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승 이통과의 만남과 대화 (연평답문, 주희 철학의 형성과 발전 0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8735093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6-08-3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87350936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6-08-31
책 소개
주희의 사유에 결정적인 자극을 주었던 스승 이통과 주희 사이의 대화를 담은 저서 <연평답문>을 번역하고, <연평답문>의 철학적 함의를 분석한 연구를 담았다. 주자학의 세계를 닦고 조선의 성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주희의 철학을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주희 철학의 형성과 발전' 시리즈 첫 번째 책이다.
목차
<주희 철학의 형성과 발전>을 내면서
머리말
제1부 <연평답문>의 철학적 쟁점들
<연평답문>의 구성과 이통의 철학적 사유 /강신주
인 그리고 공자: 이통의 <논어>와 공자의 <논어> /임부연
쇄락의 수양론과 그 철학적 함축 /백민정
신유학의 형이상학: 인물성동이론과 이일분수론 /성광론
제2부 <연평답문>
찾아보기
책속에서
<연평답문>을 보면 이통이 몇 가지 특징적인 용어들을 대립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 대표적인 대립 쌍으로 들 수 있는 것이 '쇄락(灑落)'과 '고체(固滯)'라는 용어이다. '융석(融釋)'이라고도 표현되는 '쇄락' 개념이 얼음이 녹아 물이 되는 것으로 비유될 수 있다면, '정체(停滯)'라고도 표현되는 '고체' 개념은 이와 반대로 물이 얼어붙어 얼음이 되는 것으로 비유될 수 있다. 여기서 물과 얼음의 비유로 설명되는 '쇄락'과 '고체' 두 상태는, 마음이 취할 수 있는 가능한 두 상태를 가리킨다.
이 두 상태 중 이통은 물론 '고체'가 아닌 '쇄락의 상태를 지향한다. 다시 말해 '굳고 막혀버린 마음'이 아니라 '유동적이며 소통할 수 있는 마음'을 이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이통은 당시 학자들의 문제점이 바로 수양을 통해 이런 유동적인 마음의 상태, 즉 쇄락(혹은 쇄연灑然)한 상태를 확보하지 못한 데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 본문 91쪽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