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92355834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2-04-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아마도 우리는 다른 뇌를 지니게 될 것이다
1. ‘우리’는 누구인가
혈연 공동체
고난 공동체
불안 공동체
자의식은 우리의식에서 출발한다
만들어진 공동체 밖으로
2. 우리는 어떤 동물인가
느린 성장 속도의 의미
인간 뇌의 성장담
뇌는 사회적 기관이다
유대와 자유 사이
인간이 히말라야 산을 오르는 이유
3. 우리는 어떻게 길들었는가
사회화된 신경회로
거울 뉴런과 순응의 원리
순응의 덫
4. 우리는 서로에게 무엇을 믿게 했는가
각자의 뇌, 각자의 사고모델
신념에 갇힌 몸
뇌에 체화된 경험
심리적 실명 상태
인간을 닮은 기계, 기계를 닮은 인간
진화와 경쟁에 관한 신화
뇌와 시대정신
5. 왜 감동과 희열이 사라진 삶을 사는가
열광하는 뇌
유년기 뇌의 갈림길
생후 6개월, 억압에 눈뜨다
수상쩍은 롤모델
당근과 채찍의 실패
현대판 피리 부는 사나이
죽음의 공동체
6. 우리는 무엇이 될 수 있는가
삶은 자기최적화의 과정
불안 비상등
삶이 만드는 우리, 우리가 만드는 삶
우리가 두려워 하는 것은 우리다
-‘동기 부여’의 거짓말
-‘효율성’과 ‘안전성’이라는 신기루
-기울어진 자아
-수동적 자유, 적극적 자유
-“원숭이에서 인간으로 가는 과도기”
-자발적 노예의 문화
미래를 감지하는 촉수
-‘일’에 대한 새로운 이해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
-‘어른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
-‘나이 듦’에 대한 새로운 이해
-‘삶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이해
잠재력의 공동체
나오는 말
-그것은 적어도 여러분 뇌의 잘못이 아니다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아이가 입에 올리는 첫마디는 ‘나’가 아니라 상대방, 즉 엄마나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 등으로 나타나는 ‘너’에 대한 호칭이다.(…) 다시 말해 ‘나’를 생각하고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훨씬 전부터 아이는 이미 아주 강한 ‘우리감정’을 지니고 있는 셈이다.
우리는 태아 때 가장 많은 신경 세포를 뇌 안에 지니고 있는 셈이다.
뇌는 사회적 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