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김상배, 표광민, 이원경, 유지연, 김도승, 윤정현, 안태현, 백욱인, 송경재, 송태은, 유인태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2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80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67071064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3-06-15

책 소개

디지털 사회의 10대 기본가치—존엄, 자유, 평등, 정의, 안전, 교육, 노동, 민주, 평화, 지속가능성—라는 개념적 렌즈를 통해서 새로운 가치의 내용과 의미 등의 이해와 진단을 시도하였으며, 미래방향을 전망함으로써 중장기적인 사회발전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총론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제1부 근본가치

제1장 존엄(Dignity)
제2장 자유(Freedom)
제3장 평등(Equality)
제4장 정의(Justice)

제2부 실행가치

제5장 안전(Safety)
제6장 교육(Education)
제7장 노동(Labour)

제3부 구현가치

제8장 민주(Democracy)
제9장 평화(Peace)
제10장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저자 소개
찾아보기

저자소개

백욱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 미디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전방위적으로 분석해온 사회학자다. 사이버스페이스, 디지털 문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며 연구 주제로 다룬 대표적인 1세대 디지털 사회 연구자이기도 하다. 저서로는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조건》(2023), 《인공지능과 지적재산권》(2023), 《번안 사회》(2018),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공저, 2023) 등이 있고, 니콜라스 네그로폰테의 《디지털이다》(1999)를 옮겼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윤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연구위원이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를 취득했으며,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 “Complex Challenges of Space Cybersecurity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ROK” (2024), “The Rise of Quantum Tech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National Security” (2024), 「뉴 스페이스 시대의 민관협력 변화와 한국형 발전방향 모색」(2023), 「반도체 공급망 안보의 국제정치」(2023), 「국방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의 주요 쟁점과 활용 제고 방안」(2021), 「신흥안보 위험과 네트워크 거버넌스: 불확실성 시대의 초국가적 난제와 대응전략」(2020) 등이 있으며,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를 아우르는 학제 간 융합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펼치기
윤정현의 다른 책 >
이원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 조치대학교(Sophia University) 글로벌교육센터 부교수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를 받은 뒤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정보통신정책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지역연구, 과학기술과 국제정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등이다. 주요 저서로 『일본 인터넷 민족주의 전개와 한국에 대한 함의』(2013), 『인터넷 미디어를 활용한 일본 시민운동의 현황과 의의』(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송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외교원 교수이다.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이버작전사령부 자문위원, 한국국제정치학회 신기술·사이버안보연구분과 위원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사이버외교안보연구실장 등을 맡고 있다. 현재 국립외교원 국제안보통일연구부에서 신흥안보 분야와 과학기술외교 분야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사이버안보의 국제정치학』,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신흥기술·사이버안보의 국가전략』,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등의 공저를 출간했다.
펼치기
유인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이다. 일본 와세다대학교 방문연구원, 전북대학교 조교수, 연세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정치학회와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사이버경제안보 연구실장,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기술안보연구실 연구위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거버넌스 연구협의회 운영위원이다. 사이버 안보, 경제(공급망) 안보, 신흥기술, 인터넷 거버넌스 등에 관한 국제정치(경제)를 연구해 왔다. 최근 연구로 「인공지능과 미·중 전략 경쟁의 국제정치: 글로벌 AI 반도체 공급망과 미국의 경제적 강압을 중심으로」, 「글로벌 첨단기술 공급망과 수출통제의 국제정치: 우주기술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의 사이버안보」, “Bilateral Cyber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n Northeast Asia”, “Cybersecurity Crisscross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Emergence of Indo-Pacific Digital Economic Order”, “Internet Governance Regimes by Epistemic Community”, 「경쟁적 사이버 안보 다자주의의 출현: 2004년 유엔 정부전문가 그룹부터 2021년 개방형 작업반까지의 분석」 등이 있다.
펼치기
유인태의 다른 책 >
송경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정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디지털 민주주의(민주주의 기술), 디지털 사회혁신, 디지털 기술의 정치과정, 지역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에 관한 연구 등이다. 대표 저서로는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읽는 디지털 기술사회』(공저, 2022, 사회평론아카데미), 『디지털 파워 2021: SW가 주도하는 미래사회의 비전』(공저, 2021, HadA) 등이 있다.
펼치기
송경재의 다른 책 >
김도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법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고 대통령소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법제연구원 법제분석지원실장, 전자정부추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공공데이터분쟁조정위원회 위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 자문위원, 행정안전부 데이터기반행정 실태평가 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가치평가자문단 위원, 인터넷신문자율공시기구(IDI) 검증위원장을 맡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학회 수석부회장(차기회장), 한국인터넷윤리학회 부회장, 한국정보법학회 총무이사 등을 맡아 정보법 분야에서 활발한 학술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개인정보 판례백선』(2022),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읽는 디지털 기술사회』(2022), 『디지털 뉴딜 시대의 스마트관광도시』(2021), 『재정건전성과 법치』(2020), 『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3.0』(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안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플라톤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누스바움 연구의 변화와 특징: 인간과 행복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정치적 해법”(2020), “문화외교와 공공외교(『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중)”(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유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정보경영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부연구위원으로 활동했다. 디지털 기술과 사회의 접점에서 깊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기술의 복합적 위험 구조를 분석하고 공학적 해법을 정책으로 연결하는 데 기여해 온 공학자다. 디지털 사회의 전략적 대응과 위험 관리에 관해 25년간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의 신뢰성과 국가적 차원의 안전성 확보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 경력 초기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초연결 사회의 디지털 하이브리드 위험 패러다임에 관한 기술 전략을 수립하고 국가 미래 전략 시스템 연구를 주도했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의 공학적 설계와 사회적 응용 간의 균형점을 찾아내며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주목받았다. 이후 학계로 진출하여 디지털 하이브리드 위험 관리 이론을 체계화했으며, 점차 인공지능 시스템의 기술적 신뢰성, 공급망 보안 강화를 위한 엔지니어링 프레임워크 연구로 영역을 확장했다. 한국인터넷윤리학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다학제 간 협업을 통해 디지털 기술의 복합적 영향력을 다각도로 분석해 왔으며, 그 공학적 기여가 기술 정책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저서로는 『20개의 핵심 개념으로 읽는 디지털 기술 사회』( 2022), 『디지털 사회 기본 가치』(2023) 등이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와 매체에 100편 이상의 연구 논문과 저술을 발표했다.
펼치기
표광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조교수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나 아렌트, 칼 슈미트 등의 정치사상과 국제 정치질서의 변화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정치기획으로서의 미래:기대지평들의 융합을 통한 미래의 도출”(2022), “‘정치의 귀환’의 구조: 세계와 국가 사이의 대립에 관하여”(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