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84455184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2-10-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 머리말
01_ 대학입시와 시험
입시제도 개선하기 | 왜 입시를 바꾸어야 할까 | 시험은 왜 조금만 바뀌었을까 | 닫힌 제도와 닫힌 문 | 지능을 폭넓게 이해하기
02_ 우리는 어떻게 현재의 입시를 선택하게 되었을까 : 대학입시의 역사
고등학교 내신성적 | 학년 석차 | 과목 난이도와 이력서 | 표준화 시험점수 | 공통원서 | 면접 | 교과외활동 | 추천서 | 암묵적 요인
03_ 대안적 입시제도
적극적 차별철폐정책 | 성적 위주 모집 | 개방 추첨형 입시 | 지역제한형 입시 | 유연한 입시
04_ 지능과 성공을 다르게 바라보기
지능이란 | 지능은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 | 성공지능을 정의한다 | 성공지능의 암묵적 차원 | 성공지능과 표준화 시험 | 실용적 지식 | 창의성 | 성공지능의 핵심은 지혜다
05_ 숨은 재능 평가하기
레인보 프로젝트 | 컬라이더스코프 프로젝트 | 성취도 평가
06_ 창의성과 실용 지능, 지혜 북돋우기
교수법과 입학정책 | 성공지능 북돋우기 | 창의력을 북돋우는 12가지 방법 | 지혜를 얻도록 지도하기 | 마무리
07_ 새로운 지능이론의 영향 : 학생과 대학, 사회는 어떻게 바뀔까?
부록_ 컬라이더스코프 질문 : 2011~2014년
책속에서
명문학교가 찾는 학생은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의 구성을 더욱 다양하게 만들 것이다. 명문학교가 원하는 학생은 학업성적이 뛰어나고, 사회생활도 잘하며, 자신이 사는 세상을 살기 좋게 만들려는 학생이다. 우리 사회는 최고의 지도자가 될 인재를 선발하고 교육시키는 일에 정말 최선을 다하는가? 현재 대학입학제도는 지도자의 자질과 능력을 제대로 식별하고 있는가? 아니면 우리의 방법에 부족함이 있는가? 다시 말해 우리가 어떤 제도를 사용하든지 벌레 먹은 사과를 얻을 수밖에 없는 걸까? 아니면 사과를 고르고 나누는 방식에 문제가 있는 걸까?
- 01_ 대학입시와 시험
SAT와 ACT를 통해서 우리는 측정하기 쉬운 기술을 측정하려고 했다. 물론 1920년대는 이 생각이 올바르고 적절하게 보였을지 모른다. 당시에는 시험이 처음 시행되었고 참신했기 때문이다. 시험을 시행하는 자는 표준화되고 유용한 시험으로 무엇이든 측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세상이 바뀌었다. 그럼에도 시험은 바뀌지 않았다. 우리는 시험을 통해 가장 좋은 점을 바라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점은 놓치고 있다.
- 02_ 우리는 어떻게 현재의 입시를 선택하게 되었을까
나는 유연한 입시를 확대하자고 제안할 것이다. 유연한 입시는 기존이 입시방법을 대체하지 않고, 새로운 방법을 덧붙인다. 현재 평가방법은 원래 평가해야 할 항목보다 적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보다 폭넓게 평가한다면 다양성을 확보하면서도 학업능력이 탁월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생각이 유연한 입시를 뒷받침한다.
- 03_ 대안적 입시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