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영미철학
· ISBN : 978897682490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9-05-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_배치 대 총체성
2장_본질에 반대하는 배치
3장_사람과 네트워크
4장_조직과 정부
5장_도시와 국가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역사적 정체성을 창조하고 안정시키는 배치 이론과 과정 이론은 20세기 말에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만들어 낸 것이다. 이 이론은 이종적(heterogeneous) 부분들로부터 구성된 매우 다양한 전체에 적용될 수 있었다. 원자와 분자로부터 생물학적 유기체, 종과 생태계에 이르는 존재들은 배치로, 역사적 과정의 산물인 존재로 유용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역사적’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당연히 인간의 역사뿐만 아니라 우주론적이고 진화론적인 역사를 포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배치 이론은 사회적 존재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배치 이론이 자연-문화 구분에 영향을 준다는 바로 그러한 사실은 그 이론이 실재론적 자격이 있다는 증거이다.”
외재성의 관계에 덧붙여서, 배치라는 개념은 두 가지 차원에서 정의된다. 한 가지 차원은 축의 한 극단에서 순전히 물질적 역할로부터 또 다른 극단에서 순전히 표현적 역할에 이르기까지 배치의 구성 요소들이 수행할 수 있는 변동 가능한 역할을 정의한다. 이러한 역할들은 변화 가능하고 뒤섞여서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주어진 구성 요소는 능력의 집합들이 다르게 작용함으로써 물질적 역할과 표현적 역할이 뒤섞여서 작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차원은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관여되는 변동 가능한 과정들, 그리고 내적인 균질성의 정도나 경계의 선명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배치의 정체성을 안정화하거나 불안정하게 만드는 변동 가능한 과정들을 정의한다. 전자가 영토화 과정이고 후자가 탈영토화 과정이다. 동일한 배치는 그 배치를 변화시키거나 전혀 다른 배치로 변화되게 하는 구성 요소들은 물론이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안정화하도록 작동하는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동일한 구성 요소가 다른 능력의 집합을 발휘함으로써 두 과정 모두에 관여할 수도 있다.
사람들 사이의 네트워크는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주요한 근원인 다양한 구심력과 원심력에 종속된다. 구심력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공동체들 사이에 충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충돌은 ‘우리’와 ‘그들’ 사이의 차이를 과장하면서 생긴 결과이다. 즉, 충돌은 내부자와 외부자 사이의 경계를 날카롭게 한다. 높은 밀도 자체가 네트워크를 집행 메커니즘으로 바꾸면, 충돌이 생겨서 공동체의 경계를 단속하는 데 전념하는 활동이 증가하게 되고 이웃이나 작은 마을의 물리적 경계는 물론이고 공동체가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하고 내적인 동질성을 증진시키는 정도도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충돌로 인해 공동체의 정체성이 선명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연대를 항상 바람직한 속성으로 볼 수도 없다. 왜냐하면 충돌이 생기면 사회적 배제가 실행되고 구성원의 자율권을 제약하여 구성원들의 범위를 매우 다르게 축소하기 때문이다. 원심력의 사례에는 사회 이동과 세속화와 같이 네트워크의 밀도를 감소시키는 과정들이 있다. 사회 이동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약화시키고 지역적 태도를 줄이고 국제적 태도를 늘려서 차이를 더 많이 받아들이도록 함으로써 연결 고리들을 약화시킨다. 세속화는 교회 다니기와 같이 전통적 결속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의례를 없애는 것이다. 교통과 통신 기술은 공존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탈영토화의 또 다른 근원이다(즉, 그런 기술 덕분에 분산된 인적 네트워크들이 만들어진다). 지리적 분산은 접속이 더 광범위해지고 더 느슨해지면서 연대를 표현하는 기존의 의례들이 통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연결 고리를 유지하는 데 훨씬 더 적극적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