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 분석 (한국정치연구총서 5)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87691565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5-03-28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87691565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5-03-28
책 소개
2004년 4월 15일 실시된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대하여 선거일을 전후해서 한국정치연구소가 연구.분석한 결과물이다. '경쟁과 참여', '선택과 지지', '교체와 전환', '모색과 전진'의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책은 17대 총선을 한국 정치의 역동성을 남김없이 보여준 극적인 정치 사건으로 규정하고 철저하게 분석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경쟁과 참여
1장 정치자금제도 개선의 효과와 정치적 결과 - 백창재
2장 제17대 총선에서 시민단체의 선거참여 - 김의영
3장 탄핵 이슈와 제17대 총선 - 안병진
제2부 선택과 지지
4장 제17대 총선에서 2표병립제와 유권자의 분할투표 - 박찬욱
5장 대학생의 온라인 정치활동과 투표 행태 - 유석진
6장 과연 '중대선거' 인가? - 이준한.임경훈
제3부 교체와 전환
7장 제17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지지에 대한 분석 - 강원택
8장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와 의원교체 - 박홍민.이준한
9장 사회경제적 구조전환의 관점에서 본 4.15총선 - 박철희
제4부 모색과 전진
10장 제17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 - 이정복
부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비례대표선거를 위해 별도의 정당투표를 유권자에게 부여한 제도변화를 간과하고 민주노동당의 원내진출과 세력부상을 설명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2표병립제가 17대 총선에서 제3당 이하 정당의 대표성을 크게 재고시켰다든가 지역균열이 선거결과에 반영되는 정도를 현저하게 완화했다고까지는 평가하기 어렵다.
그런데 이러한 한계는 2표병립제 자체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17대 총선에 적용된 2표병립제가 내용적으로 그러한 목표를 실현하기에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도 정당투표로 선출되는 비례대표의석의 비중이 종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것이다. - 본문 158쪽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