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화문화아카데미 2016 새헌법안

대화문화아카데미 2016 새헌법안

김문현, 김선택, 박명림, 박찬욱, 이기우, 박은정, 김재원 (지은이)
대화문화아카데미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화문화아카데미 2016 새헌법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화문화아카데미 2016 새헌법안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헌법
· ISBN : 9788985155441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16-08-30

책 소개

대화문화아카데미가 제안하는 새헌법안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은 지난날 한국 헌정사의 개헌 논의와는 전혀 다른 특성과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번 경우는 비상시국도 아닌 상황에서 민간 주도로 시민사회 입장의 헌법 논의를 해왔다는 데 의미가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5

1. 대화문화아카데미 새헌법안의 특징
1.1. 대화문화아카데미 새헌법안의 방향 18
1.2. 요약정리-새헌법안의 주요 특징 23

2. 대화문화아카데미 새헌법안, 어떻게 만들어졌나
2.1. 대화문화아카데미 새헌법안이 나오기까지 28
2.2. 새헌법조문화위원 소개 33
2.3. 논의 연혁과 대화 참가자 34

3. 대화문화아카데미 새헌법안 해제
3.1. 세계보편헌법 및 21세기형 헌법을 향하여: 전문/총강 52
3.2. 모든 사람은 법 앞에 평등하다: 기본권과 기본의무 59
3.3. 양원제 국회, 대의제 보완을 위한 일부 직접민주제,
국회 정책 역량 강화를 위한 개혁 조치 도입: 입법부 64
3.4. 분권과 협치의 시대정신에 맞는 정부 구조:
집행부·사법부 및 기타 헌법기관 73
3.5. 지방분권이 있어야 지역 발전이 있다: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87
3.6. 영토 및 통일 조항, 경제헌법 94
3.7. 경성헌법의 완화와 국민 헌법발안 102

4. 새헌법조문화위원회 심의기록
4.1. 전문 108
4.2. 제1장 총강 120
4.3. 제2장 기본권과 기본의무 149
4.4. 제3장 입법부 210
4.5. 제4장 집행부 293
4.6. 제5장 사법부 365
4.7. 제6장 감사원 및 국가인권위원회 406
4.8. 제7장 선거관리 434
4.9. 제8장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438
4.10. 제9장 경제 466
4.11. 제10장 헌법 개정 487
4.12. 기타 주제 498

5. 현행 헌법과 대화문화아카데미 새헌법안 대조표 513
심의기록
세부차례



4. 새헌법조문화위원회 심의기록 107

4.1. 전문 108
4.1.1. 전반적 논의 108
1) 전문의 수정 방향, 수준 108
4.1.2. 조문별 논의 110

4.2. 제1장 총강 120
4.2.1. 조문별 논의 120
1) 국호, 정체, 주권 120
2) 재외국민의 주권 참여 123
3) 영토ㆍ평화통일 123
4) 침략적 전쟁의 부인, 국군의 사명, 정치적 중립성 130
5) 조약ㆍ국제법규의 효력, 외국인의 법적 지위 131
6) 공무원, 정당 134
7) 전통문화와 민족문화 145

4.3. 제2장 기본권과 기본의무 149
4.3.1. 전반적 논의 149
1) 장 제목 변경 149
2) 기본권 권리 주체 149
3) ‘국민’ 장 신설 여부 150
4) 직접민주주의 강화 152
4.3.2. 조문별 논의 159
1) 생명권, 사형금지 159
2) 차별 금지 기준, 성평등 163
3) 신체의 자유 168
4) 반인도적 범죄의 공소시효 170
5) 추방당하지 않을 권리, 난민 보호 172
6) 직업의 자유 175
7) ‘검사의 신청’ 표현 175
8) 정보의 자유 176
9) 양심과 사상의 자유 177
10) 언론·출판, 집회·시위, 결사의 자유, 알 권리 178
11) 학문과 예술의 자유, 대학의 자치, 재산권 180
12) 선거권, 공무담임권, 청원권 181
13) 국민참여재판, 재판받을 권리, 형사피의자 183
14) 군인, 공무원 등의 배상청구 185
15) 학습권 186
16) 근로의 의무, 여성과 아동의 근로 187
17) 공무원, 방위산업체 근로자의 노동3권 189
18) 사회보장 191
19) 아동과 노인의 권리 194
20) 환경권 196
21) 성평등, 출산과 양육에 대한 국가의 지원 의무 205
22) 자유와 권리 존중ㆍ제한 206
23) 양심적 병역거부 207

4.4. 제3장 입법부 210
4.4.1. 전반적 논의 210
1) 양원제 도입의 필요성, 양원 구성 원칙 210
2) 양원의 명칭 223
4.4.2. 조문별 논의 227
1) 입법권, 국회 구성 227
2) 의원의 임기 241
3) 양원의 의장과 부의장, 국회의 규칙제정권, 의원신분 자격심사 246
4) 국회의원 면책특권 247
5) 국회의원의 의무 250
6) 상시국회제 251
7) 양원합동회의 253
8) 양원협의회, 예산법률안의 의결 방법 254
9) 법률안 제출권 259
10) 법률안 국민발안제 263
11)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 위헌여부심판 제청권 269
12) 예산법률안과 심의기간 272
13) 예산 증액과 새 비목 설치 274
14) 국가의 채무부담, 지방세 조례 275
15) 조약ㆍ국군 파병ㆍ외국 군대 주둔에 대한 동의 276
16) 내각불신임 278
17) 공무원 임명 인준권 282
18) 국무총리ㆍ국무위원 해임건의권 284
19) 탄핵사유, 탄핵소추발의요건 284
20) 국정감사ㆍ국정조사 289

4.5. 제4장 집행부 293
4.5.1. 전반적 논의 293
1) 정부 형태 293
2) 장 제목 변경 309
3) 총리 명칭 309
4.5.2. 조문별 논의 310
1) 집행권의 귀속, 대통령의 지위ㆍ책무 310
2) 선거 원칙, 대통령 피선거권, 결선투표 316
3) 대통령 선거 시기 318
4) 대통령 취임 선서, 권한행사 시점 319
5) 대통령의 중임, 정당 소속 321
6) 대통령 권한대행, 사임 규정 324
7) 공무원 임면권 328
8) 조약ㆍ외교ㆍ선전포고 329
9) 국군 고위급 장교 임명권 334
10) 대통령령, 국민투표부의권 334
11) 대통령 소속 위원회 340
12) 사면위원회, 사면권 342
13) 민의원해산권 344
14) 영전수여권 346
15) 형사상 특권 347
16) 전직 대통령의 신분과 예우 349
17) 행정부의 구성, 총리의 권한과 선출 350
18) 외교 및 대외정책, 국군통수권 긴급처분ㆍ명령권, 계엄선포 357
19) 총리령, 부령 361
20) 국가원로자문회의 362
21) 국가안전보장회의 363
22) 국가경제자문회의, 부서제도 363

4.6. 제5장 사법부 365
4.6.1. 전반적 논의 365
1) 장 제목 변경 365
2) (대)법관, 대법원 명칭 365
4.6.2. 조문별 논의 370
1) 사법권의 귀속 370
2) 법관의 법 왜곡 문제 374
3) 헌법재판소의 관장 사항, 헌법재판관추천위원회 374
4) 헌법재판소장과 재판관의 임기 389
5) 결정 정족수 391
6) 법원의 조직, 국민참여재판 393
7) 법관추천위원회, 각급 법원 구성 방법 394
8) 대법원장과 대법관의 임기 402
9) 명령ㆍ규칙ㆍ조약ㆍ조례의 위헌심판 403
10) 군사재판 단심 조항 삭제 404

4.7. 제6장 감사원 및 국가인권위원회 406
4.7.1. 전반적 논의 406
1) 인권호민관제와 정부감사관제 406
4.7.2. 조문별 논의 410
1) 감사원의 소속, 지방감사 410
2) 감사원의 구성, 임기, 결산검사보고 420
3) 국민권익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422

4.8. 제7장 선거관리 434
4.8.1. 전반적 논의 434
1) 선거관리 조항 축소 여부 434
4.8.2. 조문별 논의 435
1) 선거관리위원회의 구성과 권한, 위원 임기 435

4.9. 제8장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438
4.9.1. 전반적 논의 438
1) 지방 행정체계 438
2) 지방자치 조항 조문화 수준 441
4.9.2. 조문별 논의 446
1) 자치권, 지방자치기본법 446
2) 시ㆍ군ㆍ자치구의 자치권 454
3) 도의 입법권 459
4) 재정조정제도 464

4.10. 제9장 경제 466
4.10.1. 전반적 논의 466
1) 경제 조항 조문화 수준 466
2) 토지의 공공성 469
4.10.2. 조문별 논의 471
1) 현행 헌법 제119조 수정 여부 471
2) 국토의 지속가능한 개발, 천연자원 479
3) 농어민 지원, 소작농 금지 480
4) 중소기업, 소상인, 농어민, 소비자 보호 483
5) 국제교역 484
6) 사기업 국ㆍ공유화와 통제 금지 485
7) 과학기술 발전과 국가표준제도 486

4.11. 제10장 헌법 개정 487
4.11.1. 전반적 논의 487
1) 헌법개정절차 이원화 487
4.11.2. 조문별 논의 491
1) 국민의 헌법개정 제안권과 제안 요건 491

4.12. 기타 주제 498
4.12.1. 개헌 필요성, 개헌 논의 필요성 498
4.12.2. 개헌 조문화 수준 503
4.12.3. 선거ㆍ정당제도 개혁 504
4.12.4. 검찰제도 개혁 505
4.12.5. 미래 변화를 고려한 개헌 506
4.12.6. 헌법수호 조항 신설 여부 507
4.12.7. 그 외 510

저자소개

김선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학력] 고려대 법대 및 동대학원 독일 쾰른대 (법학박사, 헌법학) [경력] 헌법재판소 헌법연구위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시민사법위원 국무총리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중앙행정심판위원회 정보공개위원장 법무부 헌법자문위원회 위원 법무부 남북법령연구특별분과위원회 공법소위 위원장 법무부 법령해석위원회 위원 감사원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남녀차별개선위원회 위원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경찰청 경찰개혁위원회 위원 경찰청 경찰수사정책위원장 헌법이론실무학회 회장 고려대 정당법연구센터 소장 [저서] 3·1대혁명과 대한민국헌법(공저), 푸블리우스, 2019 통일한반도의 헌법적 이념(공저), 패러다임북, 2019 새로운 헌법 무엇을 담아야 하나(대화문화아카데미 편), 대화문화아카데미, 2011 새로운 헌법 필요한가(공저), 대화문화아카데미, 2008 헌법사례연습, 법문사, 2004 [수상] 국민훈장 목련장 (2005) 석탑강의상 (고려대, 2004, 2005, 2006)
펼치기
박명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로서 정치학, 사회인문학, 평화학, 한국학, 동아시아국제관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인간평화와 치유 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박사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연구 교수(1994-1999),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 연구소 협동 연구학자(1999-2001), 프랑스고등사회과학원과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2013-2014)로 재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전쟁의 발발과 원 1,2』(1996), 『한국1950: 전쟁과 평화』(200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찬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랭클린 마샬 대학 정치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과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세계정치학회 집행위원과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국회의 성공조건》(공저)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민주정치와 균형외교》(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Munster대학교 법학부(법학박사) 현)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 전) 국회 개헌특위 자문위원회 제1소위원장 전) 국회정치개혁특위 자문위원 저서: 스위스의 지방분권과 자치(2021),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 속한다 이제는 직접민주주의다(2016),분권적 국가개조론-스위스에서 정치를 배우다(2014) 외 다수
펼치기
박은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교수로 봉직하면서 법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법철학회 회장, 유네스코국제생명윤리위원회(IBC) 위원, 한국인권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세계 법 및 사회철학회(IVR) 한국대표,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소장,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자연법 사상』(1987), 『현대의 사회문제와 법철학』(1995), 『생명공학시대의 법과 윤리』(2000), Boiethics, Research Ethics and Regulation(2005), 『자연법의 문제들』(2007), 『법철학의 문제들』(2007), 『왜 법의 지배인가』(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