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래 한국의 선택 글로벌 상생

미래 한국의 선택 글로벌 상생

(세계경제 질서와 한국의 역할에 관한 경제석학들의 분석과 전망)

이창용, 이종화, 모종린, 김세직, 양두용, 최병일, 박원암, 김소영, 신현송, 강성진, 강동수, 임영재 (지은이)
동아일보사
14,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래 한국의 선택 글로벌 상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래 한국의 선택 글로벌 상생 (세계경제 질서와 한국의 역할에 관한 경제석학들의 분석과 전망)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090895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2-05-15

책 소개

KDI가 우리 시대 대표 경제학자 12인과 함께 진단한 G20질서와 세계경제 메가트렌드.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일어나고 있는 세계경제 변화의 흐름을 진단해보고, 이러한 상황 하에서 앞으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한국이 글로벌 이슈에 관심을 갖는 것이 왜 중요한 지,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것이 어떻게 우리의 국익과 연결되는지, 과연 우리가 어떤 이슈에서 주도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해 나갈 수 있는지, 그리고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 지에 대한 논의가 담겨 있다

목차

Chapter 1. 선진국 클럽모델에서 다자국 클럽모델로
- 세계경제 질서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키워드: 새로운 국제경제 질서에서 한국의 역할
이종화|이창용

Chapter 2. 불확실성의 세계경제
- 성장과 고용, 위기와 정책대응에 관하여

키워드: 세계경제 - 성장, 고용, 위기와 정책|김세직

Chapter 3. 심화된 세계경제 불균형
- 어떻게 바로잡을 것인가

키워드: 글로벌 불균형|박원암

Chapter 4.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 국제통화체제의 근간을 흔들다

키워드: 국제통화체제 개편논의와 신흥시장국의 선택
김소영|양두용

Chapter 5. 글로벌 금융개혁
- 견제인가 균형인가

키워드: 글로벌 금융규제개혁과 한국 경제
신현송|강동수

Chapter 6. 세계경제의 장기 침체
- 그 이면엔 경쟁적인 보호무역주의가 있다

키워드: G20과 무역: 주요 쟁점과 한국의 역할|최병일

Chapter 7. 거대한 기후변혁의 시기
- 더 이상 환경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키워드: 에너지·기후변화·녹색성장|강성진

Chapter 8. 국가 소프트 파워의 원천, 한국 개발 스토리
- 서울 개발 의제, 정책한류의 장을 열다

키워드: 국가브랜드로 떠오른 한국의 개발 성공사례|임영재

Chapter 9. 한국적 리더십, 무엇이 문제인가
키워드: G20과 글로벌 거버넌스|모종린

저자소개

이창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창용(李昌鏞) 박사는 1984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Harvard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Rochester 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가르친 바 있으며, 1994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경제학원론, 거시경제학, 금융이론 등을 가르쳤다. 현실의 경제 문제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는 이 박사는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에 게재된 논문을 비롯해 그동안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상아탑을 떠나 현실 경제에 뛰어든 그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아시아개발은행의 Chief Economist를 역임하고, 현재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아태국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190cm의 장신을 자랑하는 그는 농구, 테니스, 배구 등 여러 가지 운동을 두루 좋아한다.
펼치기
이종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석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 박사) 하버드대, 컬럼비아대, 호주국립대, 북경대 초빙교수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 이코노미스트 겸 지역경제통합국장 청와대 국제경제보좌관 한국경제학회 회장 현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교수 [주요 저서] “Education Matters. Global Schooling Gains from the 19th to the 21st Century” (with Robert J. Barro),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IMF Programs: Who Is Chosen and What Are the Effects?” (with Robert J. Barro),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2, October 2005. “How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ffect Economic Growth?” (with Eduardo Borensztein and Jose De Gregorio),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45, June 1998. “International Measures of Schooling Years and Schooling Quality.” (with Robert J. Barro), American Economic Review, May 1996. “Capital Goods Import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48, September 1995.
펼치기
모종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코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텍사스 오스틴대학교 조교수, 스탠퍼드대학교 후버연구소 연구위원,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장, 국제처장, 국제학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서 크리에이터 경제와 지역 발전 기회를 찾는 연구자. 스타트업 종사자, 예술가, 소상공인이 커뮤니티를 통해 문화와 산업을 만들어내는 도시를 꿈꾼다. 주요 연구 주제는 로컬 크리에이터가 활동하는 골목 상권, 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생태계다. 저서로 『크리에이터 소사이어티』, 『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 『골목길 자본론』, 『인문학,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가 있다. https://www.instagram.com/lifestyle.city
펼치기
김세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학위, 미국 시카고 대학에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루커스 교수와 낸시 스토키 교수를 지도교수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취득 후 IMF(국제통화기금) 리서치국에서 선임 이코노미스트(Senior Economist)를 역임했다. 2006년부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거시경제학, 화폐금융론, 경제성장론, 한국경제론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모방과창조》(2021), 공동 편저한《Korean Crisis and Recovery》(2002) 및 공저한 《창의혁명》(2016) 등이 있다. 2022년 옥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펼치기
양두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콜로라도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아시아개발은행 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기획예산처 자문관으로 근무하였으며 BIS 연구원을 지내기도 하였다. 현재 경희대 국제대학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Ten year after the Korean Crisis』『Global imbalance and it s implications on East Asian Economies』『Emerging Financial Risks in East Asia』 『Prospects for Regional Financial and Monetary Integration in East Asia』 등이 있다.
펼치기
최병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예일대에서 경제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이자 국제협상·국제통상 분야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학자로, 1992년 한미 통신 협상 및 1993년 우루과이라운드 서비스 협상의 주역이다. WTO 기본 통신 협상의 처음부터 끝까지 한국 협상 대표로 활동하면서 한국 통신 시장을 독점 체제에서 개방과 경쟁 체제로 성공적으로 전환하여 IT Korea의 초석을 쌓았다. APEC 국가 간 정보통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APII(Asia Pacific Information Infrastructure)를 제안하였고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최초의 APEC 정보통신 장관 회의를 1995년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데 기여했다.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출범과 함께 교수가 되어 대한민국 최초로 영어로 강의하는 국제학부를 창설하였으며, 초대 학부장 및 국제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세계적 협상 교육가인 하버드대 로저 피셔(Roger Fisher) 교수와 함께 한국에서의 윈윈(win-win) 협상 교육을 개척하였고, 갈등 해결에 대한 연구와 강의로 명성을 날렸다. 한국 민간 분야 대표 싱크탱크인 한국경제연구원 원장(2011~2014년)을 지냈고, 대통령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2011~2013년)을 역임했다.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회,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회, FTA 국내 대책위원회, 통상교섭 민간자문위원회에서 위원으로 활동했다. 한국협상학회, 한국국제통상학회,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UN 한국 협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2023년 12월 Royal Swedish Academy of Engineering Sciences(IVA)에 International Fellow로 선정되었다. 100년 넘는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는 IVA에 한국인이 International Fellow로 선정된 것은 네 번째며, 경제학자로는 최병일 교수가 최초다.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2020~2024년)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열어갈 글로벌 인재를 발굴·양성하고 학계와 산업계 그리고 세계를 연결하는 인재 혁신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Northeast Asia in 2030: Forging Ahead or Drifting Away?》, 《1%에 사로잡힌 나라》, 《기로에 선 한미 FTA 해법》, 《한국의 통상협상》 등이 있다. 이념적 편향을 극복하고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냉철한 협상 전략을 제시한 《한미 FTA 역전 시나리오》는 한미 FTA를 취재하던 기자들에게 바이블로 널리 읽혔고,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미국 편》은 치밀한 분석과 미래지향적 인사이트를 가진 베스트셀러로 꼽혔다.
펼치기
박원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홍익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MI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근무하였다. 거시 금융이 주요 연구분야이며, 최근에는 우리나라 경제발전과정에서 금융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체제전환모형을 이용한 외환위기 충격의 영속성 분석」 (2005), 「우리나라 경기변동의 영구성과 일시성」 (2004), 「What Caused the Crisis? A Post Mortem」(2004) 등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은행 100년사』 (공저, 2004),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추정과 전망』(공저, 2004) 등이 있다.
펼치기
김소영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예일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페인 중앙은행 연구위원, 일리노이주립대학(어바나 샴페인) 경제학과 조교수, 고려대학 경제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아놀드 베크만 학술상, 김태성 학술상, 청람 학술상, NEAR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논문으로 「Exchange Rate Anomalies in the Industrial Countries: A Solution with a Structural VAR Approach」(Nouriel Roubini와 공저)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U.S. Monetary Policy Shocks: Evidence from VAR’s」 「Twin Deficit or Twin Divergence? Fiscal Policy, Current Account and Real Exchange Rate in the U.S.」(Nouriel Roubini와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현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옥스퍼드대 학부를 거쳐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옥스퍼드대 경제학 교수와 런던 정경대 재무학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미국 프린스턴대 경제학과 교수로 경제이론과 금융경제학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0년에는 대통령실 국제경제보좌관으로 재직했다.
펼치기
강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시카고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주립대학(빙햄턴) 경제학과 조교수, 금융감독원 책임감독담당, OECD 이코노미스트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겸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임영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휘츠윌리암 칼리지 Fellow,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방문 강의 교수 등을 거쳤다. 공정거래 정책에 대한 기여로 2004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에서 한국의 개발경험 요소가 주요 빌딩블록에 채택되도록 기여했고(외교부장관 표창), 현재 OECD가 모든 연구와 활동을 전 세계 개발 시각으로 재정립하는 일에 핵심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KDI에서 법경제팀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