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양 중국사 3

백양 중국사 3

(명 왕조의 흥기부터 청 왕조의 멸망까지)

백양 (지은이), 김영수 (옮긴이)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백양 중국사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양 중국사 3 (명 왕조의 흥기부터 청 왕조의 멸망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93119688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4-03-30

책 소개

20세기의 사마천 백양이 '집행이 면제된 사형'을 언도받고 옥중에서 집필한 역사서로, 중국사 전체를 반성적 입장에서 기술했다. 중국사의 반인권적, 반인간적, 봉건적 요소들을 철저하게 비판함으로써 균형 잡힌 시각으로 중국과 중국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목차

제27장│14세기 - 명明 왕조, 300년 암흑시대의 시작
1. 몽고 제국의 중국 통치 _ 14
2. 한인의 격렬한 반항 _ 20
3. 명明 왕조의 흥기 _ 28
4. 주원장朱元璋의 대도살 _ 34
5. 인권 유린 _ 38
6. 절대 전제제도 확립 _ 45
7. 대암흑시대 _ 49
8. 정난靖難의 역 _ 55

제28장│15세기 - 암흑이 천지를 가리다
1. 주체朱棣의 대도살 _ 64
2. 중국 최초의 해상영웅-정화鄭和 _ 68
3. 교지성交趾省 설립과 영구적 이탈 _ 78
4. 북방 변경의 근심 _ 82
5. 제3차 환관시대 _ 88
6. 토목지변土木之變과 탈문지변奪門之變 _ 93
7. 단두정치斷頭政治 _ 99

제29장│16세기 - 단두정치의 극치를 보여준 황제들
1. 주후조朱厚照와 유근劉瑾 _ 112
2. 대례의大禮儀 사건 _ 117
3. 단두정치의 악화 _ 123
4. 전국을 달군 민중항거 _ 128
5. 왜구倭寇 _ 132
6. 북방의 외환과 화해 _ 137
7. 장거정張居正의 개혁과 참패 _ 143
8. 제1차 조선 파병 _ 148
9. 양명학파 _ 154
10. 삼부三部 소설 _ 158

제30장│17세기 - 청淸 왕조가 창조한 제3차 황금시대
1. 단두정치의 극치 _ 172
2. 광감礦監과 세감稅監 _ 178
3. 동북쪽에서 일어난 후금後金 칸국 _ 185
4. 청淸 제국의 전쟁과 화해 _ 192
5. 주유교朱由校와 위충현魏忠賢 _ 199
6. 천지개벽할 농민 대폭동 _ 206
7. 주유검朱由檢의 최후 _ 214
8. 청군의 입관入關 _ 219
9. 한족의 반항과 삼번三藩 전투 _ 227
10. 제3의 황금시대 _ 234
11. 동방 강토의 개척-대만 _ 241
12. 동북 강토의 개척-‘네르친스크 조약’ _ 245
13. 새북塞北 강토의 개척-내몽고 _ 251
14. 막북漠北 강토의 개척-외몽고 _ 256

제31장│18세기 - 대암흑의 그림자
1. 라마교喇嘛敎와 서장西藏 _ 268
2. 서남 강토의 개척-서장 _ 273
3. 중서부 강토의 개척-청해靑海 _ 278
4. 준갈이 칸국의 멸망과 종족 도살 _ 281
5. 서북 강토의 개척-신강新疆 _ 288
6. 청 정부의 민족정책 _ 293
7. 조선·유구·안남 _ 299
8. 미얀마·네팔·섬라暹羅(태국) _ 303
9. 번속 밖의 조공국 _ 309
10. 화교華僑 _ 313
11. 문자옥文字獄 _ 319
12. 대암흑의 반격 _ 327
13. 관핍민반官逼民反 ① _ 333
14. 가장 위대한 소설-『홍루몽紅樓夢』 _ 340

제32장│19세기 - 아편 전쟁, 중국의 몰락을 부채질한 무역 전쟁
1. 관핍민반 ② _ 351
2. 중국과 서양의 기형적 관계 _ 354
3. 영국 세력의 동진 _ 360
4. 아편 전쟁 _ 367
5. 거대한 변화 _ 377
6. 태평천국太平天國 _ 383
7. 염군捻軍과 회변回變 _ 392
8. 영·프 연합군 _ 397
9. 러시아, 98만km2 강토 탈취 _ 407
10. 신강의 이탈과 수복 _ 412
11. 다시 63만km2의 강토 탈취한 러시아 _ 416
12. 중·프·월남 전쟁 _ 421
13. 자강운동自强運動 _ 429
14. 제2차 조선 파병 _ 437
15. 중·일 갑오전쟁 _ 444
16. 중국이 실패한 원인 _ 451
17. 백일유신百日維新, 무술정변戊戌政變 _ 457
18. 의화단義和團 _ 467

제33장│20세기 - 열강의 세력 확장이 불러온 청淸 왕조의 종말
1. 8국 연합군 _ 478

특별 부록
백양의 역사관 _ 486
1. 중국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_ 486
2. 『백양 중국사』를 쓰게 된 동기 _ 499
3. 역사에서 미래를 본다 _ 502
4. 역사의 거울 _ 507
5. 제왕을 더럽힌 백양 _ 518
6. 사대부와 중국인 _ 522
7. 『백양 중국사』의 역자 김영수 교수의 질문에 삼가 답함 _ 530
백양 연보 _ 540
백양 주요 작품 연보 _ 566

역자 후기 _ 568

중국 역대 왕조 강역도 _ 573
중국 역대 왕조 기년표 _ 574
표·지도·세계도·사진 목록 _ 576
찾아보기 _ 579

저자소개

백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곽의동郭衣洞으로, 1920년 하남성 개봉에서 태어났다. 1937년 항일전쟁이 발발하자 19세의 나이로 종군했고, 사천성 삼대의 동북대학을 졸업하고 요녕성 심양으로 가서 「동북청년일보」를 맡아 일했다. 1949년 국민당군이 패퇴하자 장개석을 따라 대만으로 건너갔고, 1951년부터 소설을 발표하다 얼마 뒤 대북(타이베이) 「자립만보」 부총편집을 맡았다. 1960년대부터 백양이라는 필명으로 「자립만보」와 「공론보」에 글을 발표하여 중국 문화의 병리현상을 비롯하여 사회와 관료의 추악한 현상을 공격했다. 1968년 3월 7일 ‘인민과 정부의 감정을 도발’했다는 죄목으로 체포되어 소위 ‘집행하지 않는 사형’을 선고받았으며, 악명 높은 화소도火燒島 감옥에 수감되었다가 9년 26일 만인 1977년 4월 1일 출옥했다. 옥중에서 ‘백양역사연구총서’ 3부작을 준비하여 9년에 걸쳐 완성했으며, 출옥 후 <중국제왕황후친왕공주세계표中國帝王皇后親王公主世系表>, <중국역사연표中國歷史年表>, <백양 중국사(원제목:중국인사강中國人史綱)>를 잇달아 출판했다. 또한 72권에 이르는 방대한 <백양판 자치통감柏楊版資治通鑑>을 1983년부터 10년에 걸쳐 모두 세상에 선보였으며, 1985년 중국인과 중국 역사의 부정적인 면을 대담하게 폭로한 <추악한 중국인丑陋的中國>을 출간하여 국내외에서 엄청난 반응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백양은 대만으로 건너온 뒤 인간의 순수한 감정과 최소한의 인권마저 짓밟는 독재에 붓으로 맞섰고, 장개석 정권은 그를 눈엣가시처럼 여겨 결국 그를 9년 넘게 감옥에 가두었다. 그 기간 동안 백양은 역사를 선택했다. 25사와 <자치통감>만을 참고하여 쓴 <백양 중국사>는 마치 25사와 <자치통감>에서 피의 역사만 뽑아서 구성한 듯한 착각마저 들게 하는 역사서다. 방대한 <백양 중국사> 전편을 휘감고 있는 불타는 듯한 그의 역사의식은 정치와 사회에 대한 처절한 해부에서 비롯되었고, 그 불길과 함께 타올라 끝내는 장렬하게 산화하는 비극적 카타르시즘을 전달한다.
펼치기
김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난 30여 년 동안 사마천(司馬遷)과 《사기(史記)》, 그리고 중국을 연구하고 30년 가까이 중국 현장을 150차례 이상 탐방해 온 사마천과 《사기》에 관한 당대 최고의 전문가이다. 저자는 지금도 사마천과 중국의 역사와 그 현장을 지속적으로 답사하며 미진한 부분을 계속 보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는 《완역 사기》 시리즈를 비롯하여 《역사의 등불 사마천, 피로 쓴 사기》《사마천과 사기에 대한 모든 것 1 : 사마천, 삶이 역사가 되다》《절대역사서 사기 - 사마천과 사기에 대한 모든 것 2》가 있고, 최근에는 《한 번만 읽으면 여한이 없을 한비자(개정증보판)》《리더의 망치》《성공하는 리더의 역사공부(원제 : 《리더의 역사공부》)《리더와 인재, 제대로 감별해야 한다》《《사기, 정치와 권력을 말하다》《사마천 다이어리북 366》《인간의 길》《백전백승 경쟁전략 백전기략》《삼십육계(개정증보판)》《알고 쓰자 고사성어(개정증보판)》《사마천 사기 100문 100답》과 ‘간신(奸臣)’ 3부작인 《간신 : 간신론》 《간신 : 간신전》 《간신 : 간신학》 《정치, 역사를 만나다》 등을 펴냈다. 이 밖에 《오십에 읽는 사기》《제왕의 사람들 》《난세에 답하다》《사마천, 인간의 길을 묻다》《제자백가의 경제를 말하다》 《사마천과 노블레스 오블리주》《막료학》 《모략학》 등이 있다. ▶저자 연락처 페이스북 _ Young Soo Kim 유튜브 _ 김영수의 ‘좀 알자, 중국’ 블로그 - ‘김영수의 사기세계’ 밴드 _ ‘좀 알자, 중국’
펼치기

책속에서

단두정치斷頭政治(무뇌정치)는 사람을 놀라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주익균(명明 신종 만력제)의 단두정치는 더욱 철저했다. 그의 선조들은 깊은 궁에 숨어 지내면서 다소 느리기는 했지만 국가의 큰일은 ‘표의票擬’(각종 상소나 결재서류에 재상이 자신의 의견을 첨부하는 행위)나 ‘주비朱批’(황제가 붉은붓으로 결재하는 행위)라는 방식을 통해 처리했다. 그러나 30년 넘는 주익균의 단두정치는 이런 것조차 모두 중지시켰다. 관리들의 보고서가 올라가면 ‘고기만두로 개를 때리듯’ 함흥차사였다. 말 그대로 감감 무소식이었다. (중략)
금의위에는 법관이 없어 죄를 지어 감옥에 갇힌 죄수가 길면 20년 넘게 심문 한 번 받지 못할 정도였다. 이 때문에 견디다 못한 죄수가 감옥 벽에 머리를 찧어 피를 줄줄 흘리면서 하소연할 정도였다. 죄수의 가족이 장안문長安門 밖에 모여 무릎을 꿇고는 멀리 신성한 천자 주익균이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깊은 궁궐 쪽을 향해 울며불며 애원했다. 지나가던 사람들이 이 모습을 보고는 함께 통곡했다.
하지만 주익균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재상들이 다시 한 번 법관이나 다른 관리들을 지정하여 파견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역시 별다른 반응이 없었다. 전국의 지방정부 관리들 역시 반 이상 비어 있었다. 관리를 임용해야 한다는 주장奏章을 올리면 못 본 척했을 뿐만 아니라 사직하는 관리들의 사직서에도 무반응이었다. 재상 이정기李廷機가 병이 나서 무려 120차례 사직상소를 올렸지만 아무런 답을 얻지 못하다 끝내는 재가를 받지 못한 채 물러났고, 황제는 추궁하지 않았다. (중략)
세계 역사상 이런 정치형태는 눈을 씻고 찾아도 볼 수 없을 것이다. 신하가 황제를 만나러 들어갈 수 없었고, 주장을 올려봐야 죽은 시신에게 올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아무런 반응을 얻을 수 없었다. 백성은 통곡했고, 관리들은 초조해졌다. 민란이 들불처럼 일어났다. 황제와 정부를 꾸짖고 욕하는 소리가 전국을 뒤덮었고, 폭정에 항거하는 혁명이 물결쳤건만 황제 주익균은 여전히 요지부동이었다.
명 정부는 진작 머리가 잘린 시신이 되어 있었던 것이다.
-3권 「제30장 17세기-청淸 왕조가 창조한 제3차 황금시대」 중에서


황제는 이론상 절대적 최고 권력자지만 군대의 충성을 얻어야만 한다. 젊은 황제 재첨은 이 점에 주의하고 하북성 사법원장(직예 안찰사按察使)으로 천진의 신식 군대를 훈련시키는 책임을 맡고 있던 원세개(위안스카이)를 차관(시랑侍郞) 계급으로 승진시키는 한편, 그를 접견하여 사적인 친분을 맺었다. 하지만 원세개는 어디까지나 관료사회에 물든 인물이었다. 관료들은 권력이 큰 쪽에 충성을 표시하면 그만이었다. (중략)
나랍난아(서 태후)는 11세기 반개혁의 주류인 사마광司馬光처럼 대권을 잡자 바로 원상 복구를 명했다. 과거시험에 팔고문이 재등장하고, 폐지한 낡은 부서들이 복구되었다. 사법에서는 고문을 비롯한 폭력 수단이 회복되었고, 감옥은 영국 공사 파크스가 학대받은 암흑시대로 되돌아갔다. 수구당은 환호성을 올리며 나랍난아야말로 만주족의 구세주며 유사 이래 최고로 영명한 여자 성인이라고 한껏 치켜세웠다.
역사는 끊임없이 하나의 현상을 보여준다. 국가와 민족을 불같이 사랑하고 그 앞날을 걱정하는 사람은 한없는 고통을 당하는 반면, 온갖 더러움을 다 뒤집어쓴 기득권층은 오히려 더할 나위 없는 쾌락을 누린다는 것을!
황제는 이론상 절대적 최고 권력자지만 군대의 충성을 얻어야만 한다. 젊은 황제 재첨은 이 점에 주의하고 하북성 사법원장(직예 안찰사按察使)으로 천진의 신식 군대를 훈련시키는 책임을 맡고 있던 원세개(위안스카이)를 차관(시랑侍郞) 계급으로 승진시키는 한편, 그를 접견하여 사적인 친분을 맺었다. 하지만 원세개는 어디까지나 관료사회에 물든 인물이었다. 관료들은 권력이 큰 쪽에 충성을 표시하면 그만이었다. (중략)
나랍난아(서 태후)는 11세기 반개혁의 주류인 사마광司馬光처럼 대권을 잡자 바로 원상 복구를 명했다. 과거시험에 팔고문이 재등장하고, 폐지한 낡은 부서들이 복구되었다. 사법에서는 고문을 비롯한 폭력 수단이 회복되었고, 감옥은 영국 공사 파크스가 학대받은 암흑시대로 되돌아갔다. 수구당은 환호성을 올리며 나랍난아야말로 만주족의 구세주며 유사 이래 최고로 영명한 여자 성인이라고 한껏 치켜세웠다.
역사는 끊임없이 하나의 현상을 보여준다. 국가와 민족을 불같이 사랑하고 그 앞날을 걱정하는 사람은 한없는 고통을 당하는 반면, 온갖 더러움을 다 뒤집어쓴 기득권층은 오히려 더할 나위 없는 쾌락을 누린다는 것을!
-3권 「제32장 19세기-아편 전쟁, 중국의 몰락을 부채질한 무역 전쟁」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