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79660647
· 쪽수 : 287쪽
· 출판일 : 2009-08-01
책 소개
목차
1. 반자본주의 운동과 혁명적 좌파
좌파의 탄생 / 혁명가들의 과제 / 잃어버린 1960년대: 미국 사회주의노동자당 / 미국의 비극: 국제사회주의자단체 / 결론 / 주
2. 재편과 혁명적 좌파
두 가지 정치적 지진 / 유럽의 계급 양극화 / 어디에서 비롯한 차이인가? / 재편 과정
어떤 종류의 정당인가? / 첫 단계 / 주
3. 재결집과 오늘날의 사회주의 좌파
유럽의 새로운 좌파들 / 정당과 운동 / 개혁주의는 끝났는가? / 재결집의 양상들 / 주
4.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동지들에게 보내는 편지
같은 길을 가기 / 정당과 운동 / 오늘날의 혁명적 정당 / 개혁과 혁명 / 주
5. 유럽 급진 좌파와 선거
세 가지 모델 / 사회주의자동맹, 그리고 노동당 정치의 오랜 쇠퇴 / 좌파 재구성 / 추악한 동맹?
전략적 방향 / 주
6. 오늘날의 혁명 전략
전략 논쟁의 재개 / 과거의 그림자 / 오늘날의 국가와 혁명 / 강령과 당 / 주
7. 프랑스 반자본주의신당 [NPA] 창당에 부쳐
새로운 정당 모델? / 혁명가들과 급진 좌파 / 주 / 참고문헌
책속에서
급진 좌파가 선거에서 이용한 세 가지 상이한 모델을 살펴보자. 분명히 한쪽 끝에는 프랑스 모델이 있다. [프랑스의] 정치 문화는 공산당 정치가 여전히 상당한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고 아주 빈번한 선거에서(이 토론 회보 지난 호에 실린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문서에 따르면, 1995∼2004년에 프랑스에서는 전국 선거가 여덟 차례나 있었다!) 부르주아 우파와 사회자유주의 경향의 좌파가 엎치락뒤치락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혁명적 좌파는 아주 오랫동안 그런 풍토에서 선거운동에 참여해 왔다. 1968년 5~6월의 대규모 폭발 직후인 1969년에 알랭 크리빈이 새로 결성된 공산주의자동맹(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의 전신)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다. 아를레트 라기예르는 1974년 이후 모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국가적 유명 인사가 됐다.
선거 과정에서 노동자투쟁당과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둘 다 공공연한 혁명적 사회주의 조직이라는 그들의 정체를 숨기지 않았다. 그러나 둘 사이에는 상당한 정치적 차이가 숨어 있다(비록 스타시스 쿠벨라키스는 이 토론 회보에 실린 그의 두 번째 글에서 두 조직 모두 특정한 “반정치적”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말이다). 노동자투쟁당은 선별된 작업장 주변에서 일사불란하게 활동하는 당 건설 노선을 추구해 왔다. 그러면서 (중앙의 지도 아래) 매주 작업장 소식지들을 발행하고 모종의 영원한 진실들(특히 공산당과 사회당의 반노동계급적 성격)을 반복하는 사회경제적 선동과 선전에 집중해 왔다. - 본문 '급진 좌파가 선거에서 이용한 세 가지 모델' 중에서
운동들의 발전은 오늘날 급진 좌파의 과제를 보여 준다. 급진 좌파는 이런 운동들과 효과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가? 운동의 일부가 되고, 운동을 건설하며, 운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정치적으로 투쟁할 수 있는가?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치러야 하는 결정적 시험이다. 전국 수준이든 전 유럽 규모이든 서로 다른 조직들의 선거 개입은 이런 기준에 따라 판단해야지, 선거 개입 자체를 목적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예컨대, 올리비에 브장스노와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의 아주 효과적인 대통령 선거운동이 성공을 거둔 이유는 올리비에가 특히 프랑스 청년 다수의 반자본주의 의식을 잘 표현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런 의식을 표현하는 정치적 매개체를 건설하는 데서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이 중요한 구실을 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선거운동은 급진 좌파가 급진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수단 중 하나일 뿐, 정치 개입의 특권적 형태가 아니다.
당연히, 급진 좌파는 정당 건설에 몰두한다. 반자본주의 운동 내에서 개혁주의와 자율주의 경향에 영향을 받은 많은 사람들은 이 논쟁적 견해를 배격한다. 레닌주의 전통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흔히 정당과 운동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잘못된 양자택일을 거부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견해다.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은 정당과 운동 둘 다 건설하려 해야 한다. 효과적인 사회주의 정당은 운동을 약화시키기는커녕 운동을 더 강력하게, 더 역동적이게, 더 응집력 있게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사회주의노동자당은 전쟁저지연합의 주요 세력이다. 이 때문에 전쟁저지연합의 호소력이 더 약해지지는 않는다. - 본문 '정당과 운동의 관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