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채근담 강의

채근담 강의

홍응명 (지은이), 한용운 (엮은이), 이민수 (옮긴이)
서문당
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500원 -10% 2,500원
250원
6,750원 >
4,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450원
6,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채근담 강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채근담 강의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72434153
· 쪽수 : 276쪽
· 출판일 : 1999-08-05

책 소개

물질문명에 찌든 현대인에게 주는 정신의 양식! 채근담은 중국 명나라 말엽에 홍응명이 쓴 수신교양서이다. 유교·도교·불교 삼교의 통속적인 처세철학서로 경귀적인 짧은 문장으로 주축을 이루고 있다.

목차

해제
일러두기
1 修省
2 應酬
3 評議
4 閒適
5 槪論

저자소개

홍응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자성(自誠), 호는 환초도인(還初道人)으로, 명나라 말기 신종(1573~1619) 때 문인으로 추정된다. 《채근담》 외에 《선불기종》이라는 저서가 더 있다는 것 말고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가 어떤 인물이며 어떤 삶을 살았는지 등 그에 대한 어떠한 자료도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다.
펼치기
한용운 (엮은이)    정보 더보기
1879년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태어났다. 법명은 용운(龍雲), 법호는 만해(卍(萬)海)다. 어려서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했고, 설악산 백담사 오세암에 수년간 머무르며 불경을 공부하면서 다양한 독서를 통해 서양 근대사상을 접했다. 이 무렵 서구 문물과 세계정세를 알아보기 위해 연해주로 건너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만주를 거쳐 돌아왔다. 1901년 고향에 돌아와 2년간 은신한 후 다시 집을 나와 방황하다가 1905년 백담사에서 수계를 받고 승려가 되었다. 1908년에는 일본에 건너가 도쿄, 교토 등지의 사찰을 순례하고 조동종 대학림에서 불교와 동양철학을 연구했다. 이를 계기로 1913년 당시 조선 불교의 침체와 낙후성과 은둔주의를 대담하고 통렬하게 분석, 비판한 『조선불교유신론』을 발표하여 사상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여 독립선언 준비 과정에서 최린과 더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년간 옥고를 치르는 동안 검사의 취조에 대한 답변서로서 세칭 「조선 독립의 서」를 집필했다. 1922년 출옥 후에는 각지를 전전하며 강연을 통해 청년들의 각성을 촉구했고, 내설악 백담사에서 은거하면서 쓴 시집 『님의 침묵』을 1926년 간행하여 문단에 큰 파문을 던졌다. 50세를 전후하여 성북동 심우장(尋牛莊)에 은거하면서 불교 청년운동 및 불교의 대중화 운동을 벌였으며 『흑풍』 『후회』 『박명』 등의 장편소설과 상당수의 한시, 시조를 남겼다. 일제의 강요로 많은 지식인이 변절했을 때에도 끝까지 민족의 지조를 지켜 창씨개명을 거부했고 학병 출정에 반대했다. 그러나 1944년 6월 29일, 그토록 그리던 조국 광복을 눈앞에 두고 중풍으로 사망했다. 유해는 화장되어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으며,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이 수여되었다.
펼치기
한용운의 다른 책 >
이민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예동사숙에서 한문을 수학하고, 사서연역회 편집위원과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집필위원을 역임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저서로 『아계선생약전』, 『윤봉길의사약전』, 『사서삼경입문』, 『논어해설』, 『양명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으며, 역서로 『동의수세보원』, 『명심보감』, 『공자가어』, 『삼국유사』, 『연려실기술』, 『양반전』, 『당의통략』, 『연암선집』, 『효경』, 『순오지』, 『천자문』, 『부모은중경』, 『목련경』, 『오륜행실도』, 『동국붕당원류』, 『주역』, 『관혼상제』, 『격몽요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菜根譚講義≫는 洪應明의 ≪菜根譚≫을 萬海 韓龍雲이 講義한 것이다. 원래 ≪菜根譚≫에는 洪自誠의 萬曆本이 있고 洪應明의 乾隆本이 있다. 그 내용은 두 가지가 서로 공통된 점이 많지만, 후자가 전자보다 장수가 훨씬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전자를 약본, 후자를 광본이라고도 한다.
洪應明本, 즉 이 ≪菜根譚講義≫에 전체 수록된 내용은, 修省?應酬?評議?閒適 槪論 등 다섯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洪自誠本은 본서의 다섯째 편인 개론만으로 전문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알 수 없는 것은 洪自誠과 洪應明과의 관계인 것이다. 어떤 사람은 自誠이 자이고 應明이 본명이라 하기도 하고, 혹은 自誠과 應明은 사제 관계일 것이라는 설도 있는가 하면, 또는 전연 다른 인물이라는 주장도 있어, 자세한 판단을 내릴 수가 없다. 萬海는 自誠은 應明의 자로서 이는 동일인이라고 했다.(해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