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6897125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10-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홀로 견디어 온 당신 앞에 우리 모두는 죄인이다
chapter 1 성범죄의 원인과 심리
1. 성이라는 네 가지 국면
2. 성이 범죄로 변하는 순간
3. 성범죄는 학습되고 진화한다
4. 가장 잔인한 히스토리오그래피, 성범죄의 역사
chapter 2 성범죄 가해자, 그들은 누구인가
1. 읍소형 : 반성과 뉘우침을 갖는 유형
2. 회피형 : 용서를 구하면서 뉘우침이 없는 유형
3. 몰두형 : 희롱과 추행을 지속하는 유형
4. 전가형 : 피해자 탓으로 돌리는 유형
5. 폭행형 : 폭언과 폭행을 가하는 유형
6. 낭만형 : 성범죄를 사랑으로 포장하는 유형
chapter 3 가해자의 왜곡된 성인식
1. 성범죄에 관한 뿌리 깊은 신화들
2. 가해자의 사고회로, 신화의 출발
3. 성범죄가 반복되는 이유
4. 가해자의 프로파일
chapter 4 피해자의 절규, 혼자만의 싸움
1. 피해자의 잘못은 1도 없다
2. 남녀의 차이를 알면 성범죄가 보인다
3. 가해자와 주변인의 회유와 협박
4. 무고와 성폭력의 갈림길에서
chapter 5 피해와 상처 그리고 심리변화
1. 성범죄 피해가 유독 심각한 이유
2. 성범죄 피해는 남자와 여자가 다르다
3. 성범죄에도 골든타임이 있다
4. 성범죄가 낳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
5. 심리적 상처가 낳은 자살
chapter 6 잘못된 심리상담, 잘된 심리상담
1. 피해자 상담과 일반 심리상담의 차이
2. 관계중독이 가져온 성범죄
3. 피해자 상담의 궁극적인 목표
4. 피해자의 상처는 반드시 치료되어야 한다
chapter 7 성범죄의 대처방법과 해결
1. 성범죄는 초기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
2. 가해자를 쉽게 용서하지 마라 그러나…
3. 건강한 조직문화를 위한 제언
4. 피해자의 심리상담과 심리치료
5. 성범죄가 없는 이상적인 남녀관계란
나가는 말
더 이상 비극은 없어야 한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은 이처럼 복잡하고 다면적이다. 성은 흔히 매체가 그리는 것처럼 단순히 섹스가 아니다. 학교며 직장이며 성교육을 그렇게 많이 시키는데도 성범죄가 계속 늘고 있는 건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아동행동진술분석관으로 있으며 성범죄 피해자들을 만나 보면, 오늘날 그릇된 성교육이 부정적인 성감정을 낳고 급기야 성에 대한 이해를 왜곡시키는 현실을 종종 마주하게 된다. 너무 안타까운 건 이들을 교육하는 현장의 인력도 턱없이 부족하지만 그나마 있는 인원도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하나 명심해야 할 것은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뉘우치는 것 같아도 실제로 충분히 반성하고 있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왜냐하면 스스로도 자신의 정서와 심리를 모르기 때문이다. 진정한 뉘우침을 가지려면 자신의 잘못을 깨달아야 하는데 대부분의 가해자들은 그렇지 못하다. 생각보다 이 부분을 이해시키기가 매우 힘들다. 단순히 이론을 배우는 게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진정한 사과와 반성이 있으려면 자신에 대한 감정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현대 학교 시스템은 학생이 사회인이 되기 위한 교육과정에 치중해왔다. 학령기 이전의 아이들은 유치원, 아니 어린이집이나 그 이전 가정에서부터 덧셈 뺄셈과 에이비씨를 배운다. 애들을 키운다는 어느 집이나 가보면 모든 문짝마다 알파벳과 한글이 적혀 있는 그림판이 덕지덕지 붙어 있다. 이처럼 우리 문화는 인생에 진입하는 단계에서 가장 먼저 배워야 할 지식의 우선순위에 문자와 숫자를 두는 데 익숙하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인간관계와 감정, 정서를 다루는 데에는 매우 서툴다. 사람은 서로 만나서 좋아하고 사귀기도 하지만, 갈등도 생기고 싸우기도 한다. 그렇게 인간관계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들에 무방비 상태에 놓인 어린 성인들이 오늘도 매년 수만 명씩 사회로 쏟아져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