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88996683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06-11-20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기에 앞서
제1장 들어가며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된다
제2장 형성기
책 읽는 데 어려움이 많았던 학창시절
연애하는 심정으로 책을 읽고
책에서만 배우는 것은 아니다
늘 처음처럼 출발점에 서서
문해교육과 시민교육으로 희망을 찾고
제3장 사상
실천 없이는 앎도 없다
생물교과만 가르칠 수 있을까?
카리스마가 있는 지도자들에 대해
교육과 조직화의 차이
전문성과 전문가에 대해
문화에 깃든 혼을 존중하라
부모가 되어 배운 것들
제4장 교육실천
민중의 경험에서 출발하라
하이랜더의 이념과 교육실천
갈등은 의식을 깨우는 산파다
제5장 교육과 사회변화
교육을 밀매해먀 한다
사회변혁은 하나의 과정이다
제6장 회고
민중의 삶 속에서
민중에게 배우라
프레이리와 호튼에 대하여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공부란 무언가를 발견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이 발견은 아주 독특한 맛, 바로 창조와 재창조의 행복한 순간을 가져다줍니다. 쉽지는 않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지요. 우리는 학생들에게 이 창조의 순간을 맛볼 수 있도록 자극을 주어야 합니다. 단순히 시계를 보고 10시~11시에는 책을 읽고 오후 2시~3시에는 글을 쓴다는 식으로 학생들의 마음을 관료화시켜서는 안 됩니다.
이 사회가 갖고 있는 가장 비극적인 병 중 하나는 ‘마음의 관료화 bureaucratization of the mind’입니다. 이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꼭 필요하다고 여기는 정해진 틀을 벗어나면, 사람들의 신뢰를 잃게 됩니다. 하지만 단절ruptura의 경험 없이, 즉 옛것과 결별하지 않고, 의사결정과정에서 갈등을 겪지 않고, 무언가를 창조할 수는 없습니다. 단절이 없다면 인간 존재도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 본문 5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