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구한국외교문서 청안 11

역주 구한국외교문서 청안 11

(39책~41책)

이연세, 남동걸, 안정헌 (옮긴이)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구한국외교문서 청안 1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구한국외교문서 청안 11 (39책~41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97315550
· 쪽수 : 550쪽
· 출판일 : 2025-02-27

목차

청안(淸案) 39책

2358. 위에 대한 회답 · 20
2359. 한국 병사 조항기(趙恒起) 사건의 공정한 처리 요청 · 22
2360. 개성 관삼소(官蔘所) 병사와 포역(捕役)의 처리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회답 요청 · 25
2361. 동순태호(同順泰號)가 사사로이 발행한 화표(貨票)의 파기
요청 건 · 27
2362. 의주(義州) 경내의 물에 떠내려간 전신주 보수에 관한 건 · 28
2363. 위 안건에 대해 청(淸) 독판대신의 회답 편지를 받은
후에 상정하자는 요청 · 30
2364. 동순태호(同順泰號)가 사사로이 발행한 화표(貨票) 재발행
금지 건 · 31
2365. 음력 12월 말일 이틀 동안 궁궐에서 불꽃놀이 행사 건 · 32
2366. 구랍(舊臘) · 구정(舊正) 및 상원절(上元節) 등 각 명절에
중국 상인들이 행하는 폭죽놀이에 대한 금령(禁令) 해지
요청 · 33
2367. 한국인의 중국인 농우(農牛) 절도 단속 요청 · 34
2368. 국경을 넘어가서 한국 병사들이 길림 지방의 중국인에게 전량(錢糧)을 강요하는 행위 엄금 요청 · 36
2369. 구정(舊正) 전후의 폭죽놀이 금지 완화 요청에 대한 회답 · 39
2370. 이도재(李道宰) 외부대신이 직무 인계 · 40
2371. 위에 대한 회답 · 41
2372. 한국 병사가 중국인 소옥신(蕭玉臣)의 뗏목을 압류한 사건을 신속히 처리하라는 요청 · 42
2373. 중국 상인 고정운(高廷橒) 등의 호조(護照) 발급 요청 건 · 50
2374. 의주 지방 전신주 수리 허가 및 전(前) 차관(借款)의 신속한 상환 요청 · 51
2375. 한국인이 소를 훔치는 일을 단속하라는 요청에 대한 회답 · 53
2376. 황태자 천추절(千秋節) 야회(夜會) 초대 · 56
2377. 중국 상인 고정운(高廷橒) 등의 호조 발급 건 · 57
2378. 원산 부영사 의선(懿善) 일행이 부임하는 연도(沿道)에서의 호송 요청 · 58
2379. 회의 날짜 예정 건 · 59
2380. 위에 대한 회답 · 60
2381. 의(懿) 부영사 일행의 호송 명령 건 · 60
2382. 의주 전선의 보수 완료 및 해당 차관은 후일에 다시 상의하자는 건 · 62
2383. 위 차관 가운데 갚지 않은 금액의 신속한 상환 요구 · 64
2384. 평양의 중국 상인 동복창(同福昌) 등이 빼앗긴 돈과 물건 회수 요구 · 67
2385. 개성 관삼소(官蔘所)에서 중국 상인을 학대한 사실이 전혀 없다는 건 · 70
2386. 한국 관원 서상무(徐相懋)가 경계를 넘어가 조사한 일에 대한 항의 · 72
2387. 위와 관련하여 서상무를 즉시 소환하라는 요청 · 73
2388. 평양의 중국 상인 동복창(同福昌) 등이 재물을 빼앗긴 사건에 대한 회답 · 76
2389. 길주(吉州) 감리서를 성진(城津) 감리서로 개칭(改稱) · 78
2390. 중국 전보상국 차관의 상환액 명세서 제시 및 부채 상환의 기한 연장 요청 · 79
2391. 위와 관련하여 북양(北洋) 원(袁) 대신의 회답을 기다려
다시 논의하는 건 · 84
2392. 한국 황제 등극 40년을 경축하는 축하 사신으로
허태신이 선발되었다는 전보 · 85
2393. 궁성 부근을 미터(m)로 경계를 정하는 일에 관한 건 · 86
2394. 경축 예식 치하 국서(國書)를 기록한 부본(副本)을 보냄 · 87
2395. 궁중에 두진(痘疹) 유행으로 경축 예식 연기 · 88
2396. 연회 초대 · 89
2397. 백마산성 수목의 침벌(侵伐)을 도모하는 중국 도적 소탕
요청 · 90
2398. 초대에 대한 회답 · 92
2399. 백마산성의 수목을 벌목한 사건에 대한 회답 · 92
2400. 한성 총영사 진본인(陳本仁)의 임지 도착 및 폐하 알현 날짜 지시 요청 · 94
2401. 서강방(西江坊) 중국인이 약탈당함과 도적의 신속한 체포
요청 · 95
2402. 진(陳) 영사와 함께 폐하 알현 요청에 대한 회답 · 97
2403. 서강(西江) 도적 체포에 대한 회답 · 98
2404. 백마산성에서 벌목한 중국 도적 사건에 대한 후속 회답 · 100
2405. 면담 날짜를 정하자는 안건 · 102
2406. 위에 대한 회답 · 103
2407. 한국과 중국의 전선을 다른 나라와 연결한다는 것에 대한
질의 · 103
2408. 이중하(李重夏) 외부대신서리가 직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105
2409. 한 · 중 전선의 타국 연결설에 대한 질의의 회답 · 106
2410. 이(李) 서리의 직무 인계에 대한 회답 · 107
2411. 이(李) 대신 복직 건 · 108
2412. 위에 대한 회답 · 109
2413. 한국과 중국 전선 연결의 신속한 처리 안건 · 110
2414. 중국 황제의 만수경절(萬壽慶節) 축원 연회 초대 · 111
2415. 도문강(圖們江)의 교량 철거 및 한국인들이 경계를 넘어와 말썽을 일으키지 않게 하라는 안건 · 112
2416. 위에 대한 회답 · 115
2417. 중국 황제 만수절 축원 연회 초대에 대한 회답 · 116
2418. 동상(同上) · 116
2419. 동상(同上) · 117
2420. 인천 영사 대리에 오이창(吳爾昌)을 잠시 위임한다는 안건 · 118
2421. 본서의 프랑스어 번역관으로 소가효(邵家酵)가 임무를 인계하여 처리한다는 안건 · 119
2422. 이중하(李重夏)가 외부대신서리로 명(命)을 받았다는 안건 · 120
2423. 오(吳) 인천영사대리 및 소가효(邵家酵) 번역관이 업무를 인계하여 처리한다는 사실을 모두 알았다는 안건 · 121
2424. 평양 시장 폐쇄와 의주에 시장을 연다는 안건 · 122
2425. 간도(墾島)의 한국인 보호를 위해 이범윤(李範允)을 특별히 파견하여 전담 처리하게 한다는 안건 · 123
2426. 위와 관련하여 양국의 육로장정(陸路章程)을 의논하여 결정한 후 관원을 보내 변경을 조사하라는 회답 · 126
2427. 평양 시장의 존치(存置) 요망 · 128
2428. 한국 황제 만수절 야간 연회 초대 · 130
2429. 위에 대한 회답 · 130
2430. 동상(同上) · 131
2431. 성기운(成岐運) 외부대신서리가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132
2432. 위에 대한 회답 · 133
2433. 이중하 대신서리가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134
2434. 위에 대한 회답 · 135
2435. 이하영(李夏榮) 대신서리가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136
2436. 삼수군(三水郡) 대안(對岸)의 중국 목두(木頭) 무리를 엄히 징계하라는 안건 · 137
2437. 신임 인사차 각국 사절을 초대한다는 안건 · 139
2438. 이하영 대신이 서리로 임명된 것에 대한 회답 · 139
2439. 삼수군(三水郡) 대안(對岸)에서 사건이 벌어진 지명(地名)을 조사하여 회답해 달라는 요청 · 140
2440. 이(李) 대신의 신임 인사 초대에 대한 회답 · 142
2441. 의주 진위대 병사 3명이 포박당해 물에 빠진 사건 및 서경궁(西京宮) 공사 목재 약탈에 관한 안건 · 143
2442. 위 안건에 대해 봉천(奉天) 장군의 회답이 도착한 후
다시 의논하겠다는 회답 · 146
2443. 서상무(徐相懋)를 납치한 범인 왕원립(王元立)을 법에
따라 효시(梟示)하였다는 안건 · 147
2444. 중국 상인 진조상(陳兆祥) 등의 호조 발급 요청 · 152
2445. 위에 대해 작성하여 보냄 · 154
2446. 도문강에 설치한 교량 철거 요구에 대한 후속 회답 · 155
2447.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 야간 연회 초대 · 157
2448. 위에 대한 회답 · 157
2449. 동상(同上) · 158
2450. 도문강의 교량 즉시 철거 재요청 · 159
2451. 중국 목재상 무리와 도적들이 국경을 넘어와 말썽을 일으킨
것에 대한 항의 · 161
2452. 면담 날짜를 정하자는 안건 · 163
2453. 위에 대한 회답 · 164
2454. 동상(同上) · 164
2455. 중요한 일로 하루 이틀 사이에 면담을 희망한다는 안건 · 165
2456. 중국 목재상 무리와 비적의 불법 행위에 대한 회답 · 166
2457. 한국 병사와 백성들이 강을 건너가 말썽을 일으킨 일과 몽둥이를 들고 땅을 요구한 것에 대한 항의 · 168
2458. 면담 요청에 대한 회답 · 170
2459. 한국 병사와 백성들이 강을 건너가 말썽을 일으킨 일과 토지
요구에 대해 항의한 것에 대한 회답 · 171
2460. 삼수군 대안(對岸)에서 중국 비적들이 침략한 지방의 지명을
조사하여 통지함 · 172
2461. 인천 영사 허인지(許仁之)의 업무 복귀 · 174
2462. 한국 병사와 백성들이 강을 건너가 소란을 일으키면
비적과 똑같이 처리하겠다는 예고 및 개간 백성들의
관리관(管理官) 배치에 대한 항의 · 175
2463. 인천 영사 허인지(許仁之)가 업무에 복귀하였다는 것에 대한
회답 · 180
2464. 한국 병사가 경계를 넘어가 개간한 한국인을 규합하여 소란을 일으키고 중국 병사와 백성을 공격한 것에 대한 항의 · 181
2465. 몽둥이를 들고 땅을 강요하였다고 말한 한국 병사와 관원의 성명에 관한 안건 · 185
2466. 이지용(李址鎔)이 외부대신서리로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186



청안(淸案) 40책

2467. 위에 대한 회답 · 190
2468. 명헌태후(明憲太后) 승하(昇遐) · 191
2469. 위에 대한 회답 · 191
2470. 중국 상인 조문경(曹文卿) 등의 호조 발급 요청 · 193
2471. 위에 대해 호조를 작성하여 보냄 · 194
2472. 명헌태후(明憲太后) 부음(訃音)에 대한 중국 황제의 조의(弔意)를 대신 상주(上奏) · 195
2473. 위 조의에 대한 한국 황제의 답사(答辭)를 대신 전달하라는
안건 · 196
2474. 외부대신에 박제순, 중국 주재 공사에 민영철(閔泳喆)을 임명한다는 안건 · 198
2475. 위에 대한 회답 · 199
2476. 온성(穩城) 대안(對岸)에서 중국 병사들의 한국인 농우(農牛) 약탈 및 한국 병관(兵官)을 유인해 납치하여 살해한 것에 대한
항의 · 200
2477. 일본과 러시아의 불화에 대해 국외자로서 중립 성명 안건 · 201
2478. 위의 사항을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202
2479. 의주(義州)에 시장을 개설한다는 안건 · 204
2480. 위 안건을 본국 정부에 대신 전달하겠다는 회답 · 205
2481. 온성(穩城) 대안(對岸)에서 중국 병사들이 한국 병사를 납치 · 살해하였다는 항의에 대한 반론 및 이범윤(李範允)의 소환
재요청 · 206
2482. 서상무(徐相懋)가 경계를 넘어가 행패를 부린 것에 대한 항의 및 즉시 소환 요청 · 210
2483. 이범윤과 서상무를 소환하라는 요청에 대한 회답 · 213
2484. 청안군(淸安君) 이재순(李載純)이 사망하였다는 안건 · 214
2485. 위에 대한 회답 · 215
2486. 조병식(趙秉式)이 외부대신서리로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216
2487. 위에 대한 회답 · 217
2488. 이범윤의 소환 강조 및 한국과 중국의 국경 분쟁에 각자 관원을 파견해 공동 조사하자는 안건 · 218
2489. 평북 용암포(龍岩浦)에 항구를 개설한다는 안건 · 241
2490. 황태자의 천추경절(千秋慶節)에 예포(禮砲)를 발사한다는
안건 · 242
2491. 한어(漢語) 교사 호문위(胡文煒)의 연장 계약서에 수결(手決)하여 나누어 보관한다는 안건 · 243
2492. 용암포(龍岩浦)에 항구를 개설하는 안건을 본 정부에 전달하였다는 회답 · 245
2493. 천추경절(千秋慶節)에 예포(禮砲)를 발사한다는 사실을 알았다는 회답 · 246
2494. 한 · 중 양국의 통어(通漁) 지방 경계 상정에 관한 안건 · 247
2495. 호(胡) 한어(漢語) 교사의 연장 계약서에 수결하여 보냈다는
안건 · 248
2496. 김가진(金嘉鎭)이 외부대신서리로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250
2497. 신임 인사차 각국 사절 초청 안건 · 251
2498. 김(金) 서리가 업무를 인계하였다는 것에 대한 회답 · 251
2499. 미국 여교사 비로발로(比露勃路)가 인솔하는 중국인의 호조
발급 · 252
2500. 위에 대해 작성하여 보낸다는 안건 · 254
2501. 경운궁(慶運宮) 내의 화재에 대한 중국 황제의 위문을 대신
아뢴다는 안건 · 254
2502. 이하영이 외부대신으로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256
2503. 위에 대한 회답 · 256
2504. 신임 인사차 각국 사절 초청 안건 · 257
2505. 중국 황제의 경운궁 화재 위문에 대한 사의를 대신 전달한다는 안건 · 258
2506. 이범윤 소환 및 강을 건너간 한국 병사의 철수 요청 · 260
2507. 협의 날짜를 정하자는 안건 · 262
2508. 위에 대한 회답 · 262
2509. 일본과 러시아 전쟁에 중립 엄수 재천명 · 263
2510. 위 내용을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264
2511. 한국과 러시아의 조약 폐기에 관한 안건 · 265
2512. 이범윤의 동태에 관한 심덕순(沈德順) 등의 진술서를 초록하여 보냄 · 267
2513. 용천(龍川) 황초평(黃草坪)의 경계 분규와 관련하여 관원을 보내 함께 조사하자는 안건 · 272
2514. 북간도(北間島)에서의 방곡령(防穀令) 철회 요청 · 274
2515. 용천(龍川) 황초평(黃草坪)의 경계 지역을 함께 조사하자는 안건은 이범윤을 소환한 후에 처리하자는 회답 · 276
2516. 북간도(北間島)에서의 방곡령(防穀令) 철회 요청에 대한
회답 · 278
2517. 중국 공사관의 연회 초대에 대한 회답 · 280
2518. 천안군(天安郡)에 머물던 중국 상인 진경록(陳慶錄) 등이 중국인을 살해한 사건에 대한 한국인의 증언을 기록하여 보냄 · 281
2519. 부산 영사 오기조(吳其藻) 등의 인사이동에 관한 안건 · 283
2520. 위의 내용을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284
2521. 이범윤의 소환 및 군대 철수 요구에 대한 신속한 답변
요청 · 285
2522. 중국 천진 지방의 한국인 교포 보호는 해당 지역 일본 영사 위임한다는 안건 · 287
2523. 위에 대한 회답 · 288
2524. 시국이 불안정하니 관원을 파견해 경계 지역의 조사를 연기하자는 안건 · 289
2525. 윤치호(尹致昊)가 외부대신서리로 임명되었다는 안건 · 291
2526. 위의 내용을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292
2527. 개국기원절(開國紀元節) 및 만수절(萬壽節) 등 축례일(祝禮日)에 예포를 거행한다는 안건 · 293
2528. 중국 상인 고죽파(高竹坡) 등의 호조 발급 요청 · 294
2529. 이하영의 복직 안건 · 295
2530. 고죽파(高竹坡) 등의 호조를 작성하여 보냄 · 296
2531. 이(李) 대신 복직 내용을 읽어보았다는 안건 · 297
2532. 이범윤의 소환 및 해당 관원이 재산을 약탈하고 인명을 해친 일 등에 대한 손해액 배상 요구 · 298
2533. 이범윤이 재산을 약탈하고 인명을 해친 일 등에 대한 장부를 초록하여 보냄 · 301
2534. 한국인이 중국 여행 집조(執照)를 초록하여 보냄 · 302
2535. 위와 관련한 초본을 받지 못했으며 한청조약(韓淸條約) 제8관과 제12관의 명문(明文)은 혼동하여 적용할 수 없다는 안건 · 303
2536.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 등 각 축례일(祝禮日)에 예포(禮砲)
거행 안건 · 306
2537. 황태자비 훙서(薨逝) 안건 · 307
2538. 위에 대한 회답 · 308
2539. 해주(海州) 광석포(廣石浦)에서 중국 뱃사공을 구타하여 죽인
사건을 함께 조사하자는 안건 · 309
2540. 한어(漢語) 교사 호문위(胡文煒) 해고 안건 · 311
2541. 용천(龍川) 황초평(黃草坪)의 경계 지역 공동 조사에 관한
안건 · 312
2542. 해주(海州) 사건의 회심원(會審員) 소가효(邵家酵) 등의
문조(文照) 발급 요청 및 한국 측 파견 관원의 출발 날짜를 알려달라는 안건 · 314
2543. 인천 영사 대리로 주문붕(周文鵬)을 파견한다는 안건 · 315
2544. 해주(海州) 사건의 회심(會審) 위원 출발 날짜 회답 · 316
2545. 한어(漢語) 교사 호문위(胡文煒)의 두달치 월급 지급 요청 · 317
2546. 인천 주(周) 대리영사 파견에 대한 회답 · 319
2547. 한어(漢語) 교사 초빙 의뢰 · 320
2548. 용천(龍川) 황초평(黃草坪) 경계 지역의 공동 조사 제의에 대한 회답 · 321
2549. 시찰사(視察使) 이범윤(李範允)의 소환 및 강을 건너가는 병사와 백성들을 엄히 단속할 것을 촉구 · 324
2550. 해주(海州)에서의 중국 상인 살해 사건에 대한 엄한 처벌 및 파견된 중국 관원 보호 요청 · 325
2551. 위와 관련하여 중국 관원과 백성들의 거처를 돌로 공격한 사건의 배후를 조사하여 엄히 처벌할 것을 요청 · 327
2552. 위에 대해 공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겠다는 회답 · 329
2553. 전(前) 한어(漢語) 교사 호문위(胡文煒)의 한달치 월급과 가옥
임대료 지급 안건 · 330
2554. 중국 출사대신으로 증광전(曾廣銓)을 특별히 선발하였다는
안건 · 331
2555. 위에 대한 회답 · 332
2556. 중국 상인 광승호(廣昇號) 등의 궁내(宮內) 및 남문 밖에서의
관급 공사비 잔금 지급을 독촉하는 안건 · 333



청안(淸案) 41책

2557. 해주(海州)에서 중국 상인을 구타하여 살해한 사건과 관련하여 면담 요청 · 336
2558. 위에 대한 회답 · 336
2559. 신임 증광전(曾廣鈿) 대신의 수화물에 대한 검사 면제 요청 및 한어(漢語) 교사를 추천한다는 안건 · 337
2560. 태자비(太子妃) 훙서(薨逝)에 대한 중국 황제의 위문을 대신 상주하였다는 안건 · 338
2561. 허태신의 사임 국서(國書) 봉정 날짜에 대한 회답 · 339
2562. 증광전(曾廣鈿) 신임 국서(國書) 봉정 날짜에 대한 회답 · 341
2563. 전임(前任) 허(許) 대신과의 사무 인계 · 342
2564. 위의 내용을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343
2565. 각 항구의 중국 영사 인사이동 통고 · 344
2566. 위에 대한 회답 · 345
2567. 중국 상인 왕정삼(王鼎三)의 호조 발급 요청 · 347
2568. 위에 대해 작성하여 보냈다는 안건 · 348
2569. 두(杜) 교사 월급의 재협상 안건 · 349
2570. 두(杜) 교사의 계약서에 서명하고 나누어 보관하자는 안건 · 350
2571. 한국 비적 조사룡(曹士龍) 등의 체포 요청 · 351
2572. 위에 대해 체포하여 처벌하겠다는 회답 · 353
2573. 경의(京義) 전선을 대신 설치하기 위해 차관한 이자 지급 승인 요청 · 354
2574. 연안(延安)에서 홍석준(洪錫俊) 등이 중국 상인을
결박하고 구타한 사건에 대한 전보 훈령 요청 · 355
2575. 두(杜) 교사의 월급 증액 요청에 대한 회답 · 356
2576. 운산(雲山) 금광에서 중국인 노동자를 구타하여 사망케
한 사건을 확실하게 조사하여 엄히 처벌할 것을 요청 · 357
2577. 변방의 백성들이 경계를 넘어가 소란을 피운 사건을 상세히
조사하여 처리하도록 함평(咸平) 두 도(道)에 엄히 명령하였다는 안건 · 359
2578. 운산(雲山) 금광 사건을 명백히 조사하여 엄히 처벌하도록
요청한 것에 대한 회답 · 360
2579. 위에 대해 살해범 중국인 장준의(張俊義)의 심리(審理) 정황과
검안서(檢案書)를 보낸다는 안건 · 361
2580. 윤(尹) 협판(協辦)이 대신서리로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363
2581. 위에 대해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364
2582. 이(李) 대신이 휴가를 마치고 업무에 복귀하였다는 안건 · 365
2583. 위에 대해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365
2584. 면담하기 위해 방문하겠다는 통고 · 366
2585. 위에 대한 회답 · 367
2586. 공무로 면담하기 위해 방문하겠다는 통고 · 368
2587. 위에 대한 회답 · 368
2588. 제주에 표류한 중국인의 호송에 관한 안건 · 369
2589. 위에 대해 부족한 돈을 보냈다는 안건 · 370
2590. 위의 전표를 영수하였다는 회답 · 372
2591. 일본과 러시아의 화의(和議) 조목 가운데 중국이 관련된 사건은 승인하지 않는다는 안건 · 372
2592. 학교(鶴橋)에 사는 강씨(姜氏) 여자 살인 사건의 재검 요구 · 374
2593. 위에 대한 회답 · 375
2594. 중국 전보상국의 차관 및 중국 상점 광승호(廣昇號)의 공사비 미지급분의 신속한 상환 요청 · 377
2595. 중국인 석지량(石之良) 살해 사건 회심(會審)에 관한 안건 · 379
2596. 강씨(姜氏) 여자 살인 사건에 대해 날짜를 정해 회심(會審)할
것을 재요청 · 379
2597. 위에 대해 강씨(姜氏) 여자 사인에 대한 실제 증거 제시 및
장물 절도범 체포 요청 · 380
2598. 중국인 석지량(石之良) 살인 사건에 대한 이두운(李斗雲)의
진술서를 보냄 · 383
2599. 몽금포(夢金浦)에서 중국인 주문파(奏文波)를 구타하여
살해한 박경진(朴京辰)의 치죄 및 죽은 이의 가족에 대한 보살핌 요청 · 384
2600. 위에 대해 주문파(奏文波를 살해한 주범과 종범에 대한
재수사 및 중국 상인 송성길(宋盛吉)의 공안(供案)과 물품 명세서를 보냄 · 386
2601. 경의(京義) 전선 차관을 갚지 않은 돈에 대해 재조사하여 의논하자는 안건 · 388
2602. 강씨(姜氏) 여인 살해 사건에 대해 날짜를 정해 회심(會審)하자는 요청 · 389
2603. 위 조회를 반려한 것은 부당하다는 변론 및 다시 환송하겠다는 안건 · 392
2604. 위의 강씨 여인 사인에 대한 확실한 증거 제시 요구 및 장물 추적은 분별하여 처리할 것을 재강조 · 394
2605. 중국 봉천성 회인현(懷仁縣) 지방에서 경계를 넘어가
소란을 일으킨 한국인의 단속 요청 · 396
2606. 중국 상인 두자단(杜子端) 등의 호조 발급 요청 · 397
2607. 중국 공사관의 참찬 · 각 항구의 영사·수행원 등의 인사 발령
통고 · 398
2608. 중국인 석지량(石之良) 살인 사건에 대한 회심(會審) 요청 · 401
2609. 중국 상인 두자단(杜子端) 등의 호조를 작성하여 보냄 · 402
2610. 중국 회인현(懷仁縣) 지방에서 경계를 넘어가 소란을 일으킨
사건에 대해 평북 관찰사에게 단속하도록 훈령을 보냈다는
회답 · 403
2611. 중국 공사관의 참찬 및 각 항구 영사 등의 인사 발령에 대해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404
2612. 자성(慈城) 경내에 침입한 중국 비적 소탕 요청 · 405
2613. 강씨 여인 살해 사건에 대해 날짜를 정해 회심(會審)할 것을
요청 · 406
2614. 중국 상인 한개미(韓介眉) 등의 호조 발급 요청 · 408
2615. 위에 대해 작성하여 보냈다는 안건 · 410
2616. 민종묵(閔種默)이 외부대신서리로 임무를 인계하였다는
안건 · 410
2617. 위에 대해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411
2618. 박용화(朴鏞和)가 외부대신서리로 임무를 인수하여 처리한다는 안건 · 412
2619. 위에 대해 모두 읽어보았다는 안건 · 413
2620. 중국 상인 마문경(馬文卿) 등의 호조 발급 요청 · 414
2621. 위에 대해 작성하여 보낸다는 안건 · 416
2622. 박제순(朴齊純)이 외부대신으로 업무를 인계한다는 안건 · 4178
2623. 중국인 주문파(奏文波) 살해 사건 범인의 처형에 관한 검안(檢案)을 보냄 · 418
2624. 홍삼을 몰래 제조하여 밀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 · 419
2625. 중국인들이 인삼밭에서 몰래 삼을 캐는 것을 수사하는 일에
중국 경찰 관리의 협력 요청 · 421
2626. 개성에서 인삼 포기를 몰래 운송하던 중국인 압송 및 엄한 처벌 요청 · 422
2627. 강계(江界) · 자성(慈城) 등지에서의 중국 비적 소탕 요청 · 423
2628. 한어(漢語) 교사 두방역(杜方域)의 계약서에 서명하여 나누어
보관하자는 안건 · 425

2629. 새로 정한 지물과세장정(紙物課稅章程) 및 주고받은 관계 공함(公函)을 보낸다는 안건(청안 25책) · 426
2630. 증명서가 없는 한국인의 중국 내지(內地)로의 여행 단속
(청안 25책) · 465
2631. 지물과세장정 및 집조 발행 인준(청안 25책) · 478

청안(淸案) 인물 색인 / 480

저자소개

안정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4년 인천 출생. 인하대 박사 수료. 『서해5도민의 삶과 문학』(공저), 『역주 조회정식』(공역), 『역주강도고금시선(상·하)』(공역) 등의 역·저서와 「대중일보 소재 문학연구」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2011년 중국 길림대학교 외국인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인천개항장연구소 사무처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남동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6년 경북 출생, 인하대 박사(문학박사) 『서해5도민의 삶과 문화』(공저), 『지도로 만나는 개항장 인천』(공저), 『譯註 邵城續錄』(공역), 『譯註 照會程式』(공역), 「인천지역 설화를 통해 본 인천의 지역성 탐색」 등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현재 인천대 인천학연구원 상임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인하대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이연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1년 대전 출생. 인하대 박사(문학박사) 『역주 인천항관초(상·하)』(공역), 『역주 3항구관초』(공역), 『역주 조회정식』(공역) 등의 역·저서와 「한시 비평에 있어서의 시품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현재 인천고전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면서 인하대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문

<역주 구한국외교문서 <청안(淸案)> · 1>을 출간한 지 8년 만에 <역주 구한국외교문서 <청안(淸案)> · 11>을 출간하게 되었다. 이로써 <구한국외교문서> 가운데 <청안(淸案)>의 역주(譯註) 작업이 마무리되었다.
<구한국외교문서>는 1876년 2월부터 1906년 2월까지 조선 외부(外部)와 조선 주재 각국 공사관 또는 영사관과 주고받은 공문서를 편집한 것으로, 일안(日案) · 청안(淸案) · 미안(美案) · 영안(英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청안>은 고종(高宗) 20년(1883)에서 광무(光武) 9년(1905)에 이르는 20년 동안 조선 외부(外部)와 조선 주재 청국(淸國) 공관과 외교상 주고받은 문건으로 총 41책, 2,631개의 안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과 중국과의 외교문서로는 정조(正祖) 8년(1784)에 정창순(鄭昌順) 등이 왕명에 따라 정편(正編)을 편찬하기 시작하여 그 후로 고종(高宗) 18년(1881)까지 필요에 따라 속편(續編)을 편찬한 <동문휘고(同文彙考)>가 있다. <청안(淸案)>은 그 뒤를 이어 중국과 주고받은 구체적이며 직접적인 외교문서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청안(淸案)>에 1894년 청일전쟁 이후로 4년 이상의 문서가 전혀 없으며, 그 외의 문서 가운데에도 빠진 부분이 있다.
또한 본 역서 역시 ‘청안(淸案)’이란 제명(題名)을 썼으나 전 41책 가운데 29책까지는 ‘화안(華案)’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안건의 본문에서도 예를 들어 중국 상인을 ‘화상(華商)’이라고 표기하다가 ‘청상(淸商)’으로 바뀐다. 이는 청일전쟁 이후로 조선이 독립국임이 천명되면서 바뀐 것이다.
1883년부터 1905년까지 조선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과 조선 주재 청국 공사 사이에 주고받은 외교문서로 총 41책, 2,631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인천 개항, 청일전쟁, 을사늑약, 러일전쟁 등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들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역서에서는 <역주 구한국외교문서<청안(淸案)> · 10>에 이어 39책에서 41책까지를 번역하였다. 끝부분에 25책의 일부가 번역되었는데, 이는 원본 주에서 ‘본 문서 이하는 주청거래안(駐淸去來案)에 속하는 문건이나, 청안(淸案) 25책 중에 삽입된 관계로 말미에 편집함’이라고 하였듯이, <청안(淸案)>에 편집되었기에 이를 따른 것이다.
<역주 구한국외교문서 <청안(淸案)> · 11>을 출간함으로써 <청안(淸案)>이 완역되었다. 구한말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 연구의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역서는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에서 영인한 <구한국외교문서>를 텍스트로 삼아 역주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