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93818918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8-05-15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1부 _ 음악의 알파벳
1장 음악의 소리 | 2장 기보법 | 3장 악절 | 4장 선법 음계
2부 _ 리듬과 템포
5장 박자와 음가 | 6장 사분음표와 이분음표 박자 패턴 | 7장 점음표와 팔분음표, 홑박자와 겹박자 | 8장 빠른 음표와 느린 음표 | 9장 쉼표 | 10장 반복 | 11장 박자표 요약 | 12장 조금은 낯선, 이외의 박자표들
3부 _ 긴장과 이완
13장 표현 및 셈여림과 연관된 여러 기호 | 14장 음정 | 15장 협화음과 불협화음
4부 _ 대위법
16장 대위법의 시초 | 17장 르네상스 시대의 대위법 | 18장 불협화음의 완화 | 19장 도약
5부 _ 화음
20장 삼화음 | 21장 마침 | 22장 자리바꿈
6부 _ 조성 간의 관계
23장 조옮김 | 24장 관계 단조 | 25장 5도권 | 26장 조바꿈
7부 _ 화성붙임
27장 18세기 화성법의 불협화음 | 28장 반음계적 화성
8부 _ 16세기 및 17세기 음악의 형식과 텍스처
29장 음악의 형태 | 30장 16세기의 형식과 텍스처 | 31장 16세기와 17세기의 춤곡 형식
32장 17세기의 여러 변주곡 형식 | 33장 트리오 소나타 | 34장 콘티누오 | 35장 오페라의 시작 | 36장 장식음
9부 _ 18세기 초반의 양식
37장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 38장 바로크 협주곡과 소나타 | 39장 모음곡 | 40장 칸타타 | 41장 푸가
10부 _ 18세기 후반의 양식
42장 여흥용 음악 | 43장 소나타 형식 | 44장 사중주, 교향곡, 협주곡 | 45장 고전시대 빈의 교회음악과 오페라
11부 _ 19세기 음악
46장 고전시대에서 낭만시대로: 양식상의 변화 | 47장 묘사적인 음악 | 48장 낭만시대의 오페라, 음악극, 발레
12부 _ 오늘날의 오케스트라
49장 목관군 | 50장 금관군 | 51장 타악군, 첼레스타, 하프 | 52장 현악군 | 53장 악보 읽기에 유용한 용어 및 약어
13부 _ 20세기: 전통과의 결별
54장 조성에서 멀어지다 | 55장 12음 음렬주의 음악 | 56장 전자장치
코다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알고 지내는 젊은 친구가 올해로 몇 년째 기타를 배우고 있다. 소질이 많은 친구다. 악기 소리를 느끼는 감각이 탁월하고 기교를 부리는 재능도 남다르며, 열심히 정진하는 인내심까지 갖췄다. 그런데 이 친구가 못하는 게 있다. 악보 읽는 법을 모르고 음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어둡다. 그런 것들을 배우면 어떻겠냐는 제안에는 언제나 단호하게 거부 의사를 밝힌다. “너무 지루하고 까다로운 데다 배워봐야 별 쓸모가 없을 것”이라는 게 그의 강변이다. 친구는 악보 읽는 법을 몰라도 크게 지장이 없는 춤곡을 연주하느라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지만, 그것과는 별도로 본격적인 기타 음악, 특히 다울랜드의 류트 음악에 대한 관심 또한 각별하다. 이 책이 출간되면 우선 그 친구에게 한 권 보내려고 한다. 부디 이 책을 통해 악보 읽는 법과 음악 문법을 배우는 일이 지루하거나 까다롭지 않다는 걸 깨달았으면, 또한 악보 읽는 법이 사실은 쓸모가 무척 많다는 점을 아울러 깨달았으면 한다. _ 벤저민 브리튼의 서문 중
음악 언어란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교과서에 담긴 규칙의 나열에 국한되어서는 죽은 신세를 면치 못합니다. 제 아무리 프랑스어나 독일어 문법에 관한 지식이 많아도 대화에 소용되지 않는다면 무슨 쓸모이겠습니까. 본문에 설명된 음악 문법 규칙 역시 교과서의 차원을 넘어 독자 한 분 한 분이 훨씬 폭넓게 적용하실 것을 기대하고 썼습니다. 아직 ‘왜?’라는 질문을 품을 기회조차 갖지 못한, 시험을 목전에 두고 있는 학생들에게도 이 책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제가 염두에 둔 독자층은 학생 말고도 다양합니다. 이 책은 악보를 읽는 솜씨가 아직 시원시원하지 못한 아마추어 합창단원이나 악단원, 그리고 귀에 들리는 소리를 깊이 탐험하고 싶어 하는 일반 감상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이어질 본문이 목표하는 바는 더욱 살아 있는 노래와 연주, 그리고 듣기 경험에 이바지하는 것입니다. _ 저자 서문 중
소리란 우리가 듣는 모든 것입니다. 시계가 똑딱이는 소리, 문이 쾅 하고 닫히는 소리, 개가 짖는 소리, 언덕배기를 올라가는 자동차가 변속하는 소리, 나무를 흔드는 바람 소리, 옆방에서 들려오는 목소리, 길 건넛집에서 들려오는 노래가 모두 소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