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뇌과학/인지심리학
· ISBN : 9788964711194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4-07-07
책 소개
목차
서문_ 아무것도 하지 않는 뇌의 비밀, 오토파일럿
CHAPTER 1. 한가함이라는 혐오스러운 괴물
게으른 자 먹지도 말라, 서구 자본주의의 가치
나태함에 대한 은밀한 예찬들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 무엇이든 얻게 된다
창의력의 폭발, 빈둥거리는 크로마뇽인
CHAPTER 2. 당신의 뇌
탐욕스러운 인간의 뇌
런던 택시기사들의 해마가 큰 이유
나를 되돌아보다,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CHAPTER 3. 뉴턴은 어떻게 떨어지는 사과를 보았나?
명상에 빠진 뉴턴의 뇌
CHAPTER 4. 천재 시인 릴케의 창의력은 어디에서 왔나?
릴케가 시에 쏟은 시간 10년
더 이상 뛰어놀지 않는 아이들
바쁜 하버드생들이 놓치고 있는 것
CHAPTER 5. 인간의 자아를 출현시킨 자기조직화 시스템
모이면 복잡해진다, 개미집단의 창발성
인간의 두뇌를 닮은 개미집단
CHAPTER 6. 우리는 모두 살인적 노동자다
서구적 탐욕의 끝, 폭스콘의 직원 통제
한계를 넘어서면 시스템은 붕괴한다
왜, 누구를 위해 이토록 열심히 일하는가
CHAPTER 7. 바람 소리가 릴케에게 선사한 영감, 신호와 노이즈
노이즈는 성가신 소음일 뿐인가?
ADHD 아동을 위한 새로운 치료제, 노이즈
적절한 노이즈가 창의력을 높인다
CHAPTER 8. 기업의 종교와도 같았던 신기루, 식스시그마
식스 시그마라는 전염병
기업의 발작을 초래하는 식스 시그마
CHAPTER 9. 돈벌이 경제의 파멸적인 귀결
필경사 바틀비의 변, 하고 싶지 않습니다
노동 없는 세계
후주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사람이 아무 일도 하지 않을 때 두뇌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연구실에서 신경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의외로 간단하다. 사실 이 놀라운 활동은 두뇌영상촬영 피험자들이 영상촬영 기기 안에 누워서 공상할 때, 과학자들이 우연히 관찰하게 된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려는 ‘한가한 상태’는 이처럼 실험실에 누워서 공상하는 상태뿐만이 아니다. 일과 시간에 남이 부여한 일정을 처리하지 않고 정말로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상태, 바쁘지 않을 때 의식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생각 사이에서 정신이 방황하도록 내버려두는 상태도 포함한다. 예술적·과학적 통찰이든, 감정적 혹은 사회적 통찰이든, 진정한 통찰은 이처럼 극히 드문 한가로운 상태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
17세기 프랑스 철학자이자 수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평소 늦게 일어나는 습관 때문에 침대에 누워 천장에 붙은 파리를 보다가 X축과 Y축으로 구성된 좌표 시스템을 구상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는 가장 위대한 과학 진보의 순간과 가장 위대한 예술작품들이 학자와 예술가들의 끈질기고 고된 노동의 결과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갑자기 번뜩이는 통찰이나 자신조차 몰랐던 것을 깨닫는 순간인 ‘아하 모멘트’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가 ‘한가한 시간 동안 내면에서 일어난 방대한 움직임의 마지막 잔향’이라고 표현한 시기에 종종 찾아온다. 이를 신경과학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2001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신경과학자 마커스 라이클은 아주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휴지 상태 네트워크(RSN, Resting-State Network)’ 또는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 Default Mode Network)’라 부르는 신경망을 발견한 것이다. 이 두뇌 부위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무 일도 하지 않을 때 활성화된다. 마커스 라이클은 자기공명영상(MRI) 기기 속에 누운 피험자들이 문제풀이에 몰두할 때 특정 두뇌 부위의 활동이 오히려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놀라운 발견이었다. 이전에 신경과학자들은 인간이 인지적 활동을 하고 있을 때는 두뇌 활동이 평소보다 증가하기만 한다고 생각한 것이 반하는 발견인 것이다. 마커스 라이클은 피험자들이 인지과제(cognitive task)를 수행하지 않을 때의 두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피험자들이 멍하게 있는 것처럼 보일 때 특정 두뇌 부위가 평소보다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능성 자
기공명영상fMRI 기기 속에 누워서 단어 암기 같은 무미건조한 인지과제를 수행할 때 피험자의 일부 두뇌 부위는 더 활성화되고 다른 두뇌 부위는 덜 활성화됐다. 이는 특이할 것이 없는 현상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저 MRI 기기 안에 누워서 눈을 감고 있거나 스크린을 바라보고 있을 때 피험자의 두뇌 활동은 감소하지 않는다. 활성 부위가 달라질 뿐이다. 인지과제를 수행할 때 활성화되지 않은 부위가 쉬고 있을 때는 활성화됐다. 이러한 부위를 ‘휴지 상태 네트워크(RSN)’라 부른다. 마커스 라이클이 이러한 실험결과를 발표한 이후, 잇달아 피험자가 쉬는 동안 두뇌 활동을 측정한 실험 논문이 수백 편 쏟아져 나오는 기현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