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쿠코츠키의 경우

쿠코츠키의 경우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지은이), 이득재, 이수연 (옮긴이)
들녘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15,120원 -10% 0원
0원
15,1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쿠코츠키의 경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쿠코츠키의 경우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러시아소설
· ISBN : 9788975276255
· 쪽수 : 756쪽
· 출판일 : 2012-10-25

책 소개

제2회 박경리 문학상 수상작가 류드밀라 울리츠카야의 대표작. 러시아 부커상 수상작으로, 이는 여성 작가로는 최초의 수상이다. 가족의 의미와 인간의 내면을 종교, 심리, 사회적 상황 등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고 장엄하게 그려냈다.

목차

1부 007
2부 311
3부 455
4부 721

작가.작품소개 - 잃어버린 가족을 찾는 여정 740
작가와의 대화 - 우리 모두는 신들이 사는 세계의 '특별한 경우'입니다 749

저자소개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 러시아 바시키르 자치공화국에서 태어나, 제2차세계대전 종전 후 가족과 함께 모스크바로 왔다.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유전학연구소에서 근무하다가 1970년 지하출판물을 소지하고 유포했다는 이유로 해고당했다. 그뒤로 모스크바 유대인 극장에서 일하면서 각본, 평론, 소설 등을 쓰며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1992년 중편소설 『소네치카』로 러시아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올랐고 메디치상, 주세페 아체르비 상을 받으며 이름을 알렸다. 2001년 『쿠코츠키의 경우』로 여성 최초로 러시아 부커상을 수상했다. 시몬 드 보부아르 상, 박경리문학상, 지크프리트 렌츠 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그 밖의 작품으로 『우리 짜르의 사람들』 『다니엘 슈타인, 통역사』 『커다란 초록 천막』 『야곱의 사다리』 등이 있다. 2007년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재단을 설립해 도서관에 책을 보내는 활동을 시작했으며, 2014년 러시아 반정부 시위 ‘평화의 행진’에도 참여했다.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이를 격렬하게 비판했고, 결국 러시아를 떠나 독일 베를린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펼치기
이득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서 「바흐찐과 타자」라는 제목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구가톨릭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이며, 현재는 동 대학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다. 계간지 『문화과학』 편집 고문이고, 노동당 정책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010년 5월에는 잡지 『레프트 대구』를 탄생시켰다. 저서에 『바흐찐 읽기』, 『과학적 사기와 한국사회』, 『대구 경북의 도시공간과 문화지형』, 『대한민국에 교육은 없다』 등이 있다. 번역서에는 『사산되는 일본어 일본인』, 『패션의 제국』, 『컴퓨터 혁명의 철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수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와 동 대학원 노문학과를 졸업하고 러시아 국립과학아카데미 산하 문학연구소 ‘푸시킨스키 돔’에서 <튜체프의 자연철학시 연구>라는 논문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역서로 ≪튜체프 시선집≫, 논문으로 <포스트소비에트 여성문학에 나타난 고통과 구원의 시학>과 <타티야나 톨스타야의 ‘밤’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어려서부터 파벨 알렉세예비치는 살아 있는 생명체의 구조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별다른 할 일이 없는 저녁식사 전 시간을 이용해 가끔 아버지 알렉세이 가브릴로비치의 서재에 몰래 숨어들곤 했다. 잠입에 성공하면 서재 한 쪽에 서 있는 스위스제 책장의 무거운 유리문을 열고, 당시 유명했던 의학백과사전 중 세 권을 조심조심 꺼냈다. 파벨은 아버지가 특히 귀하게 여기는 그 책들을 네덜란드제 벽난로와 책장 사이의, 좁지만 쾌적한 공간에 들어가 바닥에 펼쳐놓았다. 백과사전의 각 권 마지막에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그림이 첨부되어 있었다. 그림은 검고 짧은 콧수염에 뺨이 장밋빛으로 불그스레한 남자와, 태아를 보여주기위해 자궁이 드러난 만삭의 여자를 묘사한 것이었다. 아마도 이 나체의 여자 그림 때문에 파벨은 의학백과사전에 대한 자신의 깊은 관심을 가족들에게 숨기고 싶었는지 모른다. 음탕한 아이로 오해받을 것이 두려웠던 것이다.
어린 소녀들이 지칠 줄 모르고 인형 옷을 입혔다 벗겼다 하듯, 파벨도 몇 시간이고 앉아서 그림의 인체를 보며 모든 장기(臟器)들과 놀았다. 마분지의 사람들을 통해 피부조직과 붉고 건장한 근육조직, 간장과 허파, 뼈의 구조와 위치 등을 세세하게 살폈다. 뼈는 탁한 누런빛으로 칠해져 있었는데 마치 죽은 것 같았다. 죽음은 겉으로 살아 있는 육신에 덮여 언제나 인간 몸 안에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이것은 먼 훗날 파벨이 깊이 생각하게 될 문제였다.


조상 대대로 의학에 몸을 바친 외에 쿠코츠키 집안 남자들은 아주 독특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전쟁에서 전리품을 취하듯 배우자를 얻었다. 증조할아버지는 포로로 잡힌 터키 여자와 결혼했고, 할아버지는 카프카스의 체르케스 여자와, 아버지는 폴란드 여자와 결혼했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여자들은 하나같이 사람들의 혼을 빼앗을 만큼 아름다웠다고 한다. 이처럼 이방인의 피가 섞이는 바람에, 대대로 턱뼈가 높고 완강하며, 일찍부터 대머리가 되었던 남자들의 외모가 조금씩 변해갔다. 파벨의 후손들이 오늘날까지 보존하고 있는 아브데이 페도로비치의 초상화는 유명하지 않은 독일인 판화가가 만든 것인데, 그 초상화는 혼혈로 인한 쿠코츠키 혈통의 변화를 또렷하
게 보여주고 있다.
파벨 알렉세예비치 쿠코츠키도 전쟁 중에 결혼했다. 전혀 예상치 못한 가운데 몹시 서둘러 치러진 결혼이었다. 그의 아내가 된 엘레나 게오르기예브나는 포로도, 인질도 아니었다. 파벨이 근무하던 병원은 전쟁을 피해 시베리아의작은 도시 B로 피난을 갔다. 1942년 11월, 그 병원의 수술대 위에서 파벨은 엘레나를 처음 만났다. 호출을 받은 파벨이 병원에 도착했을 때, 엘레나의 수술은 이미 시작된 상태였다. 모두가 상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1초의 망설임도 없이 바로 수술준비에 돌입했다. 그러나 때는 이미 늦어버린 듯했다. 회생의 가능성은 너무도 희박했다…….


“아빠, 난 몰랐어요. 도대체 내가 2년 동안 무슨 짓을 하고 있었는지. 쥐들을 죽였죠. 쥐들을 산더미처럼 죽였어요. 아무 거리낌 없이 간단하게요. 그러면서 난 조금씩 부서져가고 있었던 거예요. 아주 조금씩……. 그러다가…….이제 눈에 씌워진 콩깍지가 벗겨져서 알게 된 거라구요…….”
“아니야, 아니야! 타냐, 그건 아냐! 세상의 가치엔 위계가 있어. 물론 인간의 생명이 가장 상위에 있지.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한 사람의 질병을 고치기 위한 것이라면, 실험실에서 수만 마리, 그래, 필요한 만큼 동물들을 죽일 수도 있어. 거기에 문제는 없어.”
“아빠, 내가 말하는 게 그게 아니란 걸 아시잖아요? 난 쥐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에요. 나 자신에 대해 얘기하는 거예요. 내게 무슨 일인가가 일어났다구요!”
타냐는 놀라울 만큼 마른 자신의 손을 들어 올려 내저으며 소리쳤다.
“무슨 비극적인 일이 일어났다고는 생각하지 않아. 단지 일의 특성상 일시적인 갈등이 생겼을 뿐이지. 일시적인 침체기는 있는 거야. 그런 일은 언제나 있을 수 있어.”
“그냥 단순한 침체가 아니라구요. 아빠! 이해하지 못하겠어요? 난 연구라는 핑계로 쥐들을 광주리에 한 가득 넣고 자르고 또 잘랐어요. 사람들을 위해, 거기에서 뭔가를 알아내기 위해서, 누군가를 치료하기 위해 말이죠. 그러면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 개념을 상실하고 있었던 거예요. 쥐와 사람이 다르다는 가장 단순한 사실조차 아예 잊고 있었어요. 그러니 인간의 태아에 필요한 먹물을 달라고 하는데, ‘산 거, 죽은 거’ 하고 아무 생각 없이 물었던 거예요. 정말이지 있을 수도 없는…… 난 더 이상 쥐들을 죽이면서 좋은 딸이 되고 싶지는 않아요!”
타냐는 거의 비명에 가까운 소리를 질렀다. 파벨은 벗겨진 이마 위로 주름살이 모일 정도로 얼굴을 찌푸렸다.
“그럼 앞으로 뭘 하고 싶은 거니?”
타냐는 이미 눈물을 뿌리고 있었다. 파벨은 그 눈물을 참을 수 없었다.
“난 무엇도 자르지 않는, 나쁜 딸이 되고 싶어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