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술윤리

기술윤리

(AI 혁명, 디지털 전환기의 윤리적 도전과 미래)

김승환, 김은혜, 김정형, 맹용길, 서덕영, 손화철, 송용섭, 이원형, 이은경, 이준우, 황은영 (지은이), 인간기술공생네트워크 HTSN (엮은이)
동연출판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술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술윤리 (AI 혁명, 디지털 전환기의 윤리적 도전과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64470824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02-17

책 소개

기술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시대, 인공지능이 일상을 파고든 시대에, 기독교 신학자들이 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최근 부상하는 다양한 기술 담론들에 윤리적으로 접근한 결과를 책으로 엮었다.

목차

머리말

1부_ 인공지능의 기술윤리적 성찰

김은혜╻인공지능의 도덕성과 도덕적 행위자(Moral Agent)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기독교 인공지능 윤리의 가치와 방향
송용섭╻도덕적 인공지능과 비도덕적 사회
이원형╻인공지능과 로봇 윤리의 다각적 이해
― 각기 다른 관점과 윤리적 이슈

2부_ 첨단 기술의 윤리적 논의들

황은영╻자유주의 우생학의 기획과 정치 신학의 응답
김정형╻우주 시대의 윤리적 쟁점
이준우╻복지 기술의 윤리적 이슈와 복지 선교 실천윤리
손화철╻ChatGPT와 연구윤리

3부_ 종교와 기술윤리의 만남

맹용길╻기독교 신학의 관점에서 본 과학과 기술과 윤리에 대한 논의
이은경╻기술 시대 행복에 관한 윤리적 논의와 영적 행복
서덕영╻컴퓨터 게임과 놀이 신학
김승환╻종교의 디지털 전환과 윤리적 규준에 관한 논의

저자소개

맹용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학사, 장로회신학대학 신학사, 미국 Columbia 신학교 (Th. M.), 미국 Emory 대학교 (Ph. D.)1974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역임, 신학교육협의회 회장, 동북아시아 신학교 협의회 회장 역임 •기독교윤리학 입문, 기독교윤리사상, 통합신학을 향하여, 나의 신학, 나의 윤리학 Plus 외 다수
펼치기
손화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교수. 서울대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벨기에 루벤대학교 철학과에서 〈현대 기술과 민주주의〉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철학의 고전이론, 기술과 민주주의, 포스트휴머니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철학, 미디어 이론, 공학윤리, 연구윤리 등이다. 저서로는 《AI의 세상에서 인간을 찾다》(2024, 공저), 《과학과 가치》(2023, 공저), 《미래와 만날 준비》(2021), 《호모 파베르의 미래》(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손화철의 다른 책 >
김정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TU, Ph.D.)에서 수학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연구지원처 조교수를 거쳐 지금은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종교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창조론: 과학 시대 창조신앙』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회 안과 밖에서 이루어지는 신앙교육과 종교교육 그리고 예전에 관심하며 기독교교육의 길에 들어섰다. 최근에는 오늘날과 같은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과학기술 시대에 신앙은 무엇이며, 인간은 무엇인지 그리고 포스트휴먼에게도 교육은 여전히 필요한지에 대해 고민하면서, 기후위기 시대 생태교육에도 관심하고 있다.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로이틀링엔 감리교신학교를 거쳐 튀빙엔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Dr. rer. soc.)를 받았다. 지금은 감리교신학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있으면서, 감리교생태목회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공저로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학》 《생태사물신학》 《기술신학》 《흩어진 MZ세대와 접속하는 교회》 《기후 위기, 한국교회에 묻는다》 《철학, 중독을 이야기하다》 《교육사상가의 삶과 사랑-서양편 2》 Suffering and Evil in Nature 외 다수가 있으며 《영성심리학》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김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기독교와문화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강사로 강의했다. 현재 전주시온성교회 담임목사로 섬기고 있으며, 저서로는 『하나님의 나그네 된 교회들에게』(비아토르), 『도시를 어떻게 충만케 할 것인가?』, 『도시를 어떻게 구원할 것인가?』(새물결플러스), 『공공성과 공동체성』(CLC),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도서출판100, 공저) 등이 있다.『천국에 대한 네 가지 견해』(IVP), 『천로역정』(CUP) 등의 책을 번역했다.
펼치기
송용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독교 사회윤리학 전공하고 영남신학대학교 신학일반 조교수로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겸임 교수 및 학부대학 객원 교수를 역임하였다. 『소수자의 신학』(동연, 2017), 『포스트휴먼시대 생명, 신학, 교회를 돌아보다』(동연, 2017), 『한국 교회 건축에는 공공성이 있는가』(동연, 2017) 등의 공동 저서와 『길들여진 냉소주의자의 노트 - 라인홀드 니버의 목회 단상 』(동연, 2014)를 번역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상담가 활용에 대한 미래 전망,” 「신학논단」 99(2020), “기호자본주의 한국사회의 정신병리현상과 치유를 위한 기독교적 대안 - 베라르디와 조국 언론 보도를 중심으로“ 「신학과 실천」 67(2019),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합적 교회 모델,” 「대학과 선교」 36(2018) 등의 학술논문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서덕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전자정보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한 후, 영상처리를 전공으로 미국 조지아텍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생산기술연구원에서 HDTV 개발에 참여하였고, 현재 경희대학교에서 전자정보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국제 표준화 회의에 한국 대표로 20여 년간 참가하였고, 관련해서 국제 등록 특허 70여 건을 보유하고 있다. 컴퓨터 게임 교육 및 개발에 관심이 있고, 저소득국가에서 ICT 교육을 돕는 활동을 준비 중이다. 현재 적정기술학회의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와문화 교수
펼치기
이준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 종교교육학과 졸업(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M.Div. equi.)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박사(M.A, Ph.D) 미국 사우스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 목회학 박사(D.Min) 강남대학교 복지융합대학 사회복지학부 교수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수화언어통번역학과 주임교수 강남대학교 융복합대학원 원장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설 복지공감연구소 소장 사단법인 한국자원복지재단 대표이사 지구촌교회 수어부 지도목사
펼치기
이원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동대학교 교수
펼치기
황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결대학교 교수
펼치기
인간기술공생네트워크 HTSN (엮은이)    정보 더보기
HTSN은 Human-Technology-Symbiosis Network의 약자로, 오늘날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기술과 과학의 발전이 ‘인류와 생태 문명의 공생’이라는 가치를 지향하도록 함께 고민하고 연구하는 단체이다. 지구상의 모든 존재들과 공존하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기술공학·생태학·물리학·생명공학·신학·철학·윤리학·교육학 등 기술 과학 및 인문 사회 전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이는 중간 기착지로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지향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술은 인간에 의해 발전하고 방향성이 결정되었다고 생각되지만, 기술 그 자체는 다양한 기술적 관계 안에서 진보와 쇠퇴를 반복해 왔다. 그런 의미에서 인류 사회에 등장한 기술의 발전과 최근의 인공지능 및 혁신적인 기술 체제는 이 문명이 목표하는 또 다른 기술적 초월의 이상향이자 갈망이기도 하다. 기술을 통해 인류는 시공간과 물질적 한계를 극복했고, 미지의 세계를 탐험했으며, 기술 문명을 통해 사회의 기술적 완전에 이르려고 시도했다. 기술은 하나의 세계이자 제국이다.
<머리말> 중에서


인간성이 배제된 기술은 원천적으로 윤리적 문제를 일으킨다. 도덕적 인간이 도덕적 AI를 만든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인공지능의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가능성은 적어도 피동자 중심의 윤리적 논의 안에서 첫째, 인간과 인간이 만든 물질세계와의 관련성 안에서 발전되어야 하고, 둘째, 그럼에도 인간과 구별된 자율성과 도덕적 결정에 대한 인공지능의 윤리적 특수성과 고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윤리적 원리와 규범적 가치를 개발하고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성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검토할 수 있는 이론과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김은혜 _ “기독교 인공지능 윤리의 가치와 방향” 중에서


전통적으로 인공지능 개발자는 특정 작업에만 최적화된 약(弱)인공지능(weak AI)의 개발에 집중해 왔고, 보통 그러한 특정 작업들은 실용적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보편적으로 윤리적 이슈를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었다.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고(AlphaGo)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알파고는 최적의 바둑 기법을 학습하고 예측하는 데 목적이 설정된 인공지능으로, 이를 개발하는 개발자에게 윤리적 책임이나 부담에 대해서는 그다지 요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심층학습(딥러닝, Deep learning) 기술의 발전과 생성형 AI의 등장 그리고 ChatGPT와 같은 거대 언어 모델의 개발은 인간 지능 수준의 강(强)인공지능(strong AI 또는 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의 가능성에 대한 기
대와 우려를 촉발하였고, 이러한 인공지능이 가져올 사회적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논의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사회 전반에 깔리게 되었다
이원형 _ 인공지능과 로봇 윤리의 다각적 이해>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