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

김승혜, 이찬수, 정양모, 이명권, 이길용, 진월, 박태식, 박현도, 류제동, 김명희, 김희정, 오지섭, 이호영, 최수빈, N. S. Robinson (지은이)
바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91428058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08-06-16

책 소개

종교학과 철학, 신학 등 인문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하는 학자들의 논문을 한 권으로 묶었다. 모두 16명이 쓴 18편으로, 각 필자들은 자신의 전공 분야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논문을 선보인다. 유교, 도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같은 종교 전통 외에 인도철학, 중국철학, 종교간 대화 등 현 단계의 종교학과 그 인접 학문 분야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수준 높은 논문들을 수록했다.

목차


김승혜 교수의 생애와 학문/김희정


사심私心의 문제/김승혜

율곡 성리학의 특성에 관한 고찰-『성학집요』를 중심으로/오지섭

유교원리주의자 대진戴震 철학의 목적과 의의/이호영


작은 봉래산 호리병-장춘 진인의 생태학적 상징/김승혜
생태위기의 관점에서 종래의 자연과 인간이해에 대한 성찰/최현민
도교 대승사상과 이행도의 형성 및 발전-도교 영보경靈寶經의 형성 과정과 그 중심 사상을 고찰하며/최수빈
태평천국의 신, 요마, 그리고 인간이해/이길용
바가바드기타의 현대적 의의/이명권


다석의 그리스도론/ 정양모
나는 있습니다-예수와 다석의 시간 이해/박태식
기독교와 근대 민족주의가 만나는 논리-한국적 상황을 중심으로/이찬수
해방 이후 한국의 종교간 대화-평가와 제안/김명희
싯달타와 예수의 탄생 의미/진월


무함마드는 언제 예언자가 되었을까?/박현도
The Dynamics of Surah ?l ‘Imr?n/(영문)N. S. Robinson


쉬운 길易道과 어려운 길難道-종교의 역사에 관한 단상/김희정
종교와 역사와 실존-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종교관을 중심으로/류제동

저자소개

김승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사랑의 씨튼수녀회에 입회했다. 미국 마케트대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대학교에서 종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스도교 영성을 토착화하고 종교 간 학문적 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씨튼연구원’에서 활동하였다.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여 제13회 한국가톨릭학술상 본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현대 생태사상과 그리스도교》, 《노자의 그리스도교적 이해》, 《논어의 그리스도교적 이해》, 《그리스도교와 무교》, 《종교학의 이해》 등이 있다.
펼치기
이찬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의 사상과 문화, 동아시아의 종교와 평화 연구자.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거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일본의 철학자 니시타니 케이지와 독일의 신학자 칼 라너의 사상을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코세이 가쿠린 객원교수, (일본)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난잔대학 객원연구원, 성공회대 대우교수, 보훈교육연구원장 등을 지냈다. 『일본정신』, 『불교와 그리스도교 깊이에서 만나다: 교토학파와 그리스도교』, 『다르지만 조화한다』, 『평화와 평화들』, 『사회는 왜 아픈가』, 『아시아평화공동체』(편저), 『평화의 여러가지 얼굴』(공편저),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 구상』(공저), 『北東アジア·市民社会·キリスト教から観た平和』(공저), 「비전(非戰), 반군국주의, 비핵화로서의 평화: 일본 평화개념사의 핵심」, 「平和はどのように成り立つのか」, 「北朝鮮の民間信仰」 등 80여 권의 단행본(공저서, 번역서 포함)과 90여 편의 논문을 출판했다. 현재 인권평화연구원 공동원장으로 일하면서 가톨릭대에서 평화학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정양모 (주해)    정보 더보기
1935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가톨릭대 신학부를 졸업했다. 1963년 프랑스 리옹 가톨릭 대학을 졸업하고 사제로 서품되었으며, 1969년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성서신학을 전공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울러 예루살렘 소재 도미니코회 성서연구소에서 연구하기도 했다. 1970년부터 2001년까지 안동교구 청송성당 주임신부를 비롯해 광주가톨릭대, 서강대, 성공회대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원로 사목 신부로 있으면서 다석학회 회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저서로 『이스라엘 성지: 어제와 오늘』(생활성서사, 1989), 『교회 탄생 이야기: 사도행전 1-7장 풀이』(분도출판사, 1992), 『열두 사도들의 가르침』(분도출판사, 1993), 『마태오 복음 이야기』(성서와함께, 1999), 『사도행전 이야기』(성서와함께, 2001), 『위대한 여행: 사도 바울로의 발자취를 따라』(생활성서사, 2003), 『종교의 세계』(분도출판사, 2005), 『나는 다석을 이렇게 본다』(두레, 2009), 『나는 예수를 이렇게 본다』(햇빛출판사, 2012),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생활성서사,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브뤼기에르 주교 서한집』(공역, 가톨릭출판사, 2007), 『브뤼기에르 주교 여행기』(가톨릭출판사,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이명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였고, 감리교 신학대학원 및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마쳤다.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크리스천헤럴드> 편집장, 관동대학교에서 ‘종교간의 대화’ 강의, 그 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중국문학 석사학위 후, 길림대학 중국철학과에서 노자 연구로 박사학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교환교수로 재직, 동 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소장을 역임. 그 후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동양철학을 강의함. 현재 코리안아쉬람대표 및 K-종교인문연구소 소장으로서 코리안아쉬람TV/유튜브를 통해 “이명권의 동양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인문계간지 『산넘고 물건너』 발행인이다. 저서로는 『우파니샤드』, 『베다』, 『노자왈 예수 가라사대』, 『예수 석가를 만나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무함마드, 예수, 그리고 이슬람』, 『암베드카르와 현대인도 불교』가 있다. 공저로는 『오늘날 우리에게 해탈은 무엇인가?』,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 『종말론』, 『통일시대로 가는 평화의 길』, 『평화와 통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지평』,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종교와 정치』 등이 있다. 역서로는 『종교간의 대화와 협력을 위한 영성』, 『간디 명상록』, 『마틴 루터 킹』, 디완찬드 아히르의 『암베드카르』, 세샤기리 라오의 『간디와 비교종교』, 한스 큉의 『위대한 그리스도 사상가들』(공역), 『우리 인간의 종교들』(공역)이 있다.
펼치기
이길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교수 서울신학대학교를 졸업(B.A)하고,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학부(B.A)와 대학원(M.A.)을 마쳤다. 군 복무 후 독일로 건너가 마르부르크(Marburg)대학교 신학부에서 박사학위(Dr. theol)를 취득하였다. 2009년부터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로 섬기며 기획처장, 입학처장, 대외협력실장, 전산실장 등 여러 보직과 교수협의회 회장을 역임(2018~2019)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루터>(2020), <이야기 종교학>(2018), <종교로 읽는 한국 사회>(2016), <이야기 세계종교>(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진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해인사 승가대학 대교과와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하와이대에서 종교학 석사, 버클리대에서 불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 현재 동국대 선학과 교수로 있다. 주 전공 분야는 동아시아 불교이며, 특히 한국 선불교와 선종사에 중심을 두고 연구한다. 지은 책으로 Choui Uisun: A Liberal Seon Master and an Engaged Artist in Late Choseon Korea와 A Longing for Peace(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평화를 이루는 지혜』가 있다.
펼치기
박현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교수로 이슬람과 중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학사, 캐나다 맥길대학교 이슬람연구소에서 이슬람학 석사 및 박사 수료, 이란 테헤란대학교에서 이슬람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산업통상자원부의 양자 협력사업인 ‘중동 산업협력 포럼’ 사무국장, 문화체육관광부 공직자 종교차별예방 교육 강사, 한국종교인평화회의 출판위원장, 종교평화국제사업단 발간 영문계간지 <Religion & Peace> 편집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동연구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역사를 보다』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Studies in Islamic Historiography』(공저) 『신학의 식탁』(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박현도의 다른 책 >
류제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교학문적 시각에서 불교에 접근하는 연구자이다. 2004년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금강대학교, 위덕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신대학교, 그리고 신앙인아카데미 등에서 강의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불교의 사회참여와 현대적 이해, 서구권에서 현대 불교의 재구성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하느님과 일심: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종교학과 대승기신론의 만남』, 『보리수 가지치기: 비판불교를 둘러싼 폭풍』, 그리고 Catastrophe and Philosophy(공저) 등의 저역서가 있다.
펼치기
김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종교학과(B.A.)를 졸업한 후 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에서 종교학 석사(M.A.)를 마쳤으며 뮌헨신학대학교에서 신학박사학위(Th.D)를 받았다. 저서(공저)로는 『한류로 신학하기』, 『세월호 이후의 신학』, 『종교와 정의』, 『소수자의 신학』, 『종교인은 돈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외 다수가 있으며, 독일 관련 연구 논문 외에도 최근에는 루터와 관련된 논문들을 발표했다. 서강대학교와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있으며, 서강대와 서울장신에서 종교와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김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종교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사회과학원에서 방문학자로서 연구했으며, 2008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몸·국가·우주, 하나를 꿈꾸다』가 있으며, “도교와 불교 조우의 한 형태” “몸의 논리로 본 인간의 역사에 관한 시론”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오지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종교학)를 받았으며, 현재 서강대 종교학과 대우교수와 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 연구이사로 있다. 지은 책으로 『팬데믹과 한국 가톨릭교회』(공저), 『고통의 시대, 자비를 생각한다-자비에 관한 통합적 성찰』(공저), 『함께 비를 맞으며 걸어갈 수 있을까-고통을 넘어 힐링으로』(공저), 『예수님의 길에서 만나는 이웃종교』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영국 런던대 S.O.A.S.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 관심 분야는 중국철학과 문화비평이다. 2008년 현재 서강대 강사이며, ‘한국근대문화사상연구소’ 공동대표로 있다. 논문으로 “대진의 철학적 방법론” “청대 고증학자 대진의 육왕비판과 양명학적 반론” 등이 있다.
펼치기
N. S. Robinson (지은이)    정보 더보기
Queen’s College Birmingham and Birmingham University (Ph. D), Fellow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08년 현재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로 있다. 주 전공 분야는 이슬람이다. 지은 책으로 Islam: Concise Introduction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