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성경공부교재 > 청장년
· ISBN : 9788982553219
· 쪽수 : 608쪽
· 출판일 : 1991-03-01
목차
역자서문
서문
약어표
제1장 서언
1. 신약성서 시대의 '정통'이란 개념은 의미있는 것인가?
제1부 다양성 안의 통일성
제2장 케리그마 혹은 케리그마들?
2. 서론
3. 예수의 케리그마
4. 사도행전의 케리그마
5. 바울의 케리그마
6. 요한의 케리그마
7. 결론
제3장 원시적인 신앙고백물들
8. 서론
9. 인자(人子)로서의 예수
10. 메시아로서의 예수
11.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
12. 주(主)로서의 예수
13. 원시 신앙고백문들의 삶의 상황들
14. 결론
제4장 전승의 역할
15. 서론
16. 장로들의 유전
17. 원시 공동체들의 전승들
18. 예수에 관한 전승들
19. 결론
제5장 구약성서의 사용
20. 서론
21. 예수시대의 유대적 성서주석
22. 구약성서에 대한 원시 기독교의 주석
23. 페세르 인용문
24. 해석의 원리들
25. 결론
제6장 사역개념들
26. 서론
27. 예수와 그의 제자들
28. 원시 공동체의 사역
29. 바울의 교회들의 사역
30. 이그나티우스를 지향하여
31. 요안적 대안
32. 결론
제7장 예배양식들
33. 서론
34. 태도와 형태의 다양성
35. 초기 기독교 찬송시들
36. '범 제의주의'?
37. 결론
제8장 성례전
38. 서론
39. 세례
40. 주의 만찬
41. 제4복음서에서의 성례전
42. 결론
제9장 성령과 경험
43. 서론
44. 열광적 기독교
45. 예수의 종교적 경험
46. 바울의 종교적 경험
47. 분기로들
48. 결론
제10장 그리스도와 기독론
49. 서론
50.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적 그리스도 사이의 연속들
51. '한 예수' 많은 그리스도들?
52. 결론
제2부 통일성 안의 다양성?
제11장 유대 기독교
53. 서론
54. 원시 팔레스틴 기독교는 얼마만큼 '정통적'이었는가?
55. 신약성서내의 유대 기독교 : 율법의 고수
56. 신약내의 유대 기독교 : 야고보를 높이고 바울을 경시함
57. 신약내의 유대 기독교 : 양자(養子) 기독론
58. 결론
제12장 헬라적 기독교
59. 서론
60. '교회사에 나타난 최초의 신앙고백상의 분열'
61. 1세기 기독교 내에 나타난 영지주의적 경향들
62. 자료의 '영지주의적 성향'은?
63. 바울 - '가장 위대한 영지주의자'?
64. 요한은'소박한 가현설' 이라는 '결점'을 갖고 있었는가?
65. 결론
제13장 묵시적 기독교
66. '묵시적'이라는 말의 의미
67. 묵시문학 - '모든 기독교 신학의 어머니'?
68. 신약성서 내의 묵시문학
69. 결론
제4장 초기 공교회
70. '초기 공교회'란 무엇인가?
71. 파루시아 희망, '절박한 기대'의 쇠퇴
72. 제도화의 증대
73. 고정된 형식들로 구체화된 신앙
74. 결론
결언
제15장 신약성서의 권위
75. 요약
76. 정경은 여전히 역할을 다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