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인공지능시대의 예술에 대한 아홉 가지 테마)

유현주, 김재인, 김윤철, 정문열, 유원준, 백용성, 심혜련, 이영준, 최소영 (지은이), 유현주 (엮은이)
비(도서출판b)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인공지능시대의 예술에 대한 아홉 가지 테마)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89898175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19-12-24

책 소개

인공지능시대에 생산되는 예술과 그 예술에 대한 의미는 무엇인지를 묻는 책이다. 2019년 대전에서 개최한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예술포럼에 참여한 철학자, 미학자, 미디어아티스트 등으로 활동 중인 아홉 저자들의 전자시대와 예술에 대한 성찰 담론을 모아 엮은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5

디지털 매체의 시대, 예술은 여전히 정신적인 것인가?―유현주 19
인공지능은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있을까?―김재인 55
매터리얼리티―김윤철 89
인공지능의 시대에 백남준을 다시 생각한다―정문열 119
예술작품의 인공적 자율성에 관하여―유원준 141
미디어와 초월적 응시에 관한 시론―백용성 153
기술 장치적 지각 시대에서의 예술과 수용에 관하여―심혜련 231
기계미학의 새로운 정의: 센서들의 세계―이영준 259
상상계와 인공지능예술의 관계에 관한 소고―최소영 287

필자 약력 325

저자소개

김재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디지털소사이어티 문화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프로그램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웹진X》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AI 빅뱅』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공동 뇌 프로젝트』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계비평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융합교양학부 교수. 기계의 메커니즘과 존재감이 가지는 독특한 아름다움에 끌려 기계를 비평하겠다고 나섰지만 사실은 이 세상 모든 이미지에 관심이 많다. 그 결과물로 『기계비평: 한 인문학자의 기계문명 산책』(2006), 『페가서스 10000마일』(2012), 『조춘만의 중공업』(공저, 2014), 『우주 감각: NASA 57년의 이미지들』(2016), 『시민을 위한 테크놀로지 가이드』(공저, 2017), 『한국 테크노컬처 연대기』(공저, 2017), 『푈클링엔: 산업의 자연사』(공저, 2018) 같은 저서를 썼다. 또한 대우조선에 대한 전시인 『기업보고서: 대우 1967?1999』(공동 기획, 2017), 발전소의 구조와 메커니즘에 대한 전시인 『전기우주』(2019), 조선 산업에 대한 전시인 『첫 번째 파도』(공동 기획, 2021), 『두 번째 파도』(공동 기획, 2022) 등 기계와 산업에 대한 전시들을 만들었다.
펼치기
심혜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에서 발터 벤야민의 매체 이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학교 과학학과와 과학문화연구센터에서 예술과 과학기술, 매체에 관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매체가 공간구조를 바꾸는 방식과 매체로 인해 바뀐 공간이 우리의 신체와 감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연구해 오고 있다. 대표 저서로 『아우라의 진화』(2017), 『20세기의 매체철학: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2012), 『사이버스페이스 시대 의 미학』(2006)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볼프강 벨슈의 『미학의 경계를 넘어』(2005)가 있다.
펼치기
유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홍익대학교에서 “아도르노 미학에서의 기술(Technik)”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생태미학예술연구소를 설립하고 생태, 예술, 환경, 기술을 키워드로 생태 미학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다양한 전시와 세미나를 기획했다. 과학 융복합 전시기획으로 2017년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주최한 ‘기후변화대응화학예술특별전: 화성에서 온 메시지’가 있다.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기획한 한국생태미술 조사연구사업의 책임연구원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 『대중문화와 미술, 수백 개의 마릴린 먼로와 수천 개의 모나리자』(2014), 『인공지능시대의 예술』(공저, 2019), 『한국생태미술의 흐름과 현재』(공저, 2021)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아도르노 기술 개념에서 본 디지털 시대의 예술”, “생태미학에서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념 연구-Sacha Kagan의 지속가능성 개념을 바탕으로”가 있다.
펼치기
유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트랜스아트/미학미술사학과 교수다. 홍익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과학-기술 매체와 예술 융합의 다양한 지점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영화와 게임, 만화와 공연 예술 등 전통적인 시각예술의 범주를 넘어 문화예술 콘텐츠 전반에 관심이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만화비평 대상(2019), 월간미술 학술비평 부분 대상(2022)을 수상했다. 2004년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을 설립하였으며 문화관광부 광복 60주년 IT 프로젝트 팀장(2005), 아트센터 나비 교육팀장(2006∼2008)을, 주안미디어페스티벌(2011), 과학예술 융복합 프로젝트 GAS(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6, 2017) 및 광주미디어아트페스티벌(2018), 아시아문화의전당 ‘아세안의 빛, 하나의 공동체’(2019) 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매체미학, 예술과 기술 사이에서』(2022), 『뉴 미디어아트와 게임예술』(2014)이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계적 주체성에 관한 예술작품 연구”(2023), “인간-기술 네트워크에 의한 지각 및 기억의 외재화 연구”(2022), “인터넷 아트의 미학적 가능성 연구 : 인터넷과 포스트-인터넷 환경을 중심으로”(2020)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백용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평론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객원교수, 대안공간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디렉터를 역임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네트워크 전시 '아시아 쿨라 쿨라―링'의 전시감독을 맡았으며, 지은 책으로 <동서양의 문명과 과학적 사유>(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윤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작가, 전자 음악 작곡가. 현재 서울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최근작은 유체역학의 예술적 잠재성과 메타 물질(포토닉 크리스탈), 전자 유체 역학의 맥락에 집중되어 있으며, 작품은 ZKM(독일), Ars Electronica(오스트리아), 국제 뉴미디어아트 트리엔날레(중국), VIDA 15.0(스페인), Ernst Schering Foundation(독일),Transmediale(독일), New York Digital Salon(미국), Electrohype(스웨덴), Medialab Madrid(스페인) 등 국제적으로 선보였다.
펼치기
정문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컴퓨터 과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서강대학교 아트 & 테크놀로지 학과 교수이다. 지난 20년간 서강미디어랩(Sogang MediaLab, medialab.sogang.ac.kr)을 이끌어 오면서,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하는 동시에 과학과 기술 속에 숨어 있는 신비로움을 발견하고 이를 표현하고자 했다. 특히 사람들이 산업사회, 정보사회로 이전하면서 잃어버렸던 자연과의 교감을 회복하고 경험하려는 작업을 하고 있다.
펼치기
최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 홍익대 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홍익대, 부산대, 강릉원주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독일낭만주의 소설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키틀러 디지털 매체론에서의 시지각과 이미지 연구', '디지털 시대의 ‘세계상’, 컴퓨터 그래픽 연구', '문화기술론적 관점에서의 인간과 예술의 이해' 등이 있다.
펼치기
유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홍익대학교에서 “아도르노 미학에서의 기술(Technik)”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3년 생태미학예술연구소를 설립하고 생태, 예술, 환경, 기술을 키워드로 생태 미학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다양한 전시와 세미나를 기획했다. 과학 융복합 전시기획으로 2017년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주최한 ‘기후변화대응화학예술특별전: 화성에서 온 메시지’가 있다.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기획한 한국생태미술 조사연구사업의 책임연구원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 『대중문화와 미술, 수백 개의 마릴린 먼로와 수천 개의 모나리자』(2014), 『인공지능시대의 예술』(공저, 2019), 『한국생태미술의 흐름과 현재』(공저, 2021)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아도르노 기술 개념에서 본 디지털 시대의 예술”, “생태미학에서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개념 연구-Sacha Kagan의 지속가능성 개념을 바탕으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컴퓨터의 스크린 상에는 보이지 않는 점點의 추상성에 대해 생각해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