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70135250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05-07-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미의 분석론
취미판단의 제1계기 : 성지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2계기 : 분량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3계기 : 취미판단에서 고찰되는 목적의 관계
취미판단의 제4계기 : 대상들에 관한 만족의 양상
분석론 제1장에 대한 총주
제2장 숭고의 분석론
A. 수학적 숭고에 관하여
B. 자연의 역학적 숭고에 관하여
해제- 비판철학의 완성과 낭만주의로의 이행
1. 칸트의 비판철학과 <판단력 비판>
(1) <판단력 비판>은 왜 씌어야만 했는가
(2)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을 매개하는 능력으로서의 파단력
(3) 매개 능력으로서의 반성적 판단력과 그 원리
2. <판단력 비판>과 앞선 비판서들의 일관성 문제
(1) <판단력 비판>에 대한 칸트의 구상은 일관돼 있지 않다?
(2) <판단력 비판>은 앞선 비판서들과 정합적이지 못하다?
(3) <판단력 비판>은 비판철학의 체계와 일관된 내용을 가지고 있다
3. <판단력 비판>의 두 부분에 대한 평가와 취미론의 위상
4. 칸트의 미학
(1) 칸트의 취미론
ㄱ. 미의 분석론 : 취미판단의 네 계기
ㄴ. 천재론
ㄷ. 도덕성의 상징으로서의 미
(2) 칸트의 숭고론
ㄱ. 숭고 개념의 기원
ㄴ. 미와 숭고의 공통점과 차이점
ㄷ. 숭고에 대한 칸트의 정의
ㄹ. 수학적 숭고
ㅁ. 역학적 숭고
5. 칸트 미학의 현대적 의의
용어해설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리뷰
책속에서
또한 아름다운 대상과 대상에 대한 아름다운 조망(이 대상들은 흔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판명하게 인식될 수 없는 일이 많다)은 구별되어야 한다. 후자에 있어서 취미는 상상력이 그 영역 안에서 포착하는 것에 집착하기보다는 오히려 상상력이 거기에서 창작할 수 있는 계기를 얻게 되는 것에 집착하는 것같이 보인다.
즉 거기에서 상상력은, 눈에 비치는 다양한 것들에 의해 계속해서 자극을 받는 동안 마음이 스스로 향유하고 있는, 고유한 환상에 집착하는 것같이 보인다. 이를테면 벽난로의 불이나 졸졸 흐르는 시냇물의 변화무쌍한 형태를 바라보는 경우가 그러하다. 이 양자는 미는 아니지만, 상상력의 자유로운 유희를 지속시키기 때문에 상상력에 대해서는 역시 하나의 매력을 지니는 것이다. - 본문 77~7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