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갈등과 정치적 소통

사회갈등과 정치적 소통

심창학, 윤성이, 이민규, 장선화, 민희, 김민정, 김성진, 서정건, 고상두 (지은이)
오름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갈등과 정치적 소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갈등과 정치적 소통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7778463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6-06-30

책 소개

발신자는 정보를 통제하고 왜곡시킬 위험이 있고, 수신자는 정보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고, 정보는 방대한 양과 빠른 속도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위험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소통이 사회갈등을 해소하는 데에 어떻게 성공하였는지를 설명한다.

목차

서문 (고상두)

제1장 갈등의 심리학적 이해 (이민규)
Ⅰ. 들어가는 말
Ⅱ. 갈등의 본질
Ⅲ. 갈등의 심리적 매개 혹은 조절요인
Ⅳ. 갈등 중재 전략

제2장 뉴미디어 정치의 갈등과 소통: 과잉민주주의 대 과소민주주의 (윤성이)
Ⅰ. 과잉민주주의에 대한 고민
Ⅱ. 뉴미디어 정치의 확산과 권력구조의 변화
Ⅲ. 뉴미디어 정치 확산과 민주주의의 위기
Ⅳ. 뉴미디어 시대의 민주주의

제3장 한국의 지방 민주주의 엿보기: 광역의회 간 소통 (민희)
Ⅰ. 서론
Ⅱ. 한국의 지방의회
Ⅲ. 광역의회 간 네트워크: 정치적ㆍ행정적 차원
Ⅳ. 결론

제4장 한국의 사회적 대화 거버넌스: 제도적 실험과 소통의 한계 (장선화)
Ⅰ. 시작하는 글
Ⅱ. 노동시장 갈등과 사회적 대화 거버넌스: 협력과 합의의 제도화
Ⅲ. 한국의 사회적 대화 거버넌스: 제도화 경로와 사회적 대화 주체
Ⅳ 한국의 사회적 대화 거버넌스의 특징과 한계
Ⅴ. 맺는 글: 여전히 문제는 ‘정치’이다

제5장 제도지체와 정치소통: 미국 대의제도를 중심으로 (서정건)
Ⅰ. 서론
Ⅱ. 수직적 동화 모델: 이론적 탐색
Ⅲ. 미국 대의제도와 네트워크 정치: 역사적 개요
Ⅳ. 대의제와 네트워크 정치 상호 작용: 미국 의회 의원 및 정당 차원
Ⅴ. 대의제와 네트워크 정치 상호 작용: 미국 선거 및 입법 차원
Ⅵ. 미국 사례를 통해 본 제도지체와 정치소통

제6장 유럽 정당의 중도화 전략: 이념 대결에서 정책 소통으로 (고상두)
Ⅰ. 서론
Ⅱ. 정당의 중도화에 관한 논의
Ⅲ. 유럽 보수정당의 중도화 성공 사례
Ⅳ. 결론과 한국정치에 대한 함의

제7장 유럽 난민 갈등: 시리아 난민을 중심으로 (김성진)
Ⅰ. 서론
Ⅱ. ‘혼합이주’와 갈등
Ⅲ. 시리아 난민의 발생
Ⅳ. 난민 ‘위기’에 대한 대응
Ⅴ. 결론

제8장 프랑스 낙태 관련 입법을 둘러싼 갈등과 정치적 소통 (김민정)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및 연구의 분석틀
Ⅲ. 1982년 낙태 비용의 의료보험 적용에 관한 법 통과를 둘러싼 갈등과 소통
Ⅳ. 낙태 비용 의료보험 적용 입법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
Ⅴ. 결론 및 종합평가

제9장 프랑스 연금 개혁과 사회적 대화 (심창학)
Ⅰ. 들어가는 말
Ⅱ. 1990년대 이후 프랑스 연금 개혁 개관
Ⅲ. 연금 개혁과 사회적 대화
Ⅳ. 나가는 말

색인
편저자 및 필자 소개(원고 게재순)

저자소개

심창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4대학(Universite de Paris-Sorbonne)에서 “프랑스 사회보장제도 입법과정(1944-1949): 보편주의와 통합주의의 비양립성”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비교사회정책, 빈곤 및 사회적 배제, 사회보호 활성화레짐, 이민레짐 및 이민자의 사회권 등이다. 최근의 주요 연구실적으로 “캐나다 고용보험제도와 이민자의 사회권: 지역적 차등을 중심으로”(2016), “청년실업에 대한 프랑스 국가의 대응양식: 청년고용정책의 정체성은 존재하는가?”(2017) 등의 논문과, 사회보호 활성화 레짐과 복지국가의 재편(2014, 단독 저서), 그리고 인권과 사회복지(2015), 각국 공공부조제도 비교연구: 프랑스 편(2015), 외국인고용제도개선과 인권(2016), 사회갈등과 정치적 소통(2016), 청년실업, 노동시장 그리고 국가: 학제간·국가비교(2017), 프랑스의 사회보장제도(2018), 포용복지와 사회정책방향(2019), 복지국가쟁점 2: 사회보장 분야별 과제(2020) 등의 공동저서가 있다.
펼치기
윤성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분야는 한국정치이며 최근에는 민주주의 형태, 사회갈등, 뉴미디어 정치 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세대 간 비교”, “Democracy in South Korea: Consolidated but in Deficit”, 저서로는 <전자민주주의>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선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연구교수 저서: “사회협약의 정치: 세계화시대 경제 위기와 집권 정당의 위기극복 전략(핀란드, 벨기에, 스페인, 아일랜드),” 『한국정당학회보』, 제13권 제2호(2014년) 외 다수.
펼치기
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SSK 중형연구단 연구교수 경희대학교 정치학 박사
펼치기
김성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University of Glasgow 박사(러시아정치)
펼치기
서정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대(오스틴)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미국 의회와 외교 정책을 주제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윌밍턴)University of North Carolina Wilmington에서 조교수(2007-2012)를 지냈으며 미국 우드로우 윌슨 센터에서 풀브라이트Fulbright 펠로우(2019)와 미국정치연구회 회장(2020)을 역임했고, 2025년 한국정당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국회의장실, 외교부, 통일부 자문위원이며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과 KBS 객원 해설위원 등을 지냈다. 단독저서인 『미국 정치가 국제 이슈를 만날 때』(서강학술총서, 2019)와 공저인 『미국 정치와 동아시아 외교 정책』(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은 모두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되었고 논문인 "The China Card: Playing Politics with Sino-American Relations (Political Science Quarterly 2012)"는 미국정치학회(APSA) 외교 정책 분야 최우수 논문(2009)으로 뽑혔다. 이외에 "Wedge Issue Dynamics and Party Position Shifts: Chinese Exclusion Debates in the post-reconstruction U.S. Congress, 1879-1882 (Party Politics 2011)," "미국 국내정치와 경제안보: 미국은 어떻게 중국을 견제하는가?(『국가전략』 2023),"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 외교의 잭슨주의 전환(『한국과 국제정치』 2017)" 등 다수의 공저와 논문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고상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명예교수이다. 세계정치학회 연구분과위원장(RC42), 한국슬라브학회 및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연세-SERI EU센터 소장을 하였다. 주 관심분야는 지역정치, 비교정치이며, 세부적으로는 유럽과 동북아의 교차 지역 비교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지역학의 이해와 연구방법』이 있으며,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Korea Observer, Asia-Europe Journal, International Peacekeeping, Pacific Focus, Issues & Studies 등에 논문을 출판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