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덕궁 깊이 읽기

창덕궁 깊이 읽기

박상진, 유홍준, 박정혜, 김동욱, 서영희, 김영운, 황정연, 최종희, 권선정, 양정석, 박수희 (지은이), 국립고궁박물관 (엮은이)
글항아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창덕궁 깊이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덕궁 깊이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67350123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2-09-05

책 소개

왕실문화 기획총서 3권. 김동욱, 유홍준 등 각계의 11명 전문가가 2011년 국립고공박물관의 '왕실문화 심층탐구' 교양강좌를 바탕으로 전면 재집필한 이번 책은 조선을 대표하는 궁궐인 창덕궁을 그야말로 심층적으로 들여다본 본격 궁궐연구서이다.

목차

왕실문화 기획총서를 펴내며
책머리에|조선왕조 최고의 문화와 예술의 전당, 창덕궁

창덕궁에 스며든 오백 년 세월, 그 어긋남의 미학
건축적 아름다움은 어떻게 완성되는가_김동욱 경기대 건축학과 교수

붓끝에서 살아난 창덕궁
그림으로 살펴본 궁궐의 이모저모_박정혜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비운의 왕, 뛰어난 문예취미
낙선재에서 이뤄진 헌종의 서화 수장_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왕의 얼굴을 화폭에 담다
창덕궁 선원전과 조선 왕들의 어진 제작_황정연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오백 년 왕의 숨결과 함께한 창덕궁의 꽃과 나무
「동궐도」 『조선왕조실록』과 함께 살펴본 궁궐의 식물_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

그 넓은 후원을 가꾼 이들의 마음을 엿보다
창덕궁 후원 구조적으로 읽기_최종희 배재대 생명환경디자인학부 교수

동궐을 꽃피운 예술의 절정
잔치와 의식을 빛낸 조선의 춤과 음악_김영운 한양대 국악과 교수

조선의 서울 자리를 겨루다
풍수로 창덕궁 읽기_권선정 전 서원대 지리교육과 교수

대한제국 최후의 정전正殿, 인정전
한인무용韓人無用의 개조_양정석 수원대 사학과 교수

조선 왕실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키다
근대 조선 왕실의 장식화와 창덕궁 벽화 읽기_박수희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

대한제국 황실의 마지막 모습
영친왕과 덕혜옹주_서영희 한국산업기술대 교양학과 교수

주註 / 참고문헌 및 더 읽어볼 책들 / 지은이

저자소개

박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 서울대학교 임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산림과학원 연구원, 전남대학교 및 경북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목재공학회 회장, 대구시청 및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했다. 2002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 2014년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 포상 대통령표창, 2018년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청와대의 나무들》, 《청와대의 나무와 풀꽃》, 《우리 나무 이름 사전》, 《궁궐의 우리 나무》, 《나무탐독》, 《우리 나무의 세계》Ⅰ·Ⅱ, 《우리 문화재 나무 답사기》,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 《역사가 새겨진 나무 이야기》를 비롯하여 아동서 《오자마자 가래나무 방귀 뀌어 뽕나무》, 《내가 좋아하는 나무》가 있다. 해외 출간 도서로는 《朝鮮王宮の樹木》, 《木刻八万大藏经的秘密》, 《Under the Microscope: The Secrets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등이 있다.
펼치기
유홍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서울 서촌에서 태어나 중동고, 서울대 미학과,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석사),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과(박사)를 졸업했다.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으로 등단한 뒤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며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와 제1회 광주 비엔날레 커미셔너 등을 지냈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과 대구에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공개강좌를 개설하고, ‘한국문화유산답사회’를 이끌었다.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재청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정년퇴임 후 석좌교수로 있다. 저서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국내편 1~12, 일본편 1~5, 중국편 1~3), 『국토박물관 순례』(1·2), 평론집 『다시 현실과 전통의 지평에서』, 미술사 저술 『조선시대 화론 연구』 『화인열전』(1·2) 『국보순례』 『명작순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1~6) 『추사 김정희』 등이 있다. 제18회 만해문학상(2003)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박정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생. 미술사학자. 오늘날 우리가 조선시대 궁궐과 왕실의 그림을 익숙하게 떠올릴 수 있게 된 것은 명실상부 그의 연구 덕이다. 누구보다 일찍 조선시대 기록화, 궁중회화, 채색화 분야 연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그는 궁중기록화의 세계를 거쳐 조선 양반들이 남긴 사가기록화로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여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가 우리 곁으로 생생하게 다가오게 하였고, 학자로서 평생 매진해온 궁중기록화의 총체를 다시 한 번 총집성하여 펼쳐내 보였다.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고,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겸임교수를 거쳐,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방문교수, 스토니브룩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2002년부터 지금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 양성에 각별히 힘을 쏟고 있는 그는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 서울시?경기도?경상북도 문화재위원,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국립중앙박물관?국립고궁박물관?서울역사박물관 운영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미술사연구회 회장 활동 등을 통해 지식의 사회 환원에도 애쓰고 있다. * 그동안 펴낸 책으로는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영조 대의 잔치 그림』, Court Painting from the Joseon Dynasty ,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 등이 있고, 이 밖에도 『조선왕실의 행사 그림과 옛 지도』, 『왕과 국가의 회화』, 『조선궁궐의 그림』, 『왕의 화가들』, 『조선의 명승』, 『한국미술, 세계를 만나다: 근대기 외국인 컬렉터 연구』등 여러 권의 공저와 「의궤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화원」, 「대한제국기 화원 제도의 변모와 화원의 운용」, 「현종정미온행계병과 17세기의 산수화 계병」, 「조선후기 〈왕회도〉 병풍의 제작과 의미」, 「19세기 궁궐 계화와 〈동궐도〉의 건축 표현」을 비롯한 수십 편의 논문이 있다. 조선시대 사가기록화, 옛 그림에 담긴 조선 양반가의 특별한 순간들』로 2023년 제36회 우현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동욱 (감수)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2017년 현재 명예교수로 있으며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건축물의 외형보다는 당시 지식인들의 건축에 대한 생각, 건축을 짓는 데 참여한 장인들의 기술, 물질적인 여건 등을 통해 시대의 건축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동아시아 속 우리 건축 이야기》(2015),《(개정) 한국건축의 역사》(2013), 《도산서당 선비들의 이상향을 짓다》(2012), 《실학 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2002),《조선시대 건축의 이해》(1999), 《18세기 건축사상과 실천》(1996), 《한국건축공장사연구》(1993), 《종묘와 사직》(1990), 《창덕궁 깊이 읽기》(공저, 2012) 《영건의궤-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공저, 2010)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조선 초기 경복궁의 공간구성과 6조대로〉, 〈현륭원의 입지선정과 원침계획에서 정조의 역할〉, 〈18세기 구 수원읍내 주민구성과 주택규모〉 등이 있다.
펼치기
서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공학대학교 지식융합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문화재청 근대문화재 전문위원, 경기도 문화재 위원, 인천시 문화재 위원을 역임했고, 역사도시서울위원회 부위원장,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 과정과 정치세력의 동향에 관해 연구해 왔으며, 자주적 근대국가 수립에 실패하고 식민통치를 겪었던 역사적 경험이 현대 한국인의 삶에 남긴 유산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일제 침략과 대한제국의 종말』, 『아! 그렇구나 우리 역사 근대편』, 『조선총독부의 조선사 자료수집과 역사편찬』 외에 다수의 공저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영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국악고등학교(거문고 전공)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이론 전공)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에서 음악석사(이론 전공)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고전 시가 전공)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충청남도 서산 서령고등학교 음악교사, KBS-FM 프로듀서를 거쳐, 강릉대학교 음악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정보센터소장·대학원장,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2020년 현재 (재)국악방송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음악협회 감사, 한국민요학회 회장, (사)한국국악학회 기획이사·상임이사·부이사장·편집위원장·이사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음악사학회·한국시가학회·한국시조학회 회원이다. 문화재청·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 문화재 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위원·이북5도 문화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제57·58·60회 한국민속 예술축제 추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평화방송 <흥겨운 우리 가락>, 강릉MBC <일요명곡산책>, KBS-FM <흥겨운 한마당>·<국악의향기>, KTV <우리 가락 우리 춤>, GBF 국악방송 <국악박물관>·<풍류산책>·<국악산책>의 진행자로 활동하였다. 그간의 활동으로 제3회 관재국악상(2008), 제13회 난계악학대상(2009), 옥관문화훈장(2018), 녹조근정훈장(2019)을 받았다.
펼치기
황정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논저로는 「조선시대 서화수장書畵收藏 연구」, 「『흠영欽英』을 통해 본 유만주兪晩柱의 서화 감상과 수집활동」(『미술사와 시각문화』 7호), 『조선왕실의 미술문화』(공저, 대원사, 2005) 등이 있다.
펼치기
최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및 이탈리아 국립 제노바대학교 건축 전문대학원 ‘정원건축 및 경관계획’ 전공 과정을 졸업했다. 현재 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에 재직중이며, 이코모스 한국위원회 및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 『서양조경사』(공저, 문운당, 2005),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공저, holllym, 2007), 『동양조경문화사』(공저, 도서출판 대가, 2009), 『창덕궁 깊이 읽기』(공저, 글항아리, 2012), 『유헙 풍경식 정원의 미학』(공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그림으로 보는 조경사』(공역, 기문당,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권선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서원대 지리교육과 교수. 저서 『풍수로 금산을 읽는다』, 『대덕의 풍수』, 공저 『산·수·풍의 조화를 꿈꾸는 풍수』, 『역사지리학강의』, 논문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외 다수.
펼치기
양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 사학과 교수. 저서 『한국 고대 정전의 계보와 도성제』, 『황룡사의 조영과 왕권』, 논문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본 행주대첩에 대한 재검토」 외 다수.
펼치기
박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 논문 「조선 후기 개성 김씨 화원 연구」 외 다수.
펼치기
국립고궁박물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궁궐 유물들을 전문적으로 수집, 전시하는 문화재청 소속 박물관이다. 서울 경복궁 경내 동쪽에 있으며 국가적 의례와 궁중의 실생활을 보여주는 유물 4만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광복 60주년이던 2005년 8월 15일, 문을 열었으며, 지금까지 다양하고 시의성 있는 왕실 문화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