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급자족 農농 길라잡이

자급자족 農농 길라잡이

(내 손으로 기르는 자연란·벼·보리·채소·과수·농가공품)

나카시마 다다시 (지은이), 김소운 (옮긴이)
들녘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3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급자족 農농 길라잡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급자족 農농 길라잡이 (내 손으로 기르는 자연란·벼·보리·채소·과수·농가공품)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농업 > 생태농업
· ISBN : 9788975276743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3-06-03

책 소개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석유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밭을 꾸리고 먹을 것을 충당한 농부가 있다. 저자 나카시마 다다시는 석유가 주는 ‘편리함’을 거부하고 수천 년 전부터 조상들이 해온 방식으로 먹거리를 자급자족하는 길을 택했다.

목차

추천사 4
머리말 7

제1장 | 신규 귀농인의 순조로운 출발을 돕는 자연양계
적은 비용으로 짭짤한 소득을 올리고, 닭똥도 이용하는 자연양계 18
신규 귀농인은 흙바닥 우리(平舍) 방식의 양계를 18
최소 50마리로 하루 수입과 거름을 충당 19
자연양계란? 21
자연양계의 10가지 조건 - 사육 형태와 경영 자세 23
자연양계의 실제 25
닭장 짓기 25
기초 공사의 순서 25 | 바닥에 콘크리트를 깔지 않는다 27 | 닭장 짓는 방법 28
병아리 키우기 31
닭장 안에서 키운다 31 | 병아리상자 만드는 방법 31 | 병아리의 종류와 들이는 계절 34 | 먹이통과 급수기 34 | 추위에 대한 저항력 획득 35 | 먹이 주는 방법 35
식체가 발생하는 까닭은? 38
먹이의 자가 배합 39
자가 배합 사료를 만드는 방법 39 | 먹이의 양과 성계의 먹이 배합 비율 40 | 톱밥 발효 사료를 만드는 방법과 효용 43
병아리에서 성계로 : 닭장에 풀어 놓기 48
닭장에 풀어놓기 전 준비할 것 48 | 먹이통을 급식기로 교체 49 | 잠자리 준비 49
산란계를 기른다 52
풀은 1마리에 하루 30g 이상 준다 52 | 180~220일령으로 50% 산란을 목표로 52 | 사료의 배합 비율을 바꾼다 52
닭 질병의 식별 53
병든 닭을 구분하는 방법과 대책 및 예방 53 | 법정 전염병에는 주의 55
닭에 생기는 해충과 대책 56
붉은닭진드기 56 | 새털이 56
주요 짐승에 의한 피해와 대책 57
족제비 57 | 여우와 너구리 57 | 고양이와 개 58 | 뱀 58 | 까마귀 59
달걀을 낳지 못하는 닭은 골라낸다 : 동물성 단백질의 자급 59
환우(換羽) 휴산계는 그대로 둔다 59 | 달걀을 낳지 못하는 닭을 식별하는 방법 60 | 초보자도 할 수 있는 확실한 도살 방법 61 | 해체 방법 62
영계로 교체 62
만 3년 낳았으면 교체 62 | 닭장을 한 동 더 지어서 공백을 피한다 62
한랭지나 혹서지에서 사육할 때 주의할 점 64
한랭지에서는 눈과 얼음 대책을 64
혹서지에서는 열사병과 태풍 대책을 65
달걀 판매에 관하여 66
판로 개척 : 방문 판매와 신문 전단지 66
포장과 가격 책정 : 개당 30~40엔이 시세 67
품귀 현상을 빚어도 손님은 참고 기다린다 67

제2장 | 황무지의 복원과 닭똥 등 유기질 자급 거름의 이용
황무지의 복원은 천천히, 노동집약적으로 70
체력에 맞춰서 일한다 70
입맛에 맞는 땅은 드물지만 71
1인당 500㎡를 목표로 농사짓는다 71
200㎡에서는 벼와 보리 재배 71 | 300㎡에서는 채소 재배 71
경사지도 활용한다 72
비닐 덮개로 풀의 번식을 억제하여 황무지를 복원 : 무경운 덮개 재배 72
500㎡ 가운데 350㎡에서 덮개 재배 72 | 덮개 재배 방법 73 | 덮개 재배에 적합한 작물 74
나머지 150㎡는 덮개 재배에 부적합한 작물을 기른다 : 두둑을 만들어 노지 재배 74
사람의 힘으로 참을성 있게 경작한다 74 | 개간과 경운 75 | 두둑 만드는 방법 76 | 두둑을 만들어 노지 재배하기에 적합한 작물 76
자급자족 농사에 유용한 농기구 77
텃밭에는 농기계가 필요하지 않음 77
자급자족 농사에 필요한 농기구 77
유기질 자급 거름의 이용 80
유기농법(자연순환형 농법)과 무기농법(근대농법) 80
닭똥을 거름으로 쓴다 81
1년 묵혀서 보슬보슬하게 마르면 이용 81 | 50마리의 똥으로 1500㎡분의 거름을 자급 82 | 거름 주는 방법 : 곧뿌림은 싹이 난 뒤에, 옮겨심기는 직전에 82
작물 부산물, 풀, 음식물 찌꺼기, 쓰레기 활용 82

제3장 | 벼(밭벼)와 보리, 채소의 자급 재배
벼(밭벼)와 보리의 돌려짓기 - 주식의 자급 재배 86
밭벼를 농사짓는 이유는? 86
농기계가 필요 없음 87 | 무경운 덮개 재배로 노동집약적 : 쟁기질과 써레질이 필요 없음 88 | 모에 물 주기도 편리 88 | 해충에 강하다 : 살충제를 전면 살포할 필요가 없다 88 | 경사지에서도 가능 88
벼와 보리를 돌려짓기 89
밭벼 재배 89
못자리에 씨뿌리기 90 | 비닐 덮개에 구멍 뚫어 본답 준비 90 | 닭똥을 뿌리고 두 줄로 모내기 92 | 김매기 92 | 벼 베기, 건조 92 | 손수 만든 수작업 기구로 탈곡 92 | 수확량은 200㎡에 1섬(60㎏)이 표준 94 | 외부에 의뢰해서 방아 찧기 94 | 종이봉투에 보관 94
보리 재배 95
씨뿌리기 : 벼 밑동 옆에 뿌린다 95 | 재배 관리 : 닭똥 거름 주기와 김매기가 전부 96 | 수확 및 수확량 : 공이로 두들겨서 탈곡 96
현미보리밥 : 조상에게서 전해 내려온 건강식 96
채소 자급 재배의 기본 - 저비용, 노동 집약적 재배 98
자급채소 재배의 철칙 : 알맞은 땅에서 제철에 재배 98
철칙에 반하는 채소 재배는 경비가 많이 들고 맛이 떨어진다 98 | ‘신토불이’를 부시하면 건강을 해친다 99
덮개 재배에 적합한 채소 재배 99
모판에 길러서 재배 99 | 곧뿌림 재배 100
노지에서 두둑 재배하기 적합한 채소 재배 100
곧뿌림 재배 100 | 꺾꽂이 재배 101 | 북주기 재배 101
풀과 함께 재배하는 방법 101
덩굴성 작물(호박, 오이, 수박) 102 | 키 큰 작물(옥수수, 덩굴강낭콩, 토란) 103
돌려짓기는 계획을 잘 짜야 한다 104
씨앗 고르는 법 : 토종을 이용하여 자가 채종 105
채소의 자가 채종 방법 107
자가 채종이 쉬운 채소와 어려운 채소 107 | 고구마 모종의 채취 방법 107 | 씨토란의 채취 방법 107 | 씨감자의 처리와 심는 방법 108 | 시금치, 콩, 팥, 참깨, 완두의 채종 방법 108 | 자가 채종이 어려운 채소 108
자급에 필요한 포기 수 109
질병 대책 : 자연순환형 농법은 발병률이 매우 희박 109
해충 대책 : 세 가지 마음가짐과 방제의 실제 109
마음가짐 1 : 해충도 이로운 곤충(익충)이 된다 109 | 마음가짐 2 : 20%는 벌레에게, 80%는 인간이 110 | 마음가짐 3 : 겉보기에 좋은 것만 찾지 않는다 111 | 최대한 손으로 잡는다 : 애벌레는 닭의 먹이나 낚시 미끼로 이용 111 |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는 물이 든 양동이를 작물 밑에 놓고 잎을 흔든다 112 | 진딧물은 내버려 둔다 113 | 외잎벌레는 종이봉투로 차단 113 | 귀뚜라미는 비닐로 덮는다 114
주요 짐승에 의한 작물 피해와 그 대책 115
멧돼지는 골함석 울타리로 방호 115 | 사슴은 높이 2미터 이상의 그물망을 친다 116 | 비둘기는 방충망을 씌운다 116 | 두더지는 프로펠러의 진동으로 쫓아버린다 116
자급 채소의 농사법 118
자가 채종할 수 있는 채소 118
감자 118 | 우엉, 당근 119 | 콩, 팥 120 | 완두, 누에콩 121 | 쑥갓, 시금치 121 | 코마츠나(소송채) 121 | 파 122 | 염교 123 | 참깨 123
씨앗이나 모종을 구입하는 채소 124
무, 순무 124 | 배추 124 | 양배추 126 | 양파 127 | 옥수수 129 | 가지 129 | 피망, 오이고추 130 | 토마토 130

제4장 | 과수와 산나물, 약초의 채취와 이용 - 간편한 자급식품
간편한 방임재배 과수의 이용 - 토지에 적합한 과수를 심는다 134
감나무 135 | 매실나무 135 | 밤나무 136
야산의 혜택 - 산나물과 약초의 채취, 이용 및 약용 137
머위, 머윗대 138 | 고사리, 고비 139 | 쑥 140 | 미나리 140 | 죽순 141 | 파드득나물 141 | 민들레 141 | 산달래 142 | 범의귀 142 | 별꽃 142 | 이질풀 142 | 감잎 143 | 쇠뜨기 143 | 삼백초 144 | 참마 145 | 버섯 145
독초는 이웃 주민에게 물어 기억한다 146

제5장 | 자급에 활용하는 나카시마(中島)식 농가공품
감식초 만드는 방법과 이용 150
감식초 만들기 150
만드는 방법 150 | 짜는 요령 151 | 보존 방법 152
직접 담근 감식초를 이용한 건강 요리 152
검은콩 해초 피클(식초에 절인 해초와 콩) 152 | 안초비(식초에 절인 생선 젓갈) 153 | 생채소 샐러드 153 | 제철 채소로 담근 겉절이 153 | 영양초밥 154 | 레몬 대용 154 | 락교 154
인체에 필요한 소금의 양은 하루 0.1g 155
염교주 156
매실장아찌 157
단무지, 순무장아찌 159
전통 제조법 159
현대식 개량법 160
나카시마식 반찬 조리법 - 간단한 일품 요리 161
콩자반 162
토란 조림 162
달걀 요리 163
닭고기 요리 163
조림 164 | 꼬치구이 164 | 영양밥 164
민물고리 요리 165
낚는 방법 165 | 먹는 방법 166

제6장 | 제안 - 앞으로 농사를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시장 논리에 현혹되지 마라 170
농산물은 공산품이 아니다 170
규모화의 폐해 171
도시의 ‘근로빈곤층’보다 농촌에서 자급하는 가난한 농민을 172
1인당 500㎡로 실현하는 농사 짓는 생활 174
자기 밥벌이는 자기가 한다 174
여러 품목을 소량 생산하고 분수에 맞게 산다 175
실천 : 쉬운 일부터 시작하라 175

부록_ 농촌에서 새출발하기 전에 기억해야할 점 178
이사할 지역의 선택과 거주를 위한 준비 178
자급 생활을 시작할 장소를 물색한다 178 | 일단은 관공서에서 정보를 수집 179 | 주택 소유자와 직접 계약 179 | 마을 사람들과 사귀는 방법은 이웃에게 묻는다 181
이사하자마자 해야 할 일은? 182
동네를 돌며 인사하고 공공 기관과 점포를 확인 182 | 앞마당에서 제철 채소를 재배하여 자급 182

저자소개

나카시마 다다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0년생. 육군공과학교 졸업. 전시에는 대만군 소속이었다. 종전 후 고향인 기후현(岐阜?) 산간마을에서 소농 생활을 시작했다. 무약제, 흙바닥우리, 사육 개체 수를 적게 하여 유정란 양계장을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유정란 양계법』, 『증보판 유정란 양계법』, 『도롱이벌레 혁명』, 『도시를 허물어라』가 있다.
펼치기
김소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나쓰메 소세키 기담집』 『도쿄의 가장 밑바닥』 『모두를 위한 분배』 『인체, 진화의 실패작』 『바스러진 대지에 하나의 장소를』 『제자리걸음을 멈추고』 『춤춰라 우리의 밤을 그리고 이 세계에 오는 아침을 맞이하라』 『사고개혁의 심리학』 『고흐 37년의 고독』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