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전통 건축
· ISBN : 9791157007257
· 쪽수 : 559쪽
· 출판일 : 2022-12-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008
1장 도읍과 건축의 입지 원리를 찾아서 … 013
전통 건축과 새마을운동 | 불교의 탄트라 | 얀트라와 신전 건축
2장 공간 및 장소와 관련된 기본 개념 … 045
역수의 의미
3장 숭산 사상과 숭목 사상 - 정면성의 기준을 찾아 … 065
사서에 나타난 숭산 사상과 숭목 사상 | 고분벽화에 나타난 숭산 사상 | 고려·조선시대 숭산 사상
4장 도읍 건축 입지에 나타난 정면성 … 097
전통 도읍과 건축의 정면성 개념 | 도읍에서 찾아보는 정면성 - 사례연구 1
5장 옛 그림과 지도에 나타난 정면성 - 사례연구 2 … 137
진영에 나타난 정면성 | 판화에 나타난 정면성 | 고지도를 통해 본 정면성
6장 성균관과 향교의 입지 - 사례연구 3 … 187
성균관의 정면성 | 향교의 역사 | 향교의 정면성 사례
7장 서원을 찾아서 - 사례연구 4 … 261
서원이란 어떤 공간인가 | 중국의 서원 | 우리나라의 서원 | 서원의 정면성
8장 불교 사찰의 정면성 원리 - 사례연구 5 … 341
우리나라 불교의 역사 | 불교 사찰의 정면성
9장 취락과 민가에서 찾아보는 정면성 - 사례연구 6 … 481
10장 단과 묘의 정면성 - 사례연구 7 … 547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전과 불교 건축에서 무엇이 중심이 될까? 중심은 과연 어떻게 자리를 잡을까? 인도의 경우 ‘신의 거실’인 사원은 거대한 히말라야산맥을 등지고 있다는 인식이 존재한다. 이런 개념이 우리나라 전통 건축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을까. 건축사와 도시사를 오랜 시간 공부하면서 ‘정면성’이라는 원리가 건축의 배치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책은 지난 40여 년간 이어 온 답사와 연구의 결과물이다.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물이나 건축 배치를 살펴보면 크게는 건물의 배치 형태부터 작게는 계단이나 문살의 숫자 같은 부분의 구성을 그냥 되는 대로 한 것이 아니라 어떤 이유나 질서가 작용했음을 발견하게 된다. 개별 현장에서 이런 이유와 원리를 하나하나 발견할 때면, 옛사람들이 공간과 건축을 얼마나 소중하게 생각했는지 다시금 느낀다.
시선은 눈동자의 중심선과 대상물이 합쳐질 때의 선이다. 사람들은 대체로 이렇게 축선 사이의 어느 지점에 인공물을 조성해 왔다. 인공물 속에서 머물러 생활하면서 대하는 자연물을 지각하고 감상하는데 이때 감상하는 자연물을 경물(景物)이라고 한다. 오랫동안 머물며 경물을 즐겨 감상하고 느끼고 반응하는 곳을 장소라고 한다. 선택된 경물을 감상하는 장소는 중앙일 수도 있고, 중앙에서 벗어나 한쪽으로 치우친 곳일 수도 있다. 인간이 스스로 점유하여 머무른 위치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시야가 열리는데, 여기서 하나의 대상물을 향해 시선이 고정되면 자연스럽게 전후좌우가 성립된다.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경물 외에도 계절의 변화, 시간의 변화, 기후의 변화 등 한시적으로 나타나거나 수시로 변화하는 자연현상이 바라봄의 대상이 될 때가 있다. 그리고 구름, 운무, 아지랑이, 폭포, 시내, 꽃처럼 변화하는 식물 등을 일컬어 경색(景色)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