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 뉴거버넌스 시대가 열린다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 뉴거버넌스 시대가 열린다

(미래 서울 행정)

김귀영, 김상묵, 김주희, 박정은, 백인수, 서용석, 신민철, 심동철, 이규엽, 이삼열, 이정용, 이주헌, 이준영, 조태준, 하윤상 (지은이)
서울연구원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000원 -0% 2,500원
390원
15,1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 뉴거버넌스 시대가 열린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 뉴거버넌스 시대가 열린다 (미래 서울 행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57005758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21-05-07

책 소개

서울시 행정을 둘러싼 환경과 역할의 변화로 도시정부의 행정과 업무에 어떤 변화가 요구되는지를 분석하고, 서울시의 역할과 대응 전략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살폈다. 또한, 앞으로 도시정부가 가야 할 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들어가며 미래의 도시정부가 가야 할 길

1부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 뉴거버넌스 시대가 열린다
1장 거번테크 시대, 거버넌스 패러다임의 진화
2장 경계 없는 도시정부, 새로운 관계 맺기
3장 시민이 정부다

2부 인공지능 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
1장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의 과학행정
2장 혁신하는 조직의 리더십

3부 더 유연하게 더 자유롭게, 조직의 진화
1장 우리가 꿈꾸는 미래의 정부조직
2장 플랫폼 정부, 미래 서울 도시정부의 모델
3장 미래 도시정부에서 일하는 사람들
4장 미래 서울의 공무원 교육훈련

참고문헌

저자소개

조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와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행정학 석사를,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SUNY at Alban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상명대학교 행정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인사혁신처.기상청 자체평가위원, 행정안전부 정부혁신평가단 위원, 5.7.9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제.선정.검토.면접.채점위원, 서울특별시 정보공개심의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연구부회장.연구위원장.편집위원장, 한국조직학회 기획부회장, 한국정책학회 총무위원장, 한국행정학회 공적인사혁신특별위원장 등으로 학회 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뺷미래 서울 행정: 경계가 허물어진 미래, 뉴거버넌스 시대가 열린다뺸(공저, 2021), 뺷새 한국정부론뺸(공저, 2019), “전문직공무원의 성과에 관한 연구: 전문직 공무원과 일반공무원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공저, 2021), “공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탐색적 고찰: 전문직공무원 제도를 중심으로”(2020) 등이 있다.
펼치기
박정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미래전략센터장, 정책본부장, AI데이터추진단장 등을 거쳐, 지금은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공저로 『교양인을 위한 미디어세미나』, 『미국의 행정과 공공정책』이 있다.
펼치기
서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을 대표하는 미래학자. 일본 히토츠바시 대학에서 법학 석사, 미국 하와이대학에서 세계적인 미래학자 짐 데이터Jim Dator 교수의 지도 아래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대한민국 최고의 미래 교육기관인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래전략연구소’의 센터장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과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을 지냈다. 또한 카이스트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장을 역임하고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서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미래 전략’을 강의하고 있다. EBS ‘저출생·인구위기 특집 다큐’ 10부작을 이끌며 전국의 현장에서 한국의 인구 문제를 진단했다. 또한 여러 매체에 미래학자로서 칼럼을 기고해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공저로 참여한 책은 ≪탄력성장≫, ≪미래세대 행복의 조건≫, ≪인구 전쟁 2045≫, ≪미래세대의 지속가능 발전 조건≫ 등이 있다. 불확실한 미래를 마주하며 사람들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가 자신의 ‘일자리’임을 깨닫고 이 책 ≪직업의 미래≫를 썼다. 전례 없는 기술 발전과 기후변화, 인구 위기의 시대에 뒤바뀔 일의 지형도를 조명했다. 진로를 고민하는 청소년부터 재도약을 꿈꾸는 중장년에 이르기까지 미래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펼치기
김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연구원 경영관리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 “서울시 인재상 및 역량체계 재설계 방안”, “서울시 스마트워크 조직관리방안”, “서울시 청렴정책 개선방안”, “서울시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개선방안”, “자치구 정책역량 향상 위한 구정연구 활성화방안”이 있다.
펼치기
이삼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연세대학교 공공문제연구소장을 지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와 언더우드국제대학 과학기술정책 전공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종이영수증은 왜 폐지되지 않는가?”, “Government-led Regional Innovation”이 있다.
펼치기
신민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SUNY at Albany)에서 행정학 석사학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기연구원 초빙연구위원, 감사원 감사연구원 연구관을 거쳐, 현재 서울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조직관리, 내부통제(평가, 감사, 공직윤리 등) 등이다.
펼치기
심동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동일 학교에서 방문 조교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산호세)에서 조교수를 지낸 뒤, 현재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연구로는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Capacity in Korea: Contemporary Trends and Lessons”(2021), “Street-Level Bureaucrats’ Work Engagement: Can Public Managers’ Servant-Leader Orientation Make a Difference?”(2020)가 있다.
펼치기
김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행정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사업조정전략센터에서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로는 “미국 균형예산제약이 재정성과에 미치는 영향”(2020),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Korean Public-Sector Innovation Studies”(2019)가 있다.
펼치기
백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삼성SDI 경영관리팀 대리로 근무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버클리 BRIE 연구실에서 파견연구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AI-미래전략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규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무역학과에서 학사학위, KAIST 기술경영학부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성균관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KT경제경영연구소에서 인턴으로 일했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지능데이터기획팀장을 거쳐, 현재 정책기획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정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서울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로 지방자치, 시민참여, 공동생산 등이 있다.
펼치기
이주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Graduate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 서울시 기획조정실 국제도시협력단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관료제 해석을 위한 제언”, “세방화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공간구성전략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부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거버넌스와 지방자치, 지방행정 등이다.
펼치기
하윤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에서 경영학 학사를, 행정학과에서 행정학 석사를 받았고, 현재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중이다. 연구 분야는 플랫폼 정부와 플랫폼 경제의 규제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울의 변화는 과거에 이미 예견되었고, 현재진행 중이며,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서울시 도시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맞춰 조직을 혁신하고 공무원의 역량을 개발하여야만 서울 시민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다. 이 책은 다양한 변화에 직면한 서울시 도시정부의 역할과 대응 전략을 논한다. 특히 시민의 역할이 강화되는 새로운 거버넌스 하에서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유연한 조직체계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서울시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 끊임없는 개혁과 과감한 혁신으로 세계 인류 도시로 우뚝 설 수 있는 도시정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급속히 발전하는 인공지능, 로봇, 드론, 자율주행차량 등의 무인·자동화 기술, 홀로그램, 가상·증감 현실 기술, 블록체인을 필두로 한 통신과 신뢰의 기술 발전은 미래사회를 급격히 변화시킬 것이다. 특히 농업, 산업, 정보혁명에 이은 제4차 기술혁명으로 명명되는 ‘인공지능 혁명’과 ‘블록체인 혁명’은 인류의 모습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특이점으로 간주된다. 무엇보다도 빠르게 진화하는 블록체인 기술은 인류가 이제껏 경험해 보지 못한 중간 매개자 없는 탈중앙화되고 분권화된 신뢰 시스템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문명사적 기술 발전의 변곡점은 근대 정치체제와 정부에 대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면서 과거와는 다른 형태의 정치 시스템과 정부형태를 요구한다. 그리고 그 시작은 문명의 근간인 ‘도시’로부터 발현될 것이다. 이 장의 목적은 21세기 최신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도시 거버넌스와 정부형태를 구상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거시사적 맥락에서 거버넌스와 정부형태의 진화를 살펴보고 근대 정부, 관료제, 정당, 거버넌스가 갖는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할 것이다. 다음으로 소위 ‘거번테크(govern-tech)’라 불리는 와해적 기술의 진화가 어떻게 도시 거버넌스와 도시정부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래 도시 거버넌스와 정부 설계의 대안으로 중간 매개자 없는 시민들의 자율적인 거버넌스, 즉 ‘정부 없는 거버넌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자정부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정부 조직과 관료, 부처 간 칸막이, 비능률성, 저생산성 등 기존의 관료제와 계층제가 갖고 있던 병폐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정부조직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 없이 기존의 행정 체제에 기술만 덧칠을 하려 했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정부라는 새로운 정부의 형태가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조직 운영체제는 거의 관료제를 유지했다. 미국의 미래학자 짐 데이터(Jim Dator)의 표현을 빌리자면 “말이 끄는 마차에 내비게이션을 설치한 것”과 같은 형국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