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1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1

(최종현 교수의 인문지리 기행)

최종현 (지은이)
현실문화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개 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1 (최종현 교수의 인문지리 기행)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65640042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0-12-07

책 소개

최종현 교수의 인문지리 기행. 최종현 교수가 야인 시절 건축사무소 단우 모람의 임직원들과 매년 진행해왔던 옛 건축 답사 강의를 책으로 엮었다. 이 책은 '어떻게 보느냐'와 '누가 보느냐'에 따라 우리 옛 건축을 기존의 것과 다른 시각으로 읽을 수 있음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목차

1권

1부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옛 건축

우리 옛 건축이 자리를 잡는 방법 - 정면성의 법칙

1. 서울에서 남한강의 물길을 거슬러 올라가다
- 《도담행정기》를 따라가는 여정

2. 옛사람들은 왜 동쪽 바다로 갔을까
- 강원도 관동팔경을 따라가는 여정

3. 우리가 의외로 알지 못하는 풍경
- 경남 남해안 지역의 건축

4. 해안선을 따라 절이 지어진 이유
- 전남 해안 지역의 사찰 건축

5. 노래를 읊으며 자연을 바라보다
- 전남 가단문학과 정자

6. 넉넉한 경치, 풍요로운 문화
- 충남 해안 지역의 건축

7. 역사는 지형과 건축으로 남는다
- 강화도의 간척사업

보론
옛사람들의 자연관
- 옛 산수화와 원림

2권

2부
옛 도시와 서원의 건축 그리고 인문지리

1. 곳곳에 스민 임금의 권위
- 전북 지역의 관아 건축

2. 역사의 완료가 아닌 축적
- 경주의 도시계획과 터 잡기

3. 길이 생기자 많은 것이 달라졌다
- 경남 덕유산 지역의 서원과 민가 건축

보론
사람들은 도시를 만들었다
- 옛 지도에 나타난 도시

3부
건축, 조선 지식인의 삶을 품다

1. 조선 시대의 오디세이
- 우암 송시열의 삶을 따라가는 여정

2. 남명 선생이 지리산에 이르기까지
- 남명 조식의 삶을 따라가는 여정

3. 학문과 이념이 지리를 만들다
- 퇴계 이황과 안동

보론
무이구곡을 아십니까
- 우리나라 무이구곡과 원림의 역사

저자소개

최종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중국 심양 출생.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해방 이후 서울에 정착한 이래 줄곧 경복궁 서편 인왕산 동남 자락 일대에 머물며 변모하는 서울의 모습을 우직하게 지켜보았다. 우리나라 건축·도시와 취락의 역사, 세계도시사, 도시설계를 필생의 작업 분야로 설정하고 사서, 문집, 회화, 기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찰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국 방방곡곡을 발로 밟고 눈에 담으며 기록으로 남겼다. 자연히 땅-도시-건축-인간의 유기적 관계가 시야에 들어오면서 이를 정식화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2011년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직에서 정년퇴직한 뒤 통의동 서재 자군당(子羣堂)에 사단법인 통의도시연구소를 설립하여 ‘한국 전통 건축 및 도시의 입지와 구조’, ‘옛길에서 만나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 등의 연구주제에 천착하고 있다. 저서로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1, 2』(2010), 『남경에서 서울까지』(2012), 『나무와 풍경으로 본 옛 건축 정신』(2013)이 있으며, 공저서로 『오래된 서울』(2013)이 있다. 유튜브에 <통의도시연구소채널>을 개설하여 종묘, 창덕궁, 경복궁, 창경궁, 백악과 인왕 사이, 고려시대 남경과 개경 사이 물길과 땅길 등 여러 역사유적의 답사와 강의 영상을 올려 공유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 한국 건축의 입지는 풍수지리가 전부인가?
건축 답사라고 하면 건축물의 형식에만 치중하기 쉽다. 하지만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1, 2에서는 건물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입지 즉 좌향이라고 말한다. 이 책의 서론 격인 들어가는 글이 ‘우리 옛 건축이 자리를 잡는 방법─정면성의 법칙’인 것도 그래서다.
건축물의 좌향, 입지라고 하면 대개는 풍수지리설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풍수지리설도 실은 지형을 읽어서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일 수 있다. 개념 이전에 지형이 있었다. 최종현 교수는 오랜 연구 끝에 ‘숭산사상’ ‘숭목사상’이 고대 이후 우리나라의 조영사상에서 바탕이 되었음을 밝혔다. 그가 말하는 우리 건축의 ‘정면성’ 원칙은 무엇일까?


─ 흔히 조선 시대의 종교정책은 억불숭유라고 알고 있다. 초등학교 국사책부터 반복해서 배우고 있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조선 시대는 불교를 탄압하기만 했을까? 지금까지 전국 곳곳에 규모가 큰 옛 절들이 남아 있는 것은 왜일까? 또한 정조가 전국의 사찰들을 조사해서 간행하게 한 ?범우고?라는 책은 왜 만들어졌을까? 조선 시대 왕실에서 절을 새로 중창했다는 옛 기록들은 왜 등장하는 것일까?
옛사람의 발길을 따라가는 우리 건축 답사 1, 2에서는 우리 땅 곳곳에 남은 옛 절들을 돌아보면서 이런 의문에 대한 명쾌한 답을 제시한다. 건축을 이야기하면서 어찌 그 시대의 종교를 말하지 않을 수 있을까? 당장 탑의 양식, 절의 형식이 그 시대 불교의 특징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 않은가. 이 책을 읽다 보면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사상적 흐름을 대략 큰 줄기에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건축 답사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또 하나의 수확인 셈이다. 건축에 대한 고찰에서 출발한 답사가 자연스럽게 종교와 문화, 철학으로 이어져 인문지리가 된다.


─ 소쇄원을 우리 원림의 정수라고 꼽곤 한다. 물론 소쇄원은 매우 아름다운 정원이다. 하지만 그 아름다움에 흠뻑 빠지기 전에 먼저 우리 원림의 역사와 특성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소쇄원을 원림의 정수라고 꼽기 위해선 우리나라 조경의 특성이 이곳에서 전형적으로 구현되었는지를 말해야 하지 않을까? 대체 소쇄원은 왜 담양에 지어져 있는 것일까? 담양 주변에는 왜 그렇게 수많은 정자가 있는 것일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