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93632118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0-03-15
책 소개
목차
서문 _ 타자를 바라보는 시선의 윤리
Code 1 다도 박전열
구도의 세계에 닿으려는 정신활동
다도의 경지와 참선의 경지는 같다|다회를 여는 일곱 가지 방식|다실과 정원, 그리고 다회 풍경|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와비’라는 미의식|선종과 함께 전래된 다도의 역사
Code 2 기모노 염혜정
작은 체구를 위한 겹쳐입기의 미학
대륙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다양한 미 형성|화려한 일본 왕조 복식의 극치, 주니히토에|복장의 간소화로 이어진 기모노 역사|에도시대의 소시민들이 꽃피운 기모노 문화|복식 문화의 유행을 주도한 ‘가부키’|양장의 시작과 함께 기모노 개량 시대 열리다|젊은이들에게 여전히 인기있는 기모노의 매력|격조와 기품의 상징인 ‘도메소데’|미혼 여성들만의 특권인 화려한 ‘후리소데’|각종 모임에 어울리는 ‘호몬기’|한여름밤을 더욱 흥겹게 해주는 ‘유카타’
Code 3 가부키와 노 심경호
비현실세계에서 느끼는 일상의 카타르시스
서민의 예능 ‘가부키’, 사무라이 가문의 의식, ‘노가쿠’|음악·무용·기예의 종합예술인 ‘가부키’|풍부한 레퍼토리를 뜻하는 ‘십팔번’|기호화·양식화된 가부키 무대|연극·춤·사설·시의 혼합체 ‘노’|잔혹함·혼령의 세계 다룬 독특한 무대예술
Code 4 정원 배현미
생활 속으로 끌어들인 정토사상과 신선사상
독특한 생활환경이 낳은 정원 문화|자연 풍광을 옮겨놓은 ‘츠키야마린센식’ 정원|츠키야마린센식 정원의 구성 요소|츠키야마린센식 정원의 유형|선종 영향으로 발달한 ‘가레산스이식’정원 |차시츠와 함께 발달한 검소한 정원 ‘차테이’|정토사상과 신선사상의 표출
Code 5 스모 김용의
천황의 권력을 확인하던 정치적 퍼포먼스
스모는 단순한 힘겨루기 스포츠가 아니다|스모의 기원과 역사|혼바쇼와 도리쿠미|리키시의 계급과 반즈케|계급에 따라 머리 모양과 복장 달라|리키시 이름의 유래|도효의 구조|혼바쇼에서 벌이는 도효마츠리|세계화를 겨냥한 스모의 변화
Code 6 바둑 손종수
세계는 바둑을 ‘고’라고 부른다
천 년의 틀을 깨고 한·중 양국을 추월한 일본|일본 바둑의 유래|3대 무장과 승려 닛카이|기원 4가의 생성|마지막 세습 메이진 슈사이|현대 바둑의 메카 일본
Code 7 마츠리 김양주
금지된 일상으로부터의 해방
신에 대한 기원과 감사가 기본 정신|마츠리의 역사와 변천 과정|마츠리의 구성과 과정|마츠리의 역할과 기능|일본인에게 마츠리란?|마츠리 그리고 지역 축제
Code 8 혼례와 장례 황달기
가족 공동체를 확인하는 인생의 통과제의
“딸이 셋이면 대들보가 내려앉는다”|결혼 힘든 농촌 총각, 국제결혼이 돌파구|사람은 죽으면 누구나 신이 된다|장의업은 유망한 신종 비즈니스|천황이 본보기 보인 화장 문화
Code 9 미의식 이원곤
절제의 미학, 풍요로운 예술세계
사쿠라와 하나비로 대표되는 일본인의 미의식|귀족 미술에서 서민 미술로의 변화 과정| 유럽 인상파를 탄생시킨 우키요에와 샤라쿠|일본 미술 성립 과정|일본화와 서양화|일본의 현대 미술
Code 10 문학 이애숙
『고지키古事記』에서 바나나의 『키친』까지
일본 문학을 이해하는 열쇠 『고지키』와 『만요슈』|사랑과 정치권력의 대서사시 『겐지모노가타리』|중세 문학의 쌍두마차 세이 쇼나곤과 무라사키 시키부|문학 주체를 서민으로 확대한 가부키와 조루리
Code 11 하이쿠 김정례
17음절로 표현하는 시의 세계
함축과 생략의 미학|하이쿠 문예의 형식적 특질-정형·기고·기레지|하이쿠 문예의 성립 배경과 시대적 변천|근대 하이쿠의 혁신|공동사회적 요소-결사와 구카이|일상을 노래하는 시세계|하이쿠의 국제화
Code 12 신사 박규태
교조도 경전도 없는 종교
신사의 풍경|일본에서 가장 사랑받는 신사|신도는 생활과 밀착된 전통문화|신과 인간은 동격이라는 의식|태어나서 죽기까지 신사와 함께 하는 일본인|우리에게 신도란 무엇인가
Code 13 장인정신 이 정
대를 물리는 장인정신과 기업문화 풍토
전문화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노사관계의 기본은 대립이 아닌 협조| 주어진 운명을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일본인의 의식|‘개인은 검소하게, 사회는 풍요롭게’|홈리스족들도 일이 없으면 못산다
Code 14 천황 이계황
국민과 국가를 통합하는 상징적 이데올로기
고대의 천황 및 천황제| 중세의 천황 및 천황제|근세의 천황|근대의 천황제|현대의 상징적 천황제
Code 15 관료 김석근
일본을 움직이는 실질적인 운영자
일본 발전의 견인차|가장 근대적이고 잘 짜여진 조직|2차 세계대전 후 새롭게 출발|정치도 관료사회를 넘지 못한다
Code 16 사무라이 정신 김석근
무사도, 일본의 혼?
천황제 부활 촉구하고 할복한 미시마 유키오|무사도의 기원과 전개| 무사도에서 사도로의 전환|“꽃은 사쿠라, 사람은 사무라이”|전통의 재발견 혹은 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