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치와 비전 3

정치와 비전 3

(서구 정치사상사에서의 지속과 혁신)

셸던 월린 (지은이), 강정인, 김용찬, 박동천, 이지윤, 장동진, 홍태영 (옮긴이)
후마니타스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20,700원 -10% 0원
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치와 비전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치와 비전 3 (서구 정치사상사에서의 지속과 혁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기타
· ISBN : 9788964371886
· 쪽수 : 479쪽
· 출판일 : 2013-08-19

책 소개

미국의 대표적인 정치철학자 셸던 월린의 대표작. 3권으로 분권되어 그간 초판에 해당하는 <정치와 비전 1>, <정치와 비전 2>로 출간된 바 있으며, 이번에 출간된 <정치와 비전 3>은 새롭게 추가된 7개 장의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제1권┃정치철학과 철학, 플라톤, 루터, 칼빈
제1장_정치철학과 철학
제2장_플라톤:정치철학 대 정치
제3장_제국의 시대:공간과 공동체
제4장_초기 기독교 시대:시간과 공동체
제5장_루터:신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제6장_칼빈:프로테스탄티즘의 정치적 교육

제2권┃마키아벨리, 홉스, 로크, 루소, 생시몽, 레닌
제7장_마키아벨리:정치 그리고 폭력의 경제학
제8장_홉스:규칙의 체계로서 정치사회
제9장_자유주의 그리고 정치철학의 쇠락
제10장_조직화의 시대 그리고 정치의 승화

제3권┃마르크스, 니체, 포퍼, 듀이, 롤스 그리고 탈주적 민주주의
제11장_근대적 힘에서 탈근대적 힘으로
제12장_마르크스: 프롤레타리아트 정치경제학의 이론가인가, 붕괴되지 않는 자본주의의 이론가인가?
제13장_니체: 시대를 앞서 간 전체주의자, 탈근대인
제14장_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주의의 정치
제15장_자유주의적 정의와 정치적 민주주의
제16장_힘과 형식
제17장_탈근대적 민주주의: 가상의 것인가 아니면 탈주적인 것인가?

저자소개

쉘던 월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월린은 현재 생존해 있는 미국의 대표적 정치사상가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오벌린 대학교를 졸업한 후 제2차 세계대전에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했다. 1950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보수주의와 헌정주의 : 1760~1785년 기간의 영국 헌정 사상에 대한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취득 후 잠시 오벌린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다가 1954년부터 1970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버클리 대학교의 정치학과에서 강의했다. 버클리 대학교에서 월린은 존 샤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학술 활동을 했으며, 두 사람 모두 1960년대 버클리 대학교의 학생 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970년 학내 분규로 말미암아 월린은 버클리 대학교를 떠나게 되었으며, 잠시 캘리포니아주립 산타 크루즈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다가, 1973년에 프린스턴 대학교 정치학과로 옮겨 1987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면서 정치사상을 연구하고 강의했다. 프린스턴 대학교 재직 중에는 프린스턴 대학교 재단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 차별을 지원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촉구하는 교수들의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데 앞장서기도 했다. 은퇴한 후 그는 주로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면서, 프린스턴 대학교의 명예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저널 ‘민주주의’Democracy의 초대 편집인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정치와 비전 : 서구 정치사상 속의 지속과 혁신’Politics and Vision: Continuity and Innovation in Western Political Thought(1960년 초판, 2004년 증보판), ‘버클리 학생 항쟁 : 사실과 해석’Berkeley Student Revolts: Facts and Interpretations(1965, 세이무어 립셋과의 공편), ‘버클리 반란 그리고 이를 넘어서 : 기술사회에서의 정치와 교육에 대한 평론들’Berkeley Rebellion and Beyond: Essays on Politics and Education in the Technological Society(1970, 존 샤와의 공편 현존 : 국가와 헌정에 대한 평론들 Presence of the Past: Essays on the State and the Constitution (1989), 토크빌, ‘두 세계 사이에서 : 정치적 삶과 이론적 삶을 사는 것’Tocqueville between Two Worlds: The Making of a Political and Theoretical Life(2001) 등이 있다.
펼치기
강정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대 졸업(1977)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정치학 박사(1987)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89-2020) 저서 : 『자유민주주의의이념적초상』(1993), 『소크라테스, 악법도법인가?』(1994),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2004),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교차와 횡단의 정치사상』(2019 : 편저) 역서 : 『플라톤의 이해』(1991), 『마키아벨리의 이해』(1993), 『홉즈의 이해』(1993), 『마르크스에 있어서 필요의 이론』(1990), 『현대 민주주의론의 경향과 쟁점』(1994 : 공역), 『로크의 이해』(1995 : 공역), 『로마사 논고』(2003 : 공역), 『군주론』(2008 : 공역)
펼치기
박동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고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정년퇴임했다. 정치철학, 민족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등을 강의한다. 『플라톤 정치철학의 해체』, 『깨어있는 시민을 위한 정치학 특강』 등의 저서와 『이사야 벌린의 자유론』, 『사회과학의 빈곤』 등의 역서, 「소크라테스 철학에서 논리와 현실의 관계」, 「자유주의 정치사상의 지리적 기원에 관한 방법론적 성찰」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장동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정치학과(Department of Government)에서 정치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하고 있다. 한국정치사상학회장,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장, 그리고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과 행정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정의론과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의 이해』, 『심의민주주의: 공적 이성과 공동선』 외 다수의 공저가 있다. 옮긴 책으로는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적 자유주의』와 『만민법』(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홍태영 (감수)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이자 현 안보대학원장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1-22년 한국정치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유주의, 민족주의, 공화주의, 근대와 탈근대의 정치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국민국가의 정치학』(2008), 『정체성의 정치학』(2011), 『국민국가를 넘어서』(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지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과거사 청산과 한국 민족주의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의 책임연구원으로 있으며,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한국 보수주의의 변화: 에드먼드 버크와 뉴라이트의 역사적 서사를 중심으로”(2019), “반민법과 동원된 협력의 난제: 반민법 제정 과정의 논쟁과 학병을 중심으로”(2021) 등의 논문, 『정치와 비전 1, 2, 3』(공역, 2007/2009/2013) 등의 번역서, 『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공저, 2022)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김용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BK 연구교수를 거쳐 2008년부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목적론에 대한 고찰,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 헤겔의 자유주의 비판, 헤겔과 프랑스 혁명, 헤겔의 전쟁론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찬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 책에서 나는 정치철학의 지속적이고 변화하는 관심의 일단을 서술하고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오늘날 많은 지식인 집단 사이에서 전통적인 형태의 정치철학에 대한 강한 적대감, 심지어 경멸감마저 존재하고 있다. 내 희망은 이 책이 비록 정치철학 전통에 그나마 남아 있는 것을 기꺼이 내던지고자 하는 자들을 제지하지는 못할지라도 적어도 우리가 내버리려고 하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를 분명히 보여 주는 것이다.” _ 초판 서문 중


“초판의 부제는 40년 전의 세계관을 매우 잘 요약하고 있는데, 그 부제에서 정치와 이론의 매개변수는 ‘지속’과 ‘혁신’으로 설정되었다. 근대의 기업에 초점을 맞춘 제10장을 제외하고, 이전 장들은 현재를 분석하기보다는 과거를 해석하는 데 일차적인 관심을 두고 있었다. 이제 새롭게 추가된 장들은 그런 해석을 부정하기보다는 그런 해석들을 현대의 정치 세계에 집적 적용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증보판과 초판을 통일시키는 기본적인 신념은 만약 우리가 우리 시대의 정치에 제대로 대처하고자 한다면 과거 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지식이 우리의 사유를 예리하게 하고 우리의 감수성을 키우는 데 비할 바 없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내 희망은 현재의 작업이 어느 정도 새로운 세대의 정치 이론가들에게 정치적인 것의 재정의와 민주정치의 재활성화라는 끝없는 작업에 매진하도록 고무하는 것이다.”


“나치즘과 전도된 전체주의를 구분하는 결정적인 요소는, 나치즘이 시민들을 동원하는 체제라면, 전도된 전체주의는 이전에 있었던 민주화의 경험에 겉치레의 찬사를 보내면서 시민들을 탈정치화한다는 점이다. 나치가 대중에게 집합적인 힘에 대한 의식과 자신감, 또는 ‘기쁨을 통해 느끼는 힘’을 부여하려고 노력했던 반면, 전도된 전체주의 체제는 나약함의 느낌, 곧 민주적 신뢰의 부식, 정치적 무관심, 자아의 사사화에서 정점에 이르는 집단적인 무력감을 촉진시킨다. 나치가 불평불만 없이 지배자를 지지하고 잘 관리된 국민투표에서 열광적으로 ‘찬성표’를 던지는 지속적으로 동원되는 사회를 원했다면, 전도된 전체주의의 엘리트는 좀처럼 투표에 나서지 않는 정치적으로 탈동원된 사회를 원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