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각예술에서 이미지란 무엇인가

시각예술에서 이미지란 무엇인가

윤익영, 이원곤, 조민환, 최병식, 김기주, 윤태석, 이홍복, 장석호, 전선자 (지은이), 박래경 (옮긴이)
눈빛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각예술에서 이미지란 무엇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각예술에서 이미지란 무엇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74091248
· 쪽수 : 245쪽
· 출판일 : 2003-12-31

책 소개

저자들은 오늘날의 우리는 '실체 없는 이미지들을 만나고 즐기고 생성하는 주체'라고 전제한다. 책은 우리 주변의 상, 이미지, 그림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해 다각적인 접근과 논의를 전개한다. 한국미술과 동양미술, 서양미술, 현대 매체이론전문가들의 9편의 글을 한 권의 책으로 엮었으며 각 연구자의 연구영역과 대상,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시대나 문화권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고 출발했다.

목차

서론 - 시각예술에서 본 이미지 문제/박래경

동양미학에서의 형상성과 이미지/조민환
중국의 형신관: 한과 육조를 중심으로/김기주
조선시대 막사발, 목공예의 형상적 특징과 근, 현대미술에서의 반영/최병식
한국 선사시대 암각화에 나타난 형상성의 특징에 관한 문제: 대곡리 암각화를 중심으로/장석호
한국 고대 석조미술의 형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불상과 탑파를 중심으로/윤태석
그림과 그림 개념 다시 보기/전선자
프라 안젤리코 '수태고지' 조형 분석: 성 마르코 수도원 벽화를 중심으로/윤익영
이코닉, 막스 임달의 현대미술 해석론/이홍복
디지털화의 상호작용성 그리고 테크노 에틱스의 전망에서 본 영상예술/이원곤

저자소개

윤익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파리 판테온-소르본 대학에서 「회화에서의 대칭론-1945년 이후」로 미술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 현재 국립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술사학자이자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신화, 성서, 알레고리 등 인문학적 관점에서 서양미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시민 강좌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논문으로 「한국 추상미술에 나타난 '여백'의 전통 : 구름길」, 「르네상스 미술 속의 음악 : 레오나르도 다빈치, 라파엘로를 중심으로」, 「19세기 프랑스 회화에 음악적 테마가 끼친 영향 : 쿠르베, 마네의 경우」 등이 있으며, 저서로 『카바바조』, 『도상해석과 조형분석』이 있다.
펼치기
조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교수 겸 유학대학원장, 풍수명리철학회, 동양예술학회, 도가철학회, 도교문화학회, 간재학회, 서예학회 회장,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인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철학연구회 논문상과 원곡 서예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동양 문인의 예술적 삶과 철학』 『조선조 서예미학』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양 예술 미학 산책』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중국철학과 예술정신』등이 있다. 공저로는 『강좌 한국철학』등 20여 권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덕지귀道德指歸』 『이서李漵「필결筆訣」역주譯註』 『태현경太玄經』등이 있다. 학술논문 160여 편과 서화잡지에 실린 100여 편의 서화평론글이 있다. 동양의 그림과 글씨 및 유물에는 유가철학과 도가철학이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철학과 동양예술의 경계 허물기에 주력하면서 예술작품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눈을 제시하고 있다.
펼치기
최병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서 철학박사이며 미술평론ㆍ박물관 미술관ㆍ예술경영 분야 전문가로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한국사립박물관협회, 한국사립미술관협회 등의 자문위원이며, 한국박물관협회 자문위원장, 박물관협회 복권기금 지원 평가단장을 역임하였다. 주요해외 국립박물관 실태, 국립박물관 무료화, 사립박물관 실태조사 및 진흥방안 관련 정책연구를 수행하였다. 10 여년간 500여개의 국내외 뮤지엄 현장을 조사, 연구하였으며, 〈오픈 에어 뮤지엄, 에코뮤지엄의 지역유산 활용과 지역사회 연계 사례〉〈한국의 미술관,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주요 외국 박물관교육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사립박물관 교육의 개선방안〉등의 논문과 20여 회의 세미나 발표를 비롯하여, 큐레이터, 에듀케이터, 미술관 협력망, 박물관 공공성 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주요 저서로 《문화전략과 순수예술》《미술시장과 아트딜러》《동양회화미학》외 20여권이 있다.
펼치기
김기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미학과 및 동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대학원에서 '중국 산수화의 기원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덕여대 미술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책으로 <중국미술사>(마이클 설리번) <미술비평사>(리오넬로 밴투리) 등이 있다.
펼치기
윤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 및 동대학원에서 조각을 전공했고, 같은 대학원의 미술사 박사과정에 있다. 카자흐스탄 국립대학에 유학한 바 있으며, 2004년 현재 경희대 부설 현대미술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펼치기
이홍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를 졸업하고 독일 보쿰대학에서 미술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호암미술관 선임연구원을 엮임했고, 현재 갤러리삼성플라자 관장으로 재직중이다. 막스 리버만과 앤디 훠홀 등의 현대미술가들과 독일의 미술사가이자 이론가인 막스임달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장석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미술대학과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몽골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에서 바위그림을 연구하였으며(1993~1994),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물질문화사연구소에서 중·동아시아의 바위그림 연구로 1999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와 경북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고구려연구재단의 연구위원(2004~2006)을 거쳐 현재 동북아역사재단책임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국보 제285호 대곡리 암각화와 국보 제147호 천전리 각석을 2000년과 2002년에 정밀 실측 조사하고 도면 제작과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러시아, 몽골, 카자흐스탄, 그리고 키르기스스탄 등지의 바위그림 유적들을 현지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조사하고, 『중앙아시아의 바위그림』(2007)을 비롯하여 6권의 조사자료집을 발간하였다. 또한 스칸디나비아, 카렐리야, 탄자니아, 오스트레일리아, 그리고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의 바위그림 유적을 현지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조사하였다. 『몽골의 바위그림』(1995), 『몽골의 암각화』(1998, 공저), 『알타이 스케치』1·2(2012·2013, 공저), 『고래와 바위그림』(2016, 공저), The Stone Chronicle of Altai (2014, Moscow, E.데블레트와 공저) 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선사예술기행?동굴 속 미술관과 그 작가들을 찾아서』(2005)가 있다. 그 밖에도 「한국 선사시대 암각화의 양식 연구」(2003), Rock Art Research in Korea(2010-2014): Daegok-RiPetroglyphs in Ulsan(2016, Oxford)을 비롯하여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전선자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뮌헨대학교 서양미술사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과 저서로는 「그림에 있어서 신체적 생태적 관점」, 「요셉 보이스의 “확장된 미술 개념”과 대안문화: 그의 종교적 생태학적 작품을 중심으로」, 「백남준과 플럭서스: 실증자료를 통한 플럭서스 공연의 중심 인물 백남준」,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발터 벤야민과 연관 속에서의 백남준의 행위예술작품 <오마주 존 케이지>에 대한 해설 시도: 생소화 효과와 아우라」, 『플럭서스 예술혁명』(공저), 『미디어의 교섭과 횡단』(공저)이 있다.
펼치기
박래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뭔헨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수학했으며 한양대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 현재 한국문화교류연구회 대표이사이며, 큐레이터와 미술평론가를 겸하고 있다. 옮긴책으로 <중심의 상실>(한스 제들마이어) <빛의 죽음> 등이 있고, 엮은책으로 <해학과 우리> <한국미술과 사실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