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7071651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2-09
책 소개
목차
1부•캐서린 켈러, 얽힌 희망의 타래를 풀어가는 생태-사물-정치-신학 이야기
얽힌 희망의 타래를 풀다-트랜스페미니스트 신학의 불/가능성
지금(now)의 정치신학: 인간의 예외성인가 행성적 얽힘인가?
창조, 묵시적 종말 그리고 정치신학의 물화(物化)
사랑으로 얽힌 비인간 우리(nonhuman-us): 기독교 범재신론의 물(物)
시대의 절망을 억누르지 말고, 사랑으로 하나님을 품기
절망으로 희망을 열다: 묵시적 종말론의 시대에 가능한 것의 신앙을 말하다
지구는 물화(物化)한다: 세대, 동기부여, 생태문명
2부•한국적 생태정치신학과의 만남과 대화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종말론과 물질에 대한 성찰_김은혜
캐서린 켈러와 유영모: 아포파시스, 하나님의 신비, 그리고 지구행성의 생태신학_김수연
팬데믹과 기후위기 시대의 존재와 윤리_ 송용섭
나 역시 남자가 아니다: 포스트휴먼 시대의 성(과 젠더에 대한 성찰 _박일준
부록 / 설교: 종말의 한, 희망의 살림
역자 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얽힌 희망의 타래를 풀다-트랜스페미니스트 신학의 불/가능성
우리는 이 비판적 절망에 대한 급진적인 목소리들을 진지하게 들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의 희망 이야기는 전혀 진실되게 들리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희망은 쉽사리 단순한 낙관주의로 퇴행한다.
아마도 욥이 아주 솔직하게 자신의 절망을 품었기 때문에, 마침내 창조세계의 야생적 아름다움에 대한 위대한 우주론적 계시를 소용돌이 바람 가운데 받는 은총을 누릴 수 있었는 지도 모른다. 그 불/가능성이 깨어져, 새로운 가능성으로 열린다. 따라서 여호와(YHWH)를 희망하는 것은 함께 엮임을 느끼는 것―즉 하나님과 함께 그리고 모든 피조물과 함께 엮임을 느끼는 것이다.
우리는 독립적이 됨으로서 의존성을 탈주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성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의존성을 탈피한다. 다시 말해서 독립적이 된다는 것은 ‘의존성 속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상호의존성 속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