 방촌마을의 농악 61
3. 산서마을의 농악 90
4. 우산마을의 농악 112
5. 고읍마당의 농악 117
Ⅲ. 대덕읍
1. 대덕읍 농악의 현황 127
2. 오산마을의 농악 128
Ⅳ. 부산면
1. 부산면 농악의 현황 131
2. 호계마을의 농악 132
Ⅴ. 안양면
1. 안양면 농악의 현황 167
2. 사촌마을의 농악 172
3. 수문마을의 농악 211
Ⅵ. 용산면
1. 용산면 농악의 현황 231
2. 장전마을의 농악 234
3. 어동마을의 농악 250
Ⅶ. 장동면
1. 장동면 농악의 현황 269
Ⅷ. 장평면
1. 장평면 농악의 현황 270
2. 우산마을의 농악 272
Ⅸ. 회진면
1. 회진면 농악의 현황 304
2. 대리마을의 농악 306
3. 노력마을의 농악 322

4장 장흥 농악의 특징과 계승방향
Ⅰ. 장흥 농악의 지역적 특징
1. 풍어 기원과 개부르기 349
2. 농촌 두레꾼들의 일놀이와 농악 351
3. 집단성을 강조한 치배구성 352
4. 북놀이의 발달과 버꾸놀이 354
Ⅱ. 장흥 농악의 음악적 특징
1. 질굿 장단의 유형과 음악적 구조 355
2. 삼채-휘모리-넘기는 가락의 활용 양상 361
3. 버꾸놀이의 실체와 음악적 특성 364
Ⅲ. 장흥 농악의 보존과 계승방향
1. 장흥 농악의 보존 의미 369
2. 장흥 농악의 계승방향 371

[부록] 탐진댐 수몰지구(유치면)의 농악
1. 유치면 농악의 현황 377
2. 단산마을의 농악 378
3. 늑룡마을의 농악 386
4. 신풍마을의 농악 386
5. 농악과 광대놀이 393

참고문헌 403

저자소개

나승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다. 민중생활사 전공, 민요 소리꾼들의 생활사, 어민들의 생활사, 일인 자영업자, 도시 노동자들의 생활사를 연구하고 있다. 『노래를 지키는 사람들』(고혜경 공저), 「소포리 노래방 활동에 대한 현지연구」, 「민중 생애담 조사법」, 「민중주의민속학과 우리민속학의 전망」, 「임자도 새우잡이 젓중선의 어로민속지」, 「문화론적 지역활성화를 위한 문화자원 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경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구비문학과 민속학 전반에 대해 연구하면서 전통을 오늘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해석하는 것에 집 중하고 있다. 우리의 삶을 다채롭게 일구어온 민속문화의 내력을 탐구하고 그 속에 담긴 이야기, 연대와 공감의 의미를 현재화하 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다. 『네 가지 열쇠말로 읽는 섬의 민속학』, 『상례놀이의 문화사』, 『진도강강술래』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이윤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 이정숙 방송통신대학교 국문과 졸업 2000년 《자유문학》 등단 한국문인협회, 현대시인협회, 기독교문인협회 회원 제5회 노원 문학상 제20회 허난설헌 문학상 前 솔로몬유치원, 놀이방 운영 논술교사 시집 『첼로가 갇힌 방』 『인간, 그 쓴이름으로 오고 가지 말자』 『저 바보가 나를 사랑이라 한다』 『낙엽 한 장의 시비』 『절룩이는 풍광 그리고 삶과 나』 『비익조』 『시인, 벼랑 끝에서도 노래했다』 『울음꽃』 『밥 빚과 동행 빚』 『통장 보고서』 『이윤선의 밥살이』 『그렁그렁』 『산』 『니가 풀을 이기니?』 『광릉숲 단상』 『백사마을』 어른이 읽는 동화 『개똥밭』 『별사탕』 『업이 언니』 서한집 『무궁화병에게』 자서전 『뜨거운 가족』
펼치기
송기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의 HK교수. 예능민속과 어촌민속을 주로 연구하는 민속학 연구자다. 그동안 전남 남해안 지역에서 군고·금고·군기 등으로 불리는 풍물굿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왔고, 호남지역 전문예인들의 풍물굿 전승에도 관심을 기울여왔다. 풍물굿 외에도 무속과 연희 등의 예능민속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어촌의 생업과 바다경작漁耕 등의 어촌민속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논문 「마을농악의 전승구도 변화와 현실 대응」(2015) 「서남해 무레꾼 전통의 변화와 지속」(2015) 「거문도 바다사람의 자긍심과 민속전승의 원동력」(2014) 「다도해지역 공동체 헌식(獻食)의 전승기반과 제의적 위상」(2013) 「조도군도 관매도의 미역밭 경작과 생업전략」(2013) 「풍물굿 예능의 소통과 원형 창출」(2011) 「양식어업에 따른 생태인지체계의 변화와 해산물 부르기 의례의 진화」(2011) 「어경(漁耕)의 시대, 바다 경작의 단계와 전망」(2011) 「서남해안지역 걸립 문서에 나타난 지향과 문화적 권위」(2010) 「풍물굿의 군사적 의미화 연구」(2010) 「마을굿에서 풍물굿의 제의수행과 구조」(2008) 「풍물굿 대포수의 양면성」(2007) 「세습무계집단의 풍물굿 연행과 지역풍물굿의 전승」(2007) 「씻김굿 무구(巫具)의 기능과 극적 의례성」(2007) 「전남 남해안지역 절걸립패의 활동 및 성격 고찰」(2006) 「호남풍물굿의 전승과 전문예인집단 연희의 수용」(2005) 주요저서(공저) 『농악 현장의 해석』(2014) 『화순의 농악』(2013) 『목포권 다도해와 류큐열도의 도서해양문화』(2012) 『유순자 상쇠와 호남여성농악』(2012) 『섬과 바다의 문화읽기』(2012) 『고창농악을 지켜온 사람들의 삶과 예술세계』(2010) 『장흥의 농악』(2010) 『호남의 곽머리씻김굿』(2009) 『고창농악』(2009) 『호남의 초분이장굿』(2008) 『고흥 월포농악』(2008) 『구례 잔수농악』(2008)
펼치기
김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펼치기
박종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박사(구비문학 전공) 현재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논문 「공동체 신앙과 씨족 인물의 신격화」, 「‘섯구덩이’를 이용한 자염 생산방식 고찰」, 「홍어잡이와 관련된 어로신앙의 변화」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