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판단력 비판

판단력 비판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김상현 (옮긴이)
책세상
9,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8,910원 -10% 2,500원
0원
11,41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900원 -10% 390원 6,720원 >

책 이미지

판단력 비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판단력 비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91159313981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9-11-20

책 소개

<순수이성 비판>, <실천이성 비판>과 함께 3대 비판서로 불리며 비판철학을 완성하고, 근대 미학의 체계를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는 칸트의 기념비적인 저서 <판단력 비판>에서 '미의 분석론'과 '숭고의 분석론'을 발췌.번역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미의 분석론
취미판단의 제1계기 : 성지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2계기 : 분량의 범주에 따른 고찰
취미판단의 제3계기 : 취미판단에서 고찰되는 목적의 관계
취미판단의 제4계기 : 대상들에 관한 만족의 양상
분석론 제1장에 대한 총주

제2장 숭고의 분석론
A. 수학적 숭고에 관하여
B. 자연의 역학적 숭고에 관하여


해제- 비판철학의 완성과 낭만주의로의 이행

1. 칸트의 비판철학과 <판단력 비판>
(1) <판단력 비판>은 왜 씌어야만 했는가
(2)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을 매개하는 능력으로서의 파단력
(3) 매개 능력으로서의 반성적 판단력과 그 원리

2. <판단력 비판>과 앞선 비판서들의 일관성 문제
(1) <판단력 비판>에 대한 칸트의 구상은 일관돼 있지 않다?
(2) <판단력 비판>은 앞선 비판서들과 정합적이지 못하다?
(3) <판단력 비판>은 비판철학의 체계와 일관된 내용을 가지고 있다

3. <판단력 비판>의 두 부분에 대한 평가와 취미론의 위상

4. 칸트의 미학
(1) 칸트의 취미론
ㄱ. 미의 분석론 : 취미판단의 네 계기
ㄴ. 천재론
ㄷ. 도덕성의 상징으로서의 미
(2) 칸트의 숭고론
ㄱ. 숭고 개념의 기원
ㄴ. 미와 숭고의 공통점과 차이점
ㄷ. 숭고에 대한 칸트의 정의
ㄹ. 수학적 숭고
ㅁ. 역학적 숭고

5. 칸트 미학의 현대적 의의

용어해설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저자소개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Preußen) 쾨니히스베르크(K?nigsberg)에서 수공업자의 아 들로 태어났다. 1730~32년까지 병원 부설 학교를, 1732~40년까지 오늘날 김나지움(Gymnasium)에 해당하는 콜레기움 프리데리키아눔(Collegium Fridericianum)을 다녔다. 1740년에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 입학해 주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공부했다. 1746년 대학 수업을 마친 후 10년 가까이 가정교사 생활을 했다. 1749년에 첫 저서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을 출판했다. 1755/56년도 겨울학기부터 사강사(Privatdozent)로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자연신학 원칙과 도덕 원칙의 명확성에 관한 연구』(1764)가 1763년 베를린 학술원 현상 공모에서 2등상을 받았다. 1766년 쾨니히스베르크 왕립 도서관의 부사서로 일하게 됨으로써 처음으로 고정 급여를 받는 직책을 얻었다. 1770년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의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담당하는 정교수가 되었고, 교수취임 논문으로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를 발표했다. 그 뒤 『순수이성비판』(1781), 『도덕형이상학 정초』(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비판』(1790), 『도덕형이상학』(1797) 등을 출판했다. 1786년 여름학기와 1788년 여름학기에 대학 총장직을 맡았고, 1796년 여름학기까지 강의했다. 1804년 2월 12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고 2월 28일 대학 교회의 교수 묘지에 안장되었다. 칸트의 생애는 지극히 평범했다. 그의 생애에서 우리 관심을 끌 만한 사건을 굳이 들자면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1793) 때문에 검열 당국과 빚은 마찰을 언급할 수 있겠다. 더욱이 중년 이후 칸트는 일과표를 정확히 지키는 지극히 규칙적인 삶을 영위한다. 하지만 단조롭게 보이는 그의 삶은 의도적으로 노력한 결과였다. 그는 자기 삶에 방해가 되는 세인의 주목을 원하지 않았다. 세속적인 명예나 찬사는 그가 바라는 바가 아니었다.
펼치기
김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칸트의 미감적 합리성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전임대우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 하이데거에서 랑시에르까지, 현대철학자들의 미술론』(공저), 『이성의 운명에 대한 고백: 순수 이성 비판』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9315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