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88990106476
· 쪽수 : 281쪽
· 출판일 : 2007-09-17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1987~2007년: 자치의 꿈과 풀뿌리 기득권 구조의 강화
1. 1987년 민주화운동과 지방자치의 부활
2. 부활한 지방자치와 민주화운동
3. 1995~2006년: 지방자치의 완전한 부활과 기득권 구조의 고착
4. 누가 지방선거를 통해 제도 정치권으로 진출했는가?
5. 지역에 민주주의는 있는가?
제2장 지방자치의 딜레마와 쟁점
1. 풀뿌리보수주의인가? 풀뿌리민주주의인가?
2. 무관심이 만든 낮은 투표율, 좀 더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3. 젠더와 지방자치
4. 주민 의식의 파편화 유도와 분할 통치
5. 지방분권의 딜레마
6. 지역 민주화를 소홀히 한 지방분권 정책과 운동
7. 지방자치, 지역 민주주의와 관련한 몇 가지 논쟁과 쟁점
제3장 한국의 지역사회는 누가 지배하는가?
1. 지역 지배 구조란?
2. 지역사회 지배 구조에 관한 연구들
3. 지역사회 지배 구조 분석에서 고려할 점들
4. 지역사회의 주요 비공식 행위자들
5. 지역 지배 구조의 특징적 양상 1: 관변단체의 영향력
6. 지역 지배 구조의 특징적 양상 2: 중앙정치와 지역 기득권층
7. 한국 지역사회에서 기득권 엘리트의 정치·이념 성향
8. 지역사회 지배 구조의 재구성
9. 지역사회 지배 구조와 개발지상주의
제4장 왜곡되는 직접민주주의와 주민 참여 가능성
1. 주민 참여를 배제하고 출발한 지방자치
2. 주민투표를 통해 본 직접민주주의의 희망과 좌절
3. 주민소환제도의 도입과 민주주의에 미칠 영향
4. 정책적 참여의 가능성을 보여 준 주민발의운동
5. 지역 수준에서 시도되는 새로운 주민 참여
제5장 양극화·개발지상주의와 지역: 한국의 지역,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1. 다양하면서도 변화의 와중에 있는 한국의 지역
2. 한국의 지역: 도시화와 불균형의 심화
3. 농·어·산촌 지역 들여다보기
4. 비수도권 농·어·산촌에 부는 개발 열풍
5. 수도권은 행복한가?
6. 노무현 정부의 균형발전 전략의 실체와 그 귀결
7. 내발적 발전은 불가능한가?
제6장 지역 시민운동의 형성과 발전
1. 시민운동과 지역 시민운동
2. 지방자치와 지역 시민운동의 흐름
3. 지역 시민운동의 현황
4. 기존 운동에 대한 성찰과 풀뿌리운동 담론
5. 지역 시민운동의 고민과 과제
제7장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와 지역
1. 민주주의를 지체시키는 공간이 된 ‘지역’
2.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관료가 주도하는 정책 생산 구조
3. 중앙관료 집단과 중앙정당이 왜곡해 온 지방자치
4.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밑그림
5. 지역 민주화와 정치적·행정적 분권 방안
6. 풀뿌리민주주의를 향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