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3985597
· 쪽수 : 895쪽
· 출판일 : 2011-08-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해방 60년의 한국정치 1945~2005> 머리말 8
<현대 한국정치> 개정증보 2판 서문 13
<현대 한국정치> 초판 서문 15
1부| 총론
1장| 한국정치,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 방법론적 쟁점에 대한 단상 21
2장| 국가-시민사회, 한국 정치의 새 대안인가 45
3장| 한국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 60년 79
4장| ‘한국체제’ 논쟁을 다시 생각한다 ― 87년체제, 97년체제, 08년체제론을 중심으로 105
5장| 분단과 남남갈등 60년 128
2부| 해방 8년사
1장| 해방 3년사의 쟁점들 ― 브루스 커밍스의 연구를 중심으로 169
2장|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지형 ― 국가, 지배연합, 이데올로기 207
3부| 잊힌 50년대
1장| 1950년대의 이데올로기, 극우 반공 일색이었나 235
2장| 1956년과 1963년 대선 ― 조봉암과 박정희의 득표는 잔존 좌익의 지지였나 272
4부| 군부 통치의 상흔
1장| 5·16쿠데타의 재조명 303
2장| 박정희 정권의 재평가 ― 개발독재 바람직했나 323
3장| 한국 국가와 자본주의적 발전 ― 3공~5공 시기를 중심으로 346
4장| 한국 국가성격 논쟁 381
5장| 1979년 부마항쟁의 재조명 ― 정치적 배경을 중심으로 420
6장| 80년 5·18항쟁 ― 민중항쟁인가 시민항쟁인가 458
7장| 한국의 산업화와 노동·복지체제 ― 1950~1987년 시기를 중심으로 480
5부| 민주화와 세계화
1장| 한국 민주화 ― 이론적 쟁점 503
2장| 김영삼 정권의 국가성격 ― 중소자본의 국가, 중산층의 국가? 528
3장| 문민정부와 정치 개혁 ― 성격과 한계 569
4장| 위기의 한국, 위기의 사회과학 ― IMF 위기의 두 기원 589
5장| 한국의 신자유주의와 민주주의 618
6장| 김대중 정부와 IMF 개혁 639
7장| 김대중 정부의 복지개혁의 성격 ― 신자유주의를 향한 전진? 660
8장|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 정치 684
9장| 한국의 지역주의, 그 진단과 처방 713
10장| 2002년 대선의 역사적 의미 740
11장| 두 개의 개혁, 두 개의 전선 ― 자유주의 정권들의 비극과 박정희 향수의 근원 765
12장| 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 사이에서 ― 한국 ‘자유주의 정권’ 10년의 정치 783
6부| 21세기, 새로운 정치를 향해
1장| 21세기 새로운 정치, 무엇을 할 것인가 829
2장| 분단을 넘어서? ― 분단체제론을 중심으로 840
3장| 21세기 한국 진보정치의 재구성 ― 연합정치를 중심으로 867
저자소개
책속에서
모든 사회적 관계는 권력 관계이고 권력 문제를 국가 권력이나 계급 권력이라는 ‘거대 권력’의 문제로 환원될 수 없다. 이 점에서 국가환원론적이고 거시권력환원론적이었던 한국정치론은 자기반성이 필요하다. 권력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관계, 계급 관계이며 ‘국가는 고유한 권력을 갖지 않는다’고 본 마르크스주의 국가론도 실제 이론적 실천에 있어서는 국가환원론을 벗어나지 못했다. 주체의 다원주의와 관련해서도 사회적 관계를 생산관계로 환원시키는 계급환원론이 지배적이었다. 이런 자기반성은 ‘새로운 정치’의 ‘새로운 한국정치론’, 좀더 정확히 표현해 새로운 주제와 새로운 영역으로의 ‘한국정치론의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 재구조화의 방향을 제시한다. ― 42~43쪽
사회체제라는 면에서 48년 건국 이래 현재에 이르는 우리 사회의 역사적 변화를 체계화하는 한편, 우리가 더는 87년체제가 아니라 97년체제 속에 살고 있으며 08년체제를 이야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점을 그동안 진행된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보여주었다. ― 125쪽
박 정권의 개발독재가 안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은 바로 이런 규범적 차원에 있다. 즉 이 개발독재는 성장과 생산력의 발전을 위해서는 모든 것을 희생할 수 있고 희생해야 한다는 ‘생산력만능주의’ 내지 ‘성장 제일주의’,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 과정, 절차는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성과 제일주의’ 등에 기초해 있고, 이것을 이데올로기적으로 전파시켜 정당화시킨 폐해를 저질렀다. 민주적 토론을 통해 생산력 발전을 위해서는 모든 것을 희생해도 좋다는, 민주적인 국민적 합의에 기초한 것이 아니고, 자기 스스로 자신들에게 ‘역사적 사명’을 물리력으로 부여한 소수 정치군인들의 자의적 판단에 의해서 그러했다는 것이 그 폐해를 더욱 증폭시킨다. ― 3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