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교리/강론
· ISBN : 9788976353924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약어표 _2
들어가는 말 _8
<주님의 말씀>(2010)
I. 배경 _14
II. 구조 _19
III. 부분별 해설 _22
제1부 하느님의 말씀 _23
-말씀하시는 하느님 _23
‒말씀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인간의 응답 _31
‒교회 안의 성경 _해석학 _35
제2부 교회 안의 말씀 _48
‒하느님 말씀과 교회 _49
‒전례, 하느님 말씀의 특전적 장소 _51
‒교회의 삶 안에서 하느님의 말씀 _56
제3부 세상을 위한 말씀 _60
‒교회의 사명: 하느님 말씀을 세상에 선포하는 것 _61
‒하느님 말씀과 세상에 대한 투신 _65
‒문화, 종교 간 대화, 결론 _68
<그리스도교 성경 안의 유다 민족과 그 성서>(2001)
I. 배경과 구조 _72
II. 부분별 해설 _77
머리말 _77
제1부 그리스도교 성경의 필수적인 부분인 유다 민족의 성서 _78
‒가. 신약은 유다 민족의 성서의 권위를 인정한다 _78
‒나. 신 약은 스스로 유다 민족의 성서에 부합됨을 증언한다 _80
‒다. 유다교와 그리스도교 내의 성서와 구두 전승 _83
‒라. 신약에서 사용된 유다교의 주석 방법 _86
‒마. 경전의 범위 _86
제2부 유다 민족 성서의 기본 주제들과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의 수용 _88
‒가. 구약과 신약의 관계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이해 _88
‒나. 공통된 기본 주제들 _97
제3부 신약에 나타난 유다인들 _120
‒가. 유배 이후 유다교 내의 다양한 관점 _120
‒나.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나타난 유다인들 _121
‒다. 바오로 서간과 신약성경의 다른 글들에 나타난 유다인들 _124
<성경과 도덕: 그리스도인 행동의 성경적 근거>(2008)
I. 배경 _132
II. 구조 _133
III. 부분별 해설 _134
서론 _134
제1부 계시된 도덕: 하느님의 선물과 인간의 응답 _136
‒1. 창조의 선물과 그것이 도덕을 위하여 내포하는 의미 _137
‒2. 구약에 나타난 계약의 선물과 인간 행위 규범 _141
‒3. 하느님의 최종적 선물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의 새 계약과 그 도덕적 의미 _153
‒4. 선물에서 용서로 _163
‒5. 도덕적 행위를 고취하는 지평인 종말론적 목표 _168
제2부 도덕적 성찰을 위한 성경의 기준 _170
‒1. 근본 기준 _171
-2. 구체적인 기준들 _175
<성경의 영감과 진리>(2014)
I. 배경 _190
II. 구조 _192
III. 부분별 해설 _194
제1부 하느님에게서 기원한다는 데 대한 성경 본문들의 증언 _194
‒1. 서론 _194
‒2. 구약성경에서 뽑은 본문들의 증언 _195
‒3. 신약성경에서 뽑은 본문들의 증언 _200
‒4. 결론 _206
제2부 성경 책들의 진리에 관한 증언 _212
‒1. 서론 _212
‒2. 구약성경에서 뽑은 본문들의 증언 _213
‒3. 신약성경에서 뽑은 본문들의 증언 _216
‒4. 결론 _219
제3부 하느님 말씀의 해석과 도전 _219
‒1. 서론 _219
‒2. 첫 번째 도전: 역사 문제들 _220
‒3. 두 번째 도전: 도덕적, 사회적 문제들 _224
‒4. 결론 _226
전체 결론 _227
나가는 말 _230
참고 문헌 _234
저자소개
책속에서
근대의 성경 연구는, 인간 저자의 말을 이해하는 데에 치중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계시 헌장> 12항에서 말한 뒷부분, 곧 “성령을 통해 쓰인 성경은 성령의 도우심으로 읽고 해석해야” 한다는 점을 놓치는 경우가 없지 않았습니다.
성경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신자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때, 신자들의 성경 독서는 기초가 흔들릴 위험이 있습니다. 각자가 자기 나름대로 성경을 읽고 해석하다 보면 기준점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말씀>은 이러한 거리를 극복하려 하고, 하느님의 말씀이 지금도 교회 공동체 안에 ‘살아 있음’(히브 4,12 참조)을 확인하려 합니다.
그리스도의 육화 이전에 창조와 구약의 역사를 통해서도 하느님의 말씀이 인간에게 들려온다는 점은 <계시 헌장>과 <말씀>에서 똑같이 드러나지만, 그 말씀이 바로 한처음에 계셨고 하느님과 함께 계셨으며 하느님의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강조하는 것은 <말씀>의 두드러진 특징입니다. 여기에서는 창조 안에서, 또 구약의 역사 안에서 인간을 향하신 그 하느님의 말씀이 바로 마지막 때에 사람이 되신 그 말씀임을 분명하게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