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철학의 즐거움

철학의 즐거움

(유쾌한 논리, 황홀한 논쟁)

후지사와 고노스케 (지은이), 유진상 (옮긴이)
휘닉스드림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000원 -10% 450원 7,650원 >

책 이미지

철학의 즐거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철학의 즐거움 (유쾌한 논리, 황홀한 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9333535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1-03-14

책 소개

인간은 궁금한 것이 생기면 참지 말고 알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래서 공자는 “배우고 알아야 사람이다.”라고 했다. <철학의 즐거움>은 위대한 철학자들의 유쾌한 논리를 통하여 삶에 대한 궁금증을 시원하게 풀어준다.

목차

머리말 _4

1부 황홀한 논쟁

제1장_철학과 악수하기
1. 철학이란 무엇인가? _21
2. 철학을 왜 공부하는가 _26
3. 어째서 인간은 철학을 하게 되었을까? _32
4. 철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_37
5. 철학은 지금 어떤 문제를 다루고 있는가? _40

제2장_철학자들의 유쾌한 향연
1. 인식론의 문제 _47
2. 가치론의 문제 _70
3. 존재론의 문제 _97

제3장_나와 너, 그리고 우리
1. ‘나’는 누구인가? _121
2. 타인의 존재를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44
3. 행복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47
4. 늙는 것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52
5. 죽음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56

제4장_철학의 또다른 시선
1. 정치의 존재를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63
2. 도덕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68
3. 종교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72

제5장_내 인생의 숙제
1. 연애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79
2. 시간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86
3. 용서를 철학적으로 생각해 본다 _190
4. 철학과 예지(叡智)에 대해 생각해 본다 _193

제6장_서양철학사 이야기
1. 서양철학사 개요 _199
2. 고대 그리스 철학 _207
3. 중세 철학 _215
4. 근세 철학 _220
5. 현대 철학 _229

2부 유쾌한 논리

제1장 그리스의 영웅 시대·고대 그리스 시대
1.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 _256
철학은 어디에서 탄생했는가?┃존재는 무엇으로부터 생겨나는가?
2. 변론가, 소피스트의 등장 _249
소피스트의 출현┃‘인간은 만물의 척도다’
3.‘무지에의 앎’, 소크라테스 _252
소크라테스는 ‘아무것도 모르는 인간’이었다(?)┃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란?
4. 형이상학의 ‘이데아’, 플라톤 _255
인간은 진리를 알 수 있는가?┃근원이란 무엇인가? 이데아론┃이 세계와는 별개로, ‘이데아계’가 있다┃진리는 생각해 낼 수 있는가?┃아름다운 것에 매료되는 ‘에로스’┃이상적인 국가상 ‘철인정치(哲人政治)’의 제안┃생성의 세계에서 제작의 세계로
5. 만물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_262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사물의 본질은 무엇인가?┃모든 것은 완성의 형태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제2장 쾌락주의의 두 얼굴?헬레니즘 시대
6. 회의주의의 등장과 헬레니즘기의 사상 _266
코스모폴리탄이란?┃에피쿠로스주의는 쾌락주의가 아니다┃육체적인 쾌락과, 정신적인 쾌락이 있다┃불행을 멀리하고, ‘숨어 살아라!’┃죽음은 두려워할 필요 없다┃스토아주의의 도래┃세계의 조화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인생을 살아라!┃자신의 마음으로 좌우할 수 있는 것에만 마음을 쏟아라┃무엇도 규정하지 않고,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다┃회의주의의 유명한 ‘패러독스’

제3장 철학과 신학의 퓨전 시대·중세
7. 박애의 가르침, 기독교의 시작 _276
예수는 기독교의 창시자인가?┃그리스도의 기본사상, ‘이웃사랑’이란?┃‘착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바울과 원시 기독교의 성립┃예수를 믿는 것이 신의 사랑을 믿는 것이 된다(?)
8. 기독교의 철학자들,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_280
왜 이 세상에는 악이 존재하는가?┃인간은 무로 돌아가려고 하는 존재다┃아리스토텔레스의 재발견에서, 스콜라 철학이 시작되었다┃이성과 종교, 어느 것이 위인가?
9. 모랄리스트이자 인생의 달인, 몽테뉴 _285
모랄리스트 몽테뉴┃‘인간이란 무엇인가?’┃생을 잘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제4장 이성의 왕관을 쓴 인간?근대
10.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의 데카르트 _290
철학과 수학을 연결한 인물, 데카르트┃‘방법적 회의’란?┃신의 존재의 증명┃‘물체는 곧 연장(延長)이다’┃심신이원론의 문제
11.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의 파스칼 _297
데카르트 비판┃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신이 있는지 없는지 내기해 보다
12. 데카르트 사상의 후계자들,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 _300
세계는 신의 다양한 표현┃인간의 행복은 직관에 있어서 신과 합치(合致) 안에 있다┃모나드란 무엇인가?┃세계는 예정조화(豫定調和)적으로 완성되어 있다
13. 사회계약설의 제창자, 홉스 _305
사회계약설이라는 발상┃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상태┃인간은 이성적이기도 하다
14. 경험론의 창시자, 로크 _308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물체에는 1차 성질과 2차 성질이 있다┃로크의 사회계약설┃화폐와 사유재산의 출현┃3권분립의 정치체제
15. 경험론을 철저히 다져 ‘인과율 비판’에 도달한 흄 _313
‘나’는 ‘지각의 다발’에 지나지 않는다┃지식은 어떻게 완성되는 것인가?┃인간에게는 천부적인 도덕성 따윈 없다(?)
16. 문명이 발전하면 사회가 나아질까? 루소 _316
자연 상태 그대로의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인간이 정착생활했을 때 부터, 불평등이 시작되었다 |‘상호계약’이란 의식이 태어났다┃‘일반의지’의 탄생
17. 독일 관념론의 창시자, 칸트 _321
인간은 자연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칸트는 이성의 구조를 생각했다┃인간에겐 인간의 세계가 있고, 개에겐 개의 세계가 있다┃‘보이는 것’을 초월한 세계를 알 수 있을까?┃윤리의 기초는 ‘도덕률’이다┃칸트의 후계자, 피히테와 셸링
18. 독일 관념론의 완성자, 헤겔 _328
종교는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만드는 힘이 ‘노동’이다┃변증법이란 무엇인가?┃변증법은 역사의 논리이며, 인식의 논리이기도 하다┃헤겔 비판자 키르케고르

제5장 색깔 있는 테러리스트?현대
19.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창시자, 마르크스 _334
헤겔과 마르크스, 역사인식의 차이┃노동에 의해, 비로소 인간은 인간이 된다┃사적유물론(史的唯物論)이란 무엇인가?┃소외의 출현
20. 실존철학의 창시자, 키르케고르 _339
실존이란 무엇인가?┃당신만의 삶의 보람, ‘주체적 진리’를 찾아라!┃당신만의 진리를 구하는 것, 그것이 신앙이다
21. 서양이상학의 비판자, 니체 _342
과학의 진보는 예술의 토양을 빼앗는다┃니힐리즘은 ‘형이상학’에서 태어났다┃니힐리즘이란 무엇인가?┃적극적인 니힐리즘에 의한 심리적 니힐리즘의 극복
22. 무의식의 발견자, 프로이트 _346
무심코 저지른 실수에도 의미가 있다┃‘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히스테리’의 발견┃인간이 하는 일은 모두 성욕에서 비롯된다┃프로이트 이후에도 정신분석은 발전해 나갔다

제6장 새로운 세기의 에너지?20세기의 철학
23. 현상학의 창시자, 후설 _352
수학의 위기, 학문 위기의 시대┃인간의 의식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세계의 존재를 향한 신빙┃생활세계라는 발상
24. 나치스에 관여했던 철학자, 하이데거 _357
미완의 저서 《존재와 시간》은 철학의 근본문제를 다뤘다 ┃인간 본래의 형태는 어떠한 것인가?┃세계내존재(世界內存在)란 무엇인가?┃현존재와 ‘(보통)사람’┃‘(보통)사람’이 불안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현존재이기 위해서는, ‘죽음’을 받아들여야만 한다┃진정한 의미의 양심은, ‘양심의 가책’을 느끼는 것┃지금의 모습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존재와 시간》 제1부 제3편
25. 철학은 언어비판이라고 말한 비트겐슈타인 _365
철학의 사명은 이것이다!┃논리실증주의와의 거리┃언어는 네트워크다┃‘언어를 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26. 분석 철학의 시작과 논리실증주의 운동 _370
빈 학단의 성립┃어떠한 철학 문제든, 언어의 분석 없이 다룰 수 없다┃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이란?┃이론실증주의의 목표는, 형이상학의 제거였다┃‘유의미(有意味)’란 무엇인가?┃논리실증주의의 붕괴
27. 과학의 기초는 ‘반증 가능성’이라고 말한 포퍼 _376
중요한 것은 반증!┃과학의 본질은 추론과 반론에 있다┃반증 가능성과 과학
28. 과학의 진보를 부정했던 인물, 핸슨과 쿤 _380
‘보는 것’은 ‘해석하는 것’이다┃순수한 ‘관찰’따윈 없다┃이론교체의 현상, ‘패러다임 전환’┃낡은 패러다임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교는 불가하다
29. 최후의 지식인, 사르트르 _385
중편소설 《구토》의 테마는 무엇인가?┃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모른 채 존재하고 있다┃의식은 자신을 뛰어넘어 밖으로 향한다┃인간은 신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을 만들어내지 않으면 안 된다┃‘인간은 자유라는 형벌에 처해졌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30. 신체와 지각의 철학자, 메를로 퐁티 _391
신체가 곧 살아있는 주체다┃지각의 독자성┃사르트르와 메를로 퐁티
31. 우리의 행동은 다양한 구조로 규제된다는 구조주의 _395
‘구조주의’의 출현┃‘구조주의’란 무엇인가?┃소쉬르(1857-1913)의 구조언어학이란?┃‘언어’란 무엇인가?┃언어학자 야콥슨(1896-1982)과 ‘음소(音素)’┃레비스트로스의 ‘구조인류학’┃과학의 사고와 야생의 사고┃근친상간의 금지(Incest Taboo)란 무엇인가?┃자크 라캉과 ‘거울단계(鏡像段階)’┃푸코와 ‘인간의 종언’┃롤랑 바르트의 신화론┃알튀세르와 구조주의적 마르크스 독해
32. 철학 그 자체의 상대화, 포스트구조주의 _407
5월 혁명의 여파┃자크 데리다와 ‘해체주의’┃‘음성-로고스 중심주의’비판┃들뢰즈(1925-95)와 ‘노마드의 논리’┃리오타르(1924-98)와 ‘포스트모던’┃보들리야르(1929-)와 ‘시뮬라크르’

저자소개

후지사와 고노스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철학 박사이자 교육학 박사이다. 1947년 일본의 오사카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고등학교까지 졸업하고 와세다 대학교에 들어가 교육학을 전공하면서 세계사에도 관심을 갖고 공부하였다. 대학원에 들어가 서양철학을 접하면서 근대철학의 시조이자 과학자, 수학자로 널리 알려진 데카르트에 매혹되어 철학에 깊이 빠져 서양철학을 일본의 학문에 접목시키는 연구에 몰두하게 된다. 또한 교토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며 학생들의 이해도를 분석하여 그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인들까지 철학을 쉽고 재미있게 읽도록 하였으며, 누구나 철학을 삶의 지식으로 삼을 수 있도록 계속해서 정리하고 연구하는 일을 일생의 보람으로 여기고 있다.
펼치기
유진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대일외국어고등학교, 경희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메로스어학원을 수료하고 일본외국어전문대학에서 한·일 동시통역을 전공했다.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어학연수를 마치고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한 다음 대학원에서는 철학과 심리학에 심취했다. 또한 잡지에 미국 문화를 소개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귀국하여 전문 번역과 출판 기획자로 나서게 되었으며, 지금은 글쓰기에도 열정을 다하고 있다. 편저로 『심리학의 더 즐거움: 인간관계의 최종 병기』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조직의 바이블: 조직을 관리하는 2대 원칙』 『부자 엄마 강의록』 『100년의 교제술』 『내 아들아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 『생각의 논쟁』 『손에 잡히는 심리학』 『철학의 즐거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