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91097094
· 쪽수 : 373쪽
· 출판일 : 2004-09-2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감사의 말
제1부
머리글
제1장 단선론적 역사와 국민국가
서구 학계에 나타나는 헤겔의 유산
단선론적 역사의 아포리아와 민족주의의 정치학
국민국가와 계몽주의 양식의 중국 역사
결론
제2장 중국과 인도에서 단선론적 역사의 양지분기
정치 공동체의 역사적 모델
공동체 폐쇄의 해석학과 디센트 서사
근대 국민국가 체제와 역사의 문제
결론
제2부
제3장 반종교운동과 피억압자의 귀환
자각과 역사의 종언
역사의 종언을 위한 인민의 창출
반종교운동
결론
제4장 중국 공화혁명 시기의 회당과 혁명 담론
19세기 말 중국의 회당
광부, 유교, 만주족 문제
회당에 대한 혁명파의 서사
쑨원: 현실의 체험과 서사의 폐쇄
혁명적 이념과 전지구적 종족 담론
결론
제5장 봉건의 계보학: 시민사회와 국가에 관한 서사
시민사회와 서구의 중국사 연구
시민사회에 대한 혼성 서사
서사의 작동: 국가 건설과 시민사회
약한 국가와 국가주의 담론
후기: 량치차오와 봉건에 대한 보충
제6장 국가에 관한 성(省)의 서사: 근대 중국의 연방론과 집권론
성과 연방국가 담론
후난: 자치와 인민주권
광둥: 민족주의와 배반이 정치학
제7장 인도와 중국에서의 근대성 비판
결론
저자 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5.4 운동은 다른 맥락에서 문화대혁명이 그러했던 것처럼 계몽적 자각을 성취하기 위해 과거와의 단절을 요구했다. 다른 시각에서 본다면 이들 사건들은 '역사'가 시간의 아포리아를 무마하는 데 실패한 가장 극적인 사례들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이상적 영원성을 실현해야 한다는 절박함 때문에 시간 혹은 역사와의 모든 관련성을 파괴하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어떻게 이러한 일시적 결별이 민족이란 문제로 귀착되는가? - 본문 14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