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소나기마을 이야기)

김원일, 오정희, 구효서 (지은이),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엮은이)
작가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든 사랑은 첫사랑이다 (소나기마을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94815800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8-07-13

책 소개

황순원 작가는 한국 문단 40년을 대가로 지냈다. 황순원 작가는 자기 자신에게 매우 엄격했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늘 부드러운 분이었다. 그와 같은 문학의 세계, 또 그와 같은 수발한 품성을 잊지 못하고 있는 분들이 선생님을 회고하고 추억하는 글 한 편씩을 썼다.

목차

1부 그리운 이름 황순원 1
013_ 황순원문학관의 과제 _ 김용성
016 _ 그곳에 깃든 삶과 글의 모범 _ 김종회
018 _ 황순원 선생님과 ‘소나기마을’을 생각한다 _ 최동호
021 _ 소설과 영화와의 거리, 「독 짓는 늙은이」 후일담 _ 신봉승
023 _ 소나기마을의 시 _ 김광규
025 _ 황순원 선생님, 그 정갈한 마지막 _ 김병익
027 _ 황순원 문학의 맑은 바람 감도는 ‘소나기마을’ _ 김후란
029 _ 연극을 사랑했던 황순원 선생님 _ 김정옥
033 _ 고치고 또 고치면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_ 정종명
035 _ 오로지 외길을 _ 유종호
037 _ 나의 삶과 문학 _ 오정희
040 _ 옛 한글 문체의 전범 _ 박이도
043 _ 그 후의 시대에서 아룀 _ 김용만

2부 그리운 이름 황순원 2
046 _ 글과 인격이 고매했던 선생님 _ 김원일
048 _ 소나기마을과 나 _ 강 민
050 _ 학처럼 고고했던 선생님 _ 이성교
053 _ 『나무들 비탈에 서다』의 시간 _ 이근배
056 _ 황순원 탄생 100주년을 보내며 _ 이명재
059 _ 작가의 탄생 _ 김인환
062 _ 소나기마을에서 뵙고 싶은 분 _ 안 영
065 _ 「소나기」의 위상 _ 조남현
068 _ 위로범불? _ 김언종
071 _ ‘한국문학’에서 ‘문학’으로 :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 _ 김성곤

3부 황순원 추억갈피
074 _ 선생님, 죄송합니다 _ 황명걸
078 _ 황순원 선생님과 양정길 여사님의 추억 _ 안영수
086 _ 그리운 그분들의 모습 _ 박순녀
089 _ 황순원 선생님 고희, 그날 밤의 나의 불면不眠은 _ 호영송
092 _ ‘독 짓는 늙은이’의 마음을 읽다 _ 장현숙
095 _ 내가 만난 행운과 축복 ? 황순원 선생님을 기억하며 _ 김형경
098_ 나는 윤흥길씨를 지지하지 않았어요 _ 윤흥길
101 _ “나는 추천을 잘 안 해!” _ 백우암
105 _ 두꺼비나 한 잔! _ 한수산
109 _ “김 군! 그거 좋지, 열심히 해 보라우” _ 김용희
113 _ 사제의 인연을 넘은 영광 _ 황재국
117 _ “글을 쓸 때 나는 자유롭다고 느껴”, 숭실중 5년 단짝 순원은 결연히 말했다 _ 김응진
121 _ 소나기마을 건립에 애써주신 분들께 감사합니다 _ 황동규

4부 소나기마을 메아리
124 _ 새해 첫날의 기억 _ 신아리
126 _ 기립박수를 받은 황순원 선생 _ 유현종
129 _ 소나기가 내려야 무지개가 뜬다 _ 정호승
133 _ 센텐드레에서 돌아오기 _ 이혜경
137 _ ‘신역(New Translation)’의 가능성 - 황순원 문학세미나에 참석하여 _ 하라다 시즈카
140 _ 다름을 포용하는 고결한 휴머니즘 _ 강은모
145 _ 선생님의 꿈, 제가 사겠습니다 _ 차동엽

5부 내가 읽은 황순원 1
150 _ 생을 끝없이 절차탁마하신 선생님 _ 김종
154 _ 『인간접목人間接木』, 내 인생의 문학 접붙이기 _ 전상국
158 _ 누마루의 기억 _ 신덕룡
162 _ 「탈」의 기억 _ 양억관
166 _ 평양 가는 기차와 학의 비상 _ 문흥술
170 _ 독특한 매력의 여성 캐릭터 ‘비바리’ _ 유금호
173 _ 「별」, 생명의 근원에 대한 그리움 _ 이동하
176 _ 전쟁의 공간과 삶 혹은 죽음의 의미 -장편소설 『나무들 비탈에 서다』의 경우 _ 권영민
180 _ 자연주의적 상황과 표백된 인간의식 _ 이태동
184 _ 타자를 배려하고 공존 공생하는 세상을 꿈꾼 작가 _ 송현호
188 _ 우리 마을 이야기 같았던 선생님의 소설 _ 이순원

6부 내가 읽은 황순원 2
192 _ 움직이지 않는 『움직이는 城』 _ 강태근
200 _ 현실을 일깨우는 이야기의 힘 : 황순원의 『별과 같이 살다』 _ 백지연(문학평론가)
203_ 독서의 건축술-황순원의 『움직이는 城』 _ 우한용
207 _ 서정적이며 시적인 소설 _ 박양호
211 _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겪으며 다시 읽는 『인간접목』 _ 노승욱
214 _ 나날이 느끼는 아름다움 _ 채희문
217 _ 황순원 선생의 작품을 읽어 온 나의 짧은 역사 _ 정과리
220 _ 어린이의 시선과 지적 실험의 만남 - 황순원의 시 「갈대」 _ 김기택
223 _ 초현실적 세계관과 신화적 모티프 - 「닭제」를 읽고 _ 구병모
226 _ 안심해도 되는 사람 -황순원의 「송아지」를 읽고 _ 조수경
229 _ 작가적 원형이자 궁극으로서의 언어- 황순원의 시 _ 유성호

7부 나의 첫사랑 이야기
234 _ 첫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해준 「소나기」 _ 김주성
237 _ 풍산벌에서 만난 소나기 _ 홍정선
240 _ 너를 들국이라 할까 _ 구효서
243 _ 모든 사랑은 첫사랑 _ 윤대녕
249 _ from. 첫사랑…… _ 정용준
253 _ 첫사랑 소고 - 흔적을 잃고 나는 쓴다 _ 김이설
256 _ 어떤 기원 _ 김유진
260 _ 첫사랑 그 소녀는 어디에서 나처럼 늙어갈까 _ 박상우
264 _ 첫사랑에게 건투를 _ 이정근

저자소개

구효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마디>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 《늪을 건너는 법》 《동주》 《랩소디 인 베를린》 《나가사키 파파》 《비밀의 문》 《라디오 라디오》 《옆에 앉아서 좀 울어도 돼요?》 《빵 좋아하세요?》 《통영이에요 지금》, 소설집 《웅어의 맛》 《아닌 계절》 《별명의 달인》 《저녁이 아름다운 집》 《시계가 걸렸던 자리》 《아침 깜짝 물결무늬 풍뎅이》, 산문집 《인생은 깊어간다》 《인생은 지나간다》 《소년은 지나간다》가 있다. 이상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대산문학상,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원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김해시 진영읍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성장했으며, 1966년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장편소설 『늘 푸른 소나무』 『마당 깊은 집』 『바람과 강』 등과 중단편집 『어둠의 혼』 『도요새에 관한 명상』 『비단길』 등이 있으며, 미술책으로 피카소의 생애와 작품을 해설한 『김원일의 피카소』가 있다.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했고, 국립 순천대학교 석좌교수로 있다.
펼치기
오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서울 사직동에서 출생하였고, 서라벌 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68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완구점 여인」이 당선되어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1978년 춘천으로 이주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살고 있다. 창작집으로 『불의 강』, 『유년의 뜰』, 『바람의 넋』, 『불꽃놀이』, 『새』 등이 있으며, 이밖에 수필집 『내 마음의 무늬』와 동화집 『송이야, 문을 열면 아침이란다』, 민담집 『오정희의 기담』, 짧은 소설집 『돼지꿈』, 『가을 여자』가 있으며, 『오정희와 함께 읽는 성서』 등의 저서가 있다. 이상문학상, 동인문학상, 오영수문학상, 동서문학상, 리베라투르문학상, 불교문학상, 만해문예대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세기 격동기의 한국 문학에 순수와 절제의 미학을 이룬 작가 황순원. 그의 고결한 삶과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경기도 양평군과 경희대학교가 함께 건립한 황순원 문학마을이자 테마파크이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단편소설 「소나기」의 배경을 현실 공간으로 재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