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90840370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17-03-23
책 소개
목차
·· 공부를 시작하며 4
·· 벽산당 금타 대화상 탑비명 12
·· 『금강심론』 저술 시기 27
·· 편저자 일러두기 28
·· 『금강심론』 머리말 30
·· 『금강심론』 일러두기 46
● 제1편 ● 일인전一人傳에 일인도一人度
제1장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의 독해讀解 57
반야바라밀다심경의 약해略解 65
제2장 보리방편문菩提方便門 95
제1절 아미타불; 우주의 총대명사 아미타불 106
제2절 인원과만; 원만한 닦음으로 원만한 불과佛果 맺기 121
제3절 삼신요별; 법신, 보신, 화신의 3신을 각각 이해하되 3신이 한 부처님 130
제4절 오지여래; 다섯 가지 지혜에 따른 여래 137
제5절 묘유현상; 참으로 빈 가운데 묘한 존재 161
제6절 석공관; 공을 분석해 보기 171
제7절 색즉시공 공즉시색 186
제8절 아누보리의 실상해; 아누보리의 실상 풀이 192
제9절 오륜성신관 200
제10절 금강삼매송 209
제11절 삼륜단공송 230
제12절 관음자륜송 241
제3장 관음문자觀音文字 273
제1절 관음문자 공포 취지문 274
제2절 부화음게 모애음게 284
제3절 관음자륜; 관음글자 288
제4절 기수묘게; 수의 묘리에 관한 게송 298
제5절 문서래왕; 문서가 오고감 320
제4장 석존일대釋尊一代의 경개梗槪 325
제1절 룸비니원에서 탄생하심; 룸비니 동산에서 태어나심 326
제2절 도를 구하사 선림에 입하심; 진리를 찾아 선림仙林에 들다 331
제3절 정각을 대성함; 크고 바른 깨달음을 이룸 336
제4절 50년 교화의 행각; 50년 교화의 여정 343
제5절 추상; 지난 일을 돌아봄 351
제5장 호법단 4차 성명서護法團四次聲明書 355
제6장 현기懸記 365
제7장 만덕송卍德頌과 십여시十如是 379
● 제2편 ● 해탈십육지解脫十六地
초. 삼귀지三歸地 392
2. 신원지信願地 411
3. 습인지習忍地 423
4. 가행지加行地 428
5. 금강지金剛地 438
6. 희락지喜樂地 443
7. 이구지離垢地 457
8. 발광지發光地 458
9. 정진지精進地 461
10. 선정지禪定地 475
11. 현전지現前地 475
12. 나한지羅漢地 475
13. 지불지支佛地 477
14. 보살지菩薩地 477
15. 유여지有餘地 478
16. 무여지無餘地 487
·· 참고 문헌 502
·· 표 목록 503
·· 주요 용어 찾아보기 505
책속에서
『금강심론』은 초기불교에서 대승밀교까지 회통 망라하였고, 각 내용마다 다양하고 자세한 전거가 있으며, 가히 팔만대장경을 요약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태장계 만달라와 금강계 만달라를 겸한 한 장의 도상으로 축약하여 ‘수릉엄삼매도’라는 만달라로 완성하였다.
이러한 귀중한 독창적인 저술들이 주로 스스로 깨달은 진여연기眞如緣起의 경계를 간결하게 제시한 압축된 문장일 뿐 아니라, 종교와 철학과 과학을 원만하게 포함한 뛰어난 저술이기 때문에 후배에 있어서도 이를 음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지眞摯한 구도인의 입장에서 삼매를 통한 직관적인 실증實證의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보리菩提란 깨달음의 뜻으로서 「보리방편문」은 견성오도見性悟道의 하나의 방편입니다. 정定과 혜慧를 가지런히 지니는 마음을 한 가지 경계에 머물게 하는 묘한 비결이니 잘 읽어서 뜻을 깨달은 후 고요한 곳에 처하고 제일절만 써서 단정히 앉아 바로 보는 벽면에 붙여서 관觀하고 생각하되 관의 일상삼매一相三昧로 견성見性하고 념念의 일행삼매一行三昧로 오도悟道함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