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개정판)

김석근, 박규태, 박전열, 심경호, 이애숙, 이원곤, 윤상인, 이정, 김양주, 이계황, 김용의, 배현미, 염혜정, 황달기, 김정례, 손종수 (지은이)
나무와숲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93632118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0-03-15

책 소개

다도, 기모노, 가부키와 노, 정원, 스모, 바둑, 마츠리, 혼례와 장례, 미의식, 문학, 하이쿠, 신사, 장인정신, 천황, 관료, 사무라이 정신 등 모두 16개의 코드를 통해 일본과 일본 문화 제대로 알기의 지평을 넓혔던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개정판. 이 책은 지난 2000년 초판 발간 이후 대학 교재로 채택되는 등 일본 전공자들에게 일본 이해의 좋은 길잡이가 되어 왔다.

목차

서문 _ 타자를 바라보는 시선의 윤리

Code 1 다도 박전열

구도의 세계에 닿으려는 정신활동
다도의 경지와 참선의 경지는 같다|다회를 여는 일곱 가지 방식|다실과 정원, 그리고 다회 풍경|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와비’라는 미의식|선종과 함께 전래된 다도의 역사

Code 2 기모노 염혜정

작은 체구를 위한 겹쳐입기의 미학
대륙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다양한 미 형성|화려한 일본 왕조 복식의 극치, 주니히토에|복장의 간소화로 이어진 기모노 역사|에도시대의 소시민들이 꽃피운 기모노 문화|복식 문화의 유행을 주도한 ‘가부키’|양장의 시작과 함께 기모노 개량 시대 열리다|젊은이들에게 여전히 인기있는 기모노의 매력|격조와 기품의 상징인 ‘도메소데’|미혼 여성들만의 특권인 화려한 ‘후리소데’|각종 모임에 어울리는 ‘호몬기’|한여름밤을 더욱 흥겹게 해주는 ‘유카타’

Code 3 가부키와 노 심경호

비현실세계에서 느끼는 일상의 카타르시스
서민의 예능 ‘가부키’, 사무라이 가문의 의식, ‘노가쿠’|음악·무용·기예의 종합예술인 ‘가부키’|풍부한 레퍼토리를 뜻하는 ‘십팔번’|기호화·양식화된 가부키 무대|연극·춤·사설·시의 혼합체 ‘노’|잔혹함·혼령의 세계 다룬 독특한 무대예술

Code 4 정원 배현미

생활 속으로 끌어들인 정토사상과 신선사상
독특한 생활환경이 낳은 정원 문화|자연 풍광을 옮겨놓은 ‘츠키야마린센식’ 정원|츠키야마린센식 정원의 구성 요소|츠키야마린센식 정원의 유형|선종 영향으로 발달한 ‘가레산스이식’정원 |차시츠와 함께 발달한 검소한 정원 ‘차테이’|정토사상과 신선사상의 표출

Code 5 스모 김용의

천황의 권력을 확인하던 정치적 퍼포먼스
스모는 단순한 힘겨루기 스포츠가 아니다|스모의 기원과 역사|혼바쇼와 도리쿠미|리키시의 계급과 반즈케|계급에 따라 머리 모양과 복장 달라|리키시 이름의 유래|도효의 구조|혼바쇼에서 벌이는 도효마츠리|세계화를 겨냥한 스모의 변화

Code 6 바둑 손종수

세계는 바둑을 ‘고’라고 부른다
천 년의 틀을 깨고 한·중 양국을 추월한 일본|일본 바둑의 유래|3대 무장과 승려 닛카이|기원 4가의 생성|마지막 세습 메이진 슈사이|현대 바둑의 메카 일본

Code 7 마츠리 김양주

금지된 일상으로부터의 해방
신에 대한 기원과 감사가 기본 정신|마츠리의 역사와 변천 과정|마츠리의 구성과 과정|마츠리의 역할과 기능|일본인에게 마츠리란?|마츠리 그리고 지역 축제

Code 8 혼례와 장례 황달기

가족 공동체를 확인하는 인생의 통과제의
“딸이 셋이면 대들보가 내려앉는다”|결혼 힘든 농촌 총각, 국제결혼이 돌파구|사람은 죽으면 누구나 신이 된다|장의업은 유망한 신종 비즈니스|천황이 본보기 보인 화장 문화

Code 9 미의식 이원곤

절제의 미학, 풍요로운 예술세계
사쿠라와 하나비로 대표되는 일본인의 미의식|귀족 미술에서 서민 미술로의 변화 과정| 유럽 인상파를 탄생시킨 우키요에와 샤라쿠|일본 미술 성립 과정|일본화와 서양화|일본의 현대 미술

Code 10 문학 이애숙

『고지키古事記』에서 바나나의 『키친』까지
일본 문학을 이해하는 열쇠 『고지키』와 『만요슈』|사랑과 정치권력의 대서사시 『겐지모노가타리』|중세 문학의 쌍두마차 세이 쇼나곤과 무라사키 시키부|문학 주체를 서민으로 확대한 가부키와 조루리

Code 11 하이쿠 김정례

17음절로 표현하는 시의 세계
함축과 생략의 미학|하이쿠 문예의 형식적 특질-정형·기고·기레지|하이쿠 문예의 성립 배경과 시대적 변천|근대 하이쿠의 혁신|공동사회적 요소-결사와 구카이|일상을 노래하는 시세계|하이쿠의 국제화

Code 12 신사 박규태

교조도 경전도 없는 종교
신사의 풍경|일본에서 가장 사랑받는 신사|신도는 생활과 밀착된 전통문화|신과 인간은 동격이라는 의식|태어나서 죽기까지 신사와 함께 하는 일본인|우리에게 신도란 무엇인가

Code 13 장인정신 이 정

대를 물리는 장인정신과 기업문화 풍토
전문화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노사관계의 기본은 대립이 아닌 협조| 주어진 운명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일본인의 의식|‘개인은 검소하게, 사회는 풍요롭게’|홈리스족들도 일이 없으면 못산다

Code 14 천황 이계황

국민과 국가를 통합하는 상징적 이데올로기
고대의 천황 및 천황제| 중세의 천황 및 천황제|근세의 천황|근대의 천황제|현대의 상징적 천황제

Code 15 관료 김석근

일본을 움직이는 실질적인 운영자
일본 발전의 견인차|가장 근대적이고 잘 짜여진 조직|2차 세계대전 후 새롭게 출발|정치도 관료사회를 넘지 못한다

Code 16 사무라이 정신 김석근

무사도, 일본의 혼?
천황제 부활 촉구하고 할복한 미시마 유키오|무사도의 기원과 전개| 무사도에서 사도로의 전환|“꽃은 사쿠라, 사람은 사무라이”|전통의 재발견 혹은 창조?

저자소개

김석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교수를 지냈다.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아산서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양철학사, 한국정치사상,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문화대탐사』, 『선비정신과 한국사회』 외 다수가 있다. 아울러 『일본정치사상사연구』,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마루야마 마사오: 주체적 작위, 파시즘, 시민사회』 등 일본 사상사 관련 저작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해왔다.
펼치기
박규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학과 명예교수이다. 주요 저서로 『일본재발견: 일본인의 성지(聖地)를 걷다』(2020), 『현대일본의 순례문화』(2020), 『일본정신분석』(2018), 『신도와 일본인』(2017), 『일본 신사(神社)의 역사와 신앙』(2017), 『포스트-옴 시대 일본 사회의 향방과 ‘스피리추얼리티’』(2015), 『라프카디오 헌의 일본론』(2015), 『일본정신의 풍경』(2009), 『상대와 절대로서의 일본』(2005), 『아마테라스에서 모노노케히메까지』(2001) 외 다수가 있으며, 주요 역서로 『일본문화사』(폴 발리, 2011), 『신도, 일본 태생의 종교시스템』(이노우에 노부타카, 2010), 『국화와 칼』(루스 베네딕트, 2008), 『신도』(스콧 리틀턴, 2007), 『황금 가지 1·2』(제임스 프레이저, 2005), 『세계종교사상사 3』(미르치아 엘리아데, 2005), 『일본 신도사』(무라오카 쓰네쓰구, 1998),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시마조노 스스무, 1997)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전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졸업 일본 쓰쿠바대학 대학원 문학박사 일본민족학박물관 객원 교수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객원 연구원 일본 다도 우라센케 연구원 한국민속학회장 역임 한국일본역사문화학회장 역임 중앙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 일본문화론을 전공했으며, 특히 공연문화와 다도문화 연구에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 『門付けの構造』 『봉산탈춤』 『일본전통문화론』 역서 『조선의 향토오락』 『일본영화의 이해』 『일본다도의 마음』
펼치기
심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55년 충북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 및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학 입문』 『김시습 평전』 『안평』 『김삿갓 한시』 『내면기행』 『산문기행』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호, 주인옹의 이름』 30여 종이 있다. 역서로 『주역철학사』 『서포만필』(상·하)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1~3) 30여 종이 있다.
펼치기
이애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도쿄대학에서 일본 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일본 출판사 가사마쇼인의 《색채로 본 왕조문학(色彩から見た王朝文学)》 (단독), 《문학사의 시공(文学史の時空)》 (공저), 분가쿠츠신의 《동아시아문화강좌 제4권 동아시아의 자연관(東アジア文化講座第4巻、東アジアの自然観)》 (공저), 《고전의 미래학(古典の未来学)》 (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창작과 비평의 《방랑기》, 삼천리의 《히로시마 노트》, 《오키나와 노트》 등이 있다.
펼치기
이원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 이원곤은 서울대 회화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츠쿠바대학 예술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이수하였습니다. 현재 단국대학교 예술학부 서양화과 교수로 미디어 아트 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그외에도 작품, 전시기획, 비평, 학술연구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으며, 저서에는 <디지털화 영상과 가상공간>, <영상예술>, <영상기계와 예술> 등이 있다.
펼치기
윤상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 대학교에서 비교문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런던 대학교 객원 연구원과 한양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문학의 근대와 일본』, 『일본의 발명과 근대』(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나쓰메 소세키의 『그 후』를 비롯해 『문학, 어떻게 읽을까』, 『오에 겐자부로, 작가 자신을 말하다』(공역) 등이 있다. 이와나미쇼텐(岩波書店)에서 출간한 『세기말과 나쓰메 소세키(世紀末と漱石)』로 일본 산토리 학예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경대학 법학부 법학연구생․석사․박사, 큐슈(九州)국립대학 법학부 교수,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회장, 한국노동법이론실무학회 회장, 한국외대 로스쿨 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강의와 집필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노동법체계의 새로운 지평」(법문사, 2023)을 비롯하여 「解雇紛爭解決の法理」(信山社, 2001), 「整理解雇と雇用保障の韓日比較」(日本評論社, 2002), 「노동법의 세계」(지식출판원, 2015), 「일본노동법」(법문사, 2015)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계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9월 충남 당진군 면천 출생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대학원 사학과 석사 졸업 일본 교토대학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현 인하대학교 명예교수 전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전 외교통상부 독도정책 자문위원 전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전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검정심의회 위원장
펼치기
김용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남대 일어일문학과 교수이다. 전남대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일본 신화를 공부하였다. 일본 오사카대학 대학원에서 일본문화학(민속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일설화의 비교, 오키나와 문화, 일제강점기 한국문화의 변용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도노 모노가타리』(역서),『유로설전』(역서),『혹부리 영감과 내선일체』(저서),『일본설화의 민속세계』(저서),『일본의 민담』(역서),『일본의 스모』(저서),『오키나와 구전설화』(역서),『일본 사찰의 음식수행』(역서),『동중국해문화권』(공역),『저주하는 일본인 저주받는 일본인』(공역),『괴이와 신체의 일본문화』(공역),『日本文化の人類學異文化の民俗學』(공저),『國際化時代と遠野物語』(공저),『現代に生きる妖怪たち』(공저),『國境を越える民俗學』(공저),『妖怪文化の傳統と創造』(공저),『文學硏究の窓をあける』(공저), 『古典の未來學』(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배현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효자종합건설에서 설계 및 시공 등 현장 실무경험을 쌓았으며, 이후 일본 도쿄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국립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조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학, 환경심리행태, 조경설계, 경관디자인, 산림풍치, 환경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학생교육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The University of Tokyo, Awaji Landscape Planning and Horticulture Academy 객원교수를, Kyoto Saga University of Arts 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 중앙산지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조달청 및 영산강유역환경청 심의위원과 지역 시·도·군의 심의 및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염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및 동대학원 석사 일본 Bunka Gakuen University 박사 뉴질랜드 The University of Auckland 연구교수 (주)클리포드 의류사업부 과장 현 전북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펼치기
황달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일본학과 교수(사회인류학) 『일본의 사회와 교환』(아세아문화사, 1990),『관광인류학의 이해』(역서, 1997),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공저, 나무와 숲, 2000),『일본의 여행과 관광문화』(공저, 도서출판소화, 2006), 『일본의 축제와 지역사회』(제이엔씨, 2011) 외 다수
펼치기
김정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도호쿠(東北)대학 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일본의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와 국문학연구자료관, 교토대학의 초빙교수를 지냈다. 일본고전시가와 전통문화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주요 저역서로 ≪바쇼의 하이쿠 기행≫(총 3권), ≪일본고전시가선≫, ≪일본문학을 읽는 시간≫(공저), ≪언어 속의 한일관계(言語の中の日韓関係)≫(공저), ≪사상공간으로서의 한일관계(思想空間としての日韓関係)≫(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손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99년 일간스포츠 바둑 관전 기자로 시작해서 2010년 월간 『바둑』 편집장, 2015년 중앙일보 객원기자를 거쳐 세계사이버기원 상무로 재직했다. 2014년 『시와경계』 가을호 신인상으로 데뷔했으며 2017년 출간한 첫 시집 『밥이 예수다』가 세종도서 문학나눔에 선정되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