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90024466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05-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면서
교과서 - '긍지'에서 '책임'으로
1. 1990년대 이후의 일본의 '반성'과 새역모
2. 반성하는 전후 일본
3. 새역모의 불만
4. 한일 양측 대응의 문제점
5. '사실'과 윤리
6. 새역모와 민족주의
7. '애국심'을 넘어
위안부 -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
1. '위안부는 없었'나
2. 일본 정부의 대응과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 국민기금
3. '도의적' 책임의 한계와 평가
4. 한국의 불신
5. 우리 안의 책임
6. 우리 안의 가해성
7. '국가'를 넘어서
야스쿠니 - '사죄'하는 참배
1. 고이즈미 수상의 '반전' 의지
2. 야스쿠니와 전후 일본
3. 피해의식으로서의 야스쿠니 지지
4. '국가를 위한 죽음'에 대한 추모
5. 한국의 모순, 국립묘지
6. 피해자로서의 군인
7. '사죄'하는 추모
독도 - 다시 경계민의 사고를
1. 두 개의 독도 이야기(1) - 근대 이전
2. 소유의 지정학 - 이름.일탈.식민지
3. 두 개의 독도 이야기(2) - 근대 초기
4. 영토확장이라는 욕망과 근대
5. 두 개의 독도 이야기(3) - 해방 후
6. 미국이라는 팩트
7. 경계심과 표상
8. 시마네 현과 독도
9. 경계민의 사고를 위해
10. 독도의 주인은 누구인가
11. 소통하는 경계
화해를 위해서
1. 근대가 야기시킨 네 가지 문제
2. 본질주의를 넘어
3. 새로운 비판을 위해
4. 한일협정과 일본의 선택
5. 냉전구도 속의 한국과 일본
6. '국민'을 넘어서
나오면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야스쿠니 신사에 대한 비판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이 필요하다면 국가를 위해 몸바치는 일을 당연시한다는 점에서는(물론 가고 싶지 않은 이들, 보내고 싶지 않은 이들도 많지만, 그들 역시 다만 자신이 아닌 다른 이가 가주기를 바랄 뿐 국가를 위해 몸바치는 일 자체를 의문시하는 것은 아니다) 군국주의화하고 있다고 늘 비난받고 있는 일본보다 한국쪽이 훨씬 더 많이, 그리고 훨씬 더 깊이 일상 깊숙이 군사주의적 사고방식에 물들어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는 야스쿠니에 대한 한국의 비판은 근본적인 모순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이 일본과 '함께' '중국을 상대로' 전쟁을 했다는 점에서는, 그 결과로 중국인을 참혹하게 살해한 B급, C급 전범 중에 한국인이 있었다는 점에서는, 그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현재의 한국의 비판은 더더욱 모순을 안은 것이 될 수밖에 없다. - 본문 136~13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