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어 아마존

디어 아마존

(인류세에 관하여)

뱅상 노르망, T. J. 데모스, 박범순, 마비 베토니쿠, 팀 슈츠, 조나타스 지 안드라지, 이름가르트 엠멜하이츠, 이영준, 주앙 제제, 조주현, 최유미, 포레스트 커리큘럼, 솔란지 파르카스 (지은이)
현실문화A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어 아마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어 아마존 (인류세에 관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65642596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01-15

책 소개

인류세를 둘러싼 담론들을 두텁게 하면서도 인류세에 대한 다양한 층위의 개입 가능성을 그려보려는 시도이다. 큐레이터,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 기계비평가, 인류학자, 작가, 연구자, 활동가 등 다양한 스펙트럼에 걸쳐 있는 필자들이 인류세에 관한 정치적, 미학적, 생태철학적 의제를 다룬다.

목차

6 머리말 /김태령
11 땅끝 곶에서 시작하는 인간의 역사들에 반대하며—《Dear Amazon: 인류세 2019》 /조주현
39 대결의 예술 /솔란지 파르카스
49 인류세에 반대하며—오늘날 시각문화와 환경/T.J. 데모스
69 이미지는 보여주지 않는다 /이름가르트 엠멜하이츠
93 원석 /주앙 제제
107 사물은 살아있다 /이영준
127 천체투영관에서—인류세 단계에서의 근대 미술관 /뱅상 노르망
155 기이한 광물 이야기 /마비 베토니쿠
191 식인주의에 관한 영화인가, 식인주의 영화인가? /포레스트 커리큘럼
209 인류세를 위한 아카이빙 /팀 슈츠
221 열대의 후유증 /조나타스 지 안드라지
269 우리는 모두 인류세 난민이 될 수 있다. /박범순
285 인류세를 빠져나오기 /최유미
302 필자소개

저자소개

이영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기계비평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융합교양학부 교수. 기계의 메커니즘과 존재감이 가지는 독특한 아름다움에 끌려 기계를 비평하겠다고 나섰지만 사실은 이 세상 모든 이미지에 관심이 많다. 그 결과물로 『기계비평: 한 인문학자의 기계문명 산책』(2006), 『페가서스 10000마일』(2012), 『조춘만의 중공업』(공저, 2014), 『우주 감각: NASA 57년의 이미지들』(2016),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공저, 2017),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공저, 2017), 『푈클링엔: 산업의 자연사』(공저, 2018) 같은 저서를 썼다. 또한 대우조선에 대한 전시인 『기업보고서: 대우 1967?1999』(공동 기획, 2017), 발전소의 구조와 메커니즘에 대한 전시인 『전기우주』(2019), 조선 산업에 대한 전시인 『첫 번째 파도』(공동 기획, 2021), 『두 번째 파도』(공동 기획, 2022) 등 기계와 산업에 대한 전시들을 만들었다.
펼치기
T. J. 데모스 (엮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출신의 미술사학자이자 문화비평가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산타크루즈(UC Santa Cruz)의 미술사·시각문화학부 교수이자 ‘창조적인 생태학을 위한 센터’(Center for Creative Ecologies)의 창립 디렉터다. 동시대 미술, 국제정치, 생태학을 아우르는 글을 써왔으며 지배적인 사회·정치·경제적 관습에 도전하는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예술적 실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인류세에 반대하며: 오늘날의 시각문화와 환경』(Against the Anthropocene: Visual Culture and Environment Today, 2017), 『자연의 탈식민화: 동시대 미술과 생태학의 정치학』(Decolonizing Nature: Contemporary Art and the Politics of Ecology, 2016)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박범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의 여러 분야 사이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등장하고 사회에서 수용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과학사학자이며, 과학기술학의 방법론을 사용해 정책적 이슈를 다루고 있다. 최근에는 합성생물학, 인공지능, 인류세 등의 개념이 던진 인류 생존과 미래 문명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이자 인류세연구센터의 센터장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박범순의 다른 책 >
뱅상 노르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사학자이자 저술가, 큐레이터. ECAL/University of Art and Design Lausanne에 재직 중이며 예술, 과학, 철학을 가로지르는 지식의 전달에 주안점을 둔 리서치 플랫폼 Glass Bead의 공동 디렉터다.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면서 퐁피두센터와 Kadist 재단에서 전시를 기획했으며, 이외에도 유럽과 미주 여러 도시에서 전시와 강연,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마비 베토니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라질과 스위스를 오가며 리서치 기반 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프린트, 출판, 포스터, 웹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한 방대한 아카이브, 설치, 강연 퍼포먼스를 구성하여 문서화와 구축 사이의 한계, 정보의 구성과 지속을 질문한다. 2017년 브라질 현대미술 비엔날레 Prêmio Videobrasil에서 Finalist로 선정되었으며, 전시 《디어 아마존》(2019)에서 브라질 광물 개발 역사에 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거대한 아카이브를 구축했다.
펼치기
팀 슈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어바인(UCI)에서 문화인류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인류세’와 관련된 도시 데이터 구조, 아카이빙, 환경 보호를 연구한다. ‘일상의 인류세’(Quotidian Anthropocenes) 프로젝트를 공동 발의하고 UCI 민족지학 센터의 독성물질 시각화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인류세를 위한 아카이빙을 주제로 박사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펼치기
조나타스 지 안드라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트식민주의, 포스트노예제도, 저임금 노동에 주목하면서 식민지 개척자, 노예, 원주민의 정체성과 역사가 뒤섞인 브라질 문화의 숨겨진 이면을 설치, 사진, 비디오 작업을 통해 보여준다. 특히 브라질 북동 지역 헤시피의 도시화 과정을 탐구하는 작업을 통해 이 지역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이슈를 포착한다. 집, 기록사진, 문서 등을 분석하여 도시화에 담긴 당시의 이상과 정치사회적 입장, 인간의 욕망을 드러내는 작업으로 구겐하임 미술관의 《Under the Same Sun》(2014), 《디어 아마존》(2019) 등의 전시에 참여했다.
펼치기
이름가르트 엠멜하이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멕시코시티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연구자. 영화, 팔레스타인 문제, 예술, 문화, 신자유주의 등 다양한 분야를 가로지르며 연구하고 국제무대에서 강연가로 활동한다. 팔레스타인 문제와 장뤼크 고다르의 영화에 관한 저술을 발표했으며 행동주의 예술에서의 관객 참여에 관해 다룬 『행동주의는 어떠한가?』(What about Activism?, 2019)의 공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주앙 제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라질 미술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로, 플라스틱과 LED 조명을 혼합한 조각과 설치를 통해 색과 빛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세계의 종말에 대응하는 문화적 관점에 관심을 가지고 현대 소비사회에서 쉽게 버려지고 유통되는 인위적인 색과 소재의 물품들로 ‘미래의 유물’을 만든다. 라틴아메리카 기념관, 토미 오타케 연구소, 오스카 니마이어 미술관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펼치기
조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민미술관 학예실장. 새로운 미디어와 예술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공동체, 오픈 아카이브 등의 분야에 관심을 갖고 전시 기획을 해왔다.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를 역임했으며, 현재 KAIST 인류세 연구센터 참여연구원으로, 그리고 브라질 상파울루 비데오브라질 초청큐레이터(2020)로 한국 시각예술 분야의 인류세 담론을 탐구하고 있다.
펼치기
최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안 연구공동체 〈수유너머 104〉에서 철학과 과학학, 페미니즘을 공부하고 강의한다. 지은 책으로는 《해러웨에, 공-산의 사유》, 《감응의 유물론과 예술》(공저) 등이 있으며 해러웨이의 《트러블과 함께 하기》, 《종과 종이 만날 때》를 번역했다. 주요관심 분야는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내기 위한 스토리텔링과 정치적인 듣기이다.
펼치기
포레스트 커리큘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립큐레이터로 활동하는 아비잔 토토(Abhijan Toto)와 문화 및 생태학을 전공한 푸지타 구하(Pujita Guha)가 공동으로 창립하고 지휘하는 학제간 연구 및 상호학습 플랫폼.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삼림지대 조미아(Zomia)의 자연문화를 통한 인류세 비평을 시도한다. 예술가, 독립연구자, 기관, 음악가, 활동가들과 함께하고 아시아권 기관들과 협업하며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펼치기
솔란지 파르카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3년 상파울루에서 처음 컨템포러리 아트 페스티벌을 발족했고, 1991년에는 비데오브라질을 설립했다. 2015년부터는 헤드쿼터 Galp?o VB를 운영하고 있다. 바히아 현대미술관의 디렉터이자 수석큐레이터를 역임했고, 여러 나라의 비엔날레, 페스티벌, 미술상 심사위원 등으로 참가한 바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식인주의는 ‘식인’(食人) 풍습 그 자체를 뜻한다기보다, 서구에서 유입되는 문화적 영향을 사대주의적 태도로 받아들이거나 무조건 외면할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브라질 고유의 문화로 빚어내자는 선언이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사유는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하는 모든 세계의 집합으로서 ‘가능세계’에 대한 이론이나 ‘사변적 실재론’ 등 새로운 철학적 방법론을 뒷받침하는 선구적 사상으로 소개되어왔다. 2000년대 이후에도 이는 동시대 인류학자, 철학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비서구 중심의 인류세 담론에 기여하고 있다.
― 조주현, 「땅끝 곶에서 시작하는 인간의 역사들에 반대하며」


시각 이미지는 인류세의 개념을 잡는 과정에서 중심 역할을 하고 심지어 필수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과학적 대중화를 꾀하는 사람들은 그런 이미지의 이용에 대한 혹은 그런 재현물에 담긴 정치적 함의에 대한 인식을 거의 밝히지 않는다. 그런데 사실 그런 이미지 혹은 재현물은 지질학적 개념을 예증할 뿐만 아니라 매우 정치적인 특정 방식으로 틀에 맞춘다. 또한 이 이미지들은 잠재적으로 다르게 읽힐 수도 있다. 비판적으로 분석해본다면, 일부 인류세 이론의 기본 주장을 반박하고 복잡하게 만들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 T. J. 데모스, 「인류세에 반대하며?오늘날 시각문화와 환경」


인류세는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첫째, 시각성의 조건에서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하며, 둘째로는 세계가 이미지로 탈바꿈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개는 인식론적 결과이자 현상학적 결과다. 즉 이제 이미지는 세계의 형성에 관여하는 동시에, 새로운 종류의 지식을 이루는 사유의 형식이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지식은 시각적 소통에 기반하기에 지각에 의존하며, 따라서 광학적 마인드의 계발이 수반될 것을 요구한다.
― 이름가르트 엠멜하인츠, 「이미지는 보여주지 않는다?보고자 하는 인류세의 욕망」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