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언론 바로보기 100년

한국언론 바로보기 100년

(개정중보판)

송건호, 최민지, 윤덕한, 박지동, 손석춘 (지은이)
다섯수레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언론 바로보기 100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언론 바로보기 100년 (개정중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언론비평
· ISBN : 9788974783617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2-03-17

책 소개

한국 언론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 책은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증보판을 내면서 손석춘 교수의 글을 통해, 초판 이후 전개된 상황을 담아 ‘언론권력과 언론 민주화’ 내용을 대폭 보완했다. 이 책은 우리 언론의 굴절된 부분과 그것을 바로잡으려 노력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차

개정증보판 머리말 _손석춘
초판 머리말 _강만길

한말-일제 강점기 민족과 언론 _최민지
언론 정신과 역사의식 18
구한말의 애국 계몽 운동과 언론 22
민간지의 대두와 문화정치의 본질 30
변질되는 민족 언론 42
문화 운동의 허구 52
오욕의 친일 언론 66
민중을 외면한 일제 강점기 언론 92

미군정하의 언론 _송건호

8·15 해방과 정치 상황 96
언론계의 움직임 101
좌파 언론의 등장 108
지방의 언론 상황 112
미군정과 언론 114
언론계에 난무한 폭력 122
사회의 혼란과 언론의 지도성 126
신탁 통치에 대한 언론의 반응 136
미군정의 좌익 언론 탄압 147
신문 기자단의 분열 163
미소 공위의 속개와 언론 166
미군정 말엽의 언론계 169
방송 미디어의 성장 175

이승만 정권하의 언론 _송건호

정부 수립과 언론계 180
체제 내적 반대지의 등장 188
6·25 전쟁과 언론의 시련 192
환도 후의 언론계 200
자유당 정권의 언론 정책 205
편협의 결성과 신문 윤리 요강 213
자유당의 폭정과 언론 222
<경향신문>의 폐간 225
4·19 혁명과 언론 230

박정희 정권하의 언론 _송건호

5·16 쿠데타와 언론의 수난 240
군사 정권의 새 언론 정책 248
언론윤리위법과 언론계의 반대 투쟁 254
상업 방송의 출현 261
자주성을 잃어 가는 언론 269
권언 복합체의 형성 281
일선 기자들의 마지막 저항 291
<동아일보>의 광고 파동 300
자유언론―수난의 길 313

1970년대 유신 독재와 민주 언론의 말살 _박지동

유신과 저항 320
언론 자유 수호 운동 329
유신 체제의 출현 및 1973년의 저항 341
<동아일보>·<한국일보>의 언론 노동조합 운동 359
자유 언론 실천 운동과 <동아일보> 광고 탄압 373
<동아일보>·<조선일보> 투위의 재야 언론 운동 426
제도 언론 안에서의 저항 437
머리는 작아지고 몸뚱이만 커진 언론 443
주요 사건을 통해 드러난 제도 언론의 양상 449
자유언론의 좌표가 분명해진 유신 독재기 언론 461

전두환 정권하의 언론 _윤덕한

전두환 치하에서 언론은 없었다 464
대학살과 내부의 밀고 466
보안사 준위의 손에 달린 언론인들의 목줄 481
언론 통폐합과 언론기본법 제정 486
보도지침을 통한 통제의 일상화 489
민중 언론의 등장과 보도지침 폭로 489
언론 말살 속에 비대해진 언론사와 요원한 해직 언론인 원상회복 500

언론권력과 언론 민주화 _손석춘

언론권력의 출현 504
언론 노조의 결성과 <한겨레신문> 창간 509
언론자본의 반격 520
언론권력과 김대중-노무현 정부 533
언론권력과 자본권력의 융합 541

맺음말-언론 자유의 새로운 지평 _손석춘

어둠의 역사 속에 이어져 온 언론 투쟁 550
한국 언론의 역사가 낳은 언론학 개념들 551
언론 구조를 바꾼 ‘인터넷 혁명’ 554
한국 언론의 역사를 새롭게 써 갈 사람들 558

저자소개

송건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6년 음력 9월 27일(호적상 양력 27년 9월 27일) 충북 옥천에서 3남 5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44년 한성상업학교(지금 서울 한성고)와 56년 서울대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1953년 언론계에 입문하여 대한통신사를 시작으로 한국일보, 조선일보 논설위원과 경향신문, 동아일보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1984년 12월 민주언론운동협의회 초대 의장이 되고, 언협 기관지 〈말〉을 창간하여 86년 9월 ‘보도지침’을 폭로했다. ‘호헌철폐 및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를 맡아 군부독재 종식과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직선제 도입에 기여했다. 한겨레신문 창간을 주도하여 1987년 12월 초대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하고, 1993년 퇴임했다. 1996년 도서 1만5천여 권을 한겨레신문사에 기증하여 ‘청암문고’를 개설했다. 1999년 기자협회보에서 전국 신문·방송·통신사 편집 및 보도국장과 언론학 교수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 20세기 최고 언론인으로 위암 장지연 선생과 함께 선정되었다. 고문 후유증으로 투병하다 2001년 12월 21일 별세, 사회장을 거쳐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었다. 저서에 《민족지성의 탐구》 《단절시대의 가교》 《한국민족주의의 탐구》 《한국현대사론》 《한국 현대인물사론》 《의열단》 《민주언론 민족언론》 《한나라 한겨레를 위하여》 《한국 현대언론사》 등이 있으며 공저에 《해방전후사의 인식Ⅰ》 《한국민족주의론 Ⅰ·Ⅱ》 등이 있다. 1986년 제1회 심산상을, 1999년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1년 정부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펼치기
최민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대학원졸업, 이대학보사 편집국장. 한국 YMCA도서추진위원, 일월서각 발행인. 저서: <일제하 민족언론사론>
펼치기
윤덕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전남 나주에서 태어나 대전고와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1972년 경향신문에 제13기 견습기자로 입사하여 사회부ㆍ경제부ㆍ외신부 등에서 근무했다. 1980년 전두환 군부의 언론검열과 광주학살 왜곡보도에 항의, 신문제작 거부운동을 벌이다 해직되었으며, 이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1987년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1988년 경향신문에 복직되어 국제부 차장, 사회부 차장, 정치2부장, 심의위원, 기획취재부장 등을 역임한 후 1995년 퇴사하였다. 1999년 도서출판 중심을 설립해 2007년까지 운영한 바 있으며, 2012년 현재는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친일인명사전』 집필위원으로 참가했다. 논문으로 「북한의 핵무기개발 의혹에 대한 국내언론 보도태도와 그것이 남북관계에 미친 영향」이 있으며, 저서로 『소설 재벌신문』(움직이는 책, 1995), 『한국언론 바로보기 100년』(공저, 다섯수레, 2000) 등이 있다.
펼치기
박지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문리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아일보사 기자로 1967년부터 1975년까지 활동하였다. 유신독재시기, 언론폭압에 맞서 공정보도에 의한 언론민주화 운동을 하던 기자·PD·아나운서 등 134명을 정권과 신문사가 합작하여 퇴출시킬 때 밀려났다. 고려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광주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광주대 언론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저서] 『새로쓰는 한국언론사』(공저) 『현대고급영문해석연구』(1~5권) 『소냐』(톨스토이 부인전기)(역) 『언론사회연구방법』 『新聞學硏究』 『바로보는 한국언론 100년』(공저) 『진실된 인식 공정한 논술』 『언론사상사』(1~2권) 『논술의 방법』(1~2권) 『한국언론실증사』(1~2권) 『일본의 조선 침략사』(1~5권)
펼치기
손석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커뮤니케이션 사상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교수로 일하며 현대 우주과학을 토대로 철학의 새로운 길을 제안한 『우주철학서설』, 니체의 우주론에 근거해 사회철학을 규명한 『니체 읽기의 혁명』, 민주주의를 보수와 진보 공동의 정치철학으로 새롭게 정립한 『손석춘 교수의 민주주의 특강』 들을 출간했다. 언론개혁 운동을 벌이며 인터넷 시대의 언론이 나아갈 길을 모색한 『민중언론학의 논리』와 『미디어리터러시의 혁명』, 일하는 사람들의 기본 교양을 담은 『새내기 노동인 ㄱㄴㄷ』 들을 냈다.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철학 소설 『원시별』을 비롯해 10편의 장편소설을 발표했다. 미래의 희망인 청소년들과도 대화에 나서 『10대와 통하는 철학 이야기』, 『10대와 통하는 세계사 이야기』, 『미래 세대를 위한 우주 시대 이야기』 들을 펴냈다. 한국언론상, 한국기자상, 민주언론상, 통일언론상, 안종필자유언론상, 이태준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