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카이스트, 미래를 여는 명강의 2014

카이스트, 미래를 여는 명강의 2014

(무엇이 우리의 삶을 바꾸는가?)

이민화, 오상록, 이상엽, 오태광, 정윤, 진달용, 정재승, 김형준, 박성필, 이규용, 홍상표 (지은이), 이광형, 임춘택 (엮은이)
푸른지식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000원 -10% 550원 9,350원 >

책 이미지

카이스트, 미래를 여는 명강의 201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카이스트, 미래를 여는 명강의 2014 (무엇이 우리의 삶을 바꾸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9828207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3-12-23

책 소개

각각의 과학 분야에서 40여 년 넘게 연구해온 카이스트 최고의 지식인들이 미래전략연구센터에서 했던 특강을 모은 것이다.

목차

서문 어떻게 미래를 선도해 갈 것인가

1. 미래예측
스테퍼(STEPPER)를 선점하고 메시아(MESIA)를 육성하라
임춘택,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부교수 / 미래전략대학원 겸임교수

2. 중국
동아시아 시대에 앞서 우리의 성공전략을 점검하라
정윤, 카이스트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장 / 미래전략대학원 겸직교수

3. 뇌과학
좌.우뇌 균형의 시대가 온다
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뇌공학과 부교수 / 미래전략대학원 겸임교수

4. 콘텐츠
상상력에 테크놀로지를 입혀라
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

미래를 여는 팁 1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이민화, 카이스트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초빙교수


5.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 혁신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
진달용, 카이스트 과학저널리즘프로그램 겸임교수

6. 지식재산
보이지 않는 전쟁, 우리만의 특화된 무형자산을 선점하라
박성필, 카이스트 지식재산프로그램 초빙교수


7. 환경
환경과 발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라
이규용, 김앤장 법률사무소 상임고문


8. 로봇
1가구 1로봇 시대, 로봇이 당신 모르게 생활을 바꾼다
오상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봇기술플랫폼 사업단장


9. 항공우주
최첨단 지식기반의 항공우주산업이 나아갈 길
김형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상무

10. 생명공학
100세 시대, 지속적인 행복을 위한 과학
오태광,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미래를 여는 팁 2
다보스포럼 세계 10대 이머징 테크놀로지 2012-2013
이상엽,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11. 벤처
대학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7가지 제안
이광형, 카이스트 바이오뇌공학과 교수

저자소개

이민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벤처의 선구자’ 이민화 회장은 한국 벤처의 효시 메디슨을 설립하여 세계적 의료기기 회사로 성장시키며, 새로운 u-healthcare, mobile 혁명의 초석을 만들었다. 1995년 벤처비전 2005 발표, 벤처기업특별법 제정 등 수많은 벤처정책을 입안하며 한국의 벤처대국 입지형성에 기여하였고, 2009년 초대 기업호민관으로서 중소기업 관련 규제 발굴 및 불합리한 규제 해소를 위해 활동했고, KAIST에서 한국의 벤처산업 육성에 크게 기여한 공헌을 기리고자 ‘이민화 홀’ 명명식을 가졌으며, 차세대 영재기업인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KAIST IP-CEO를 만들어 미래 벤처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였다. 2013년 민간 정책 싱크네트워크 KCERN을 설립하여 국가적 혁신과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최근에는 벤처기업협회, 과학기술총연합회와 함께 데이터 족쇄풀기 서명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는 등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을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경영, 초생명기업, 한국벤처산업발전사, 호모 모빌리언스, 끝나지 않은 도전, 기업가정신 2.0, 메디슨 마피아 이야기,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 자기조직화하는 스마트 시티4.0 등 4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펼치기
오상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을 맡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봇기술플랫폼 사업단장이다.
펼치기
이상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이자 연구부총장. 대사공학, 합성생물학, 시스템생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석학이다.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연료, 바이오플라스틱, 천연물 및 의약품 생산 기술을 개발하며, 지속 가능한 바이오 산업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화학공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4년부터 KAIST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2025년 현재 국가바이오위원회 부위원장이다. 세계 3대 과학 아카데미인 미국국립과학원, 영국왕립학회, 미국공학한림원 모두에 외국회원으로서 이름을 올린 세계에서 유일한 과학자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공학한림원의 정회원이며 중국공정원의 외국원사로도 선임되었다. 그 밖에 미국미생물학술원, 미국의생명공학원, 미국발명가협회, 미국과학진흥협회, 미국화학공학회, 미국산업미생물생명공학회, 세계과학한림원의 펠로이기도 하다. 세계경제포럼의 생명공학 글로벌 미래 위원회와 미래기술 글로벌 어젠다 위원회 의장을 지낸 바 있다.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삼성 호암공학상, 포스코 청암과학상,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대한민국학술원상, 그리고 에너지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에니상, 삼손 이스라엘총리상, 제임스 베일리상, 마빈 존슨상 등 국내외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760편 이상의 학술논문을 발표했고, 860건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Systems Biology and Biotechnology of Escherichia coli》(2009), 《Systems Metabolic Engineering》(2012), 《Metabolic Engineering》(2021)을 편집 또는 공동편집했고, 《작지만 위대한 미생물 세상: 미생물 공학》(2008)을 썼다.
펼치기
오태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서울대학교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했으며, 동대학교에서 미생물 효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30여 년간 미생물 연구로 국제학술논문과 특허 등 400여 건의 연구성과를 이루었다.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 미생물 프론티어 사업단장을 10년 동안 하면서 미생물 자원 확보 세계 1위, 중요 미생물들의 유전체 분석, 독도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독도 명칭 사용, 45건 이상의 미생물 관련 특허 기술 이전, 미생물에 대한 국가 인프라 구축 등 우리나라 미생물 연구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 이러한 결과를 인정받아서 과학기술 유공자 훈장(2008년), 미생물학회 학술대상(2012), 공로상(2008년)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보이지 않는 지구의 주인 미생물』이 있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한국미생물학회 회장, 미생물 관련 5개 학회 연합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정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카이스트 지식재산대학원,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초빙교수다. 서울대 자원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재료공학과, 영국 셰필드대 신소재공학과에서 공부했으며, 한양대학교 재료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대사관 초대 과학관, 과학기술부 차관,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을 지냈고, 대통령 표창, 근정포장, 황조근정훈장 등을 받았다.
펼치기
진달용 (엮은이)    정보 더보기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School of Communication at Simon Fraser University)의 특훈교수이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Global Professor)이다. 문화일보에서 기자(사회부·경제부) 생활을 했으며, 일리노이 주립대학(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 주립대학 시카고 캠퍼스에서 방문 조교수, 카이스트(KAIST)에서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연세대학교 방문 교수(2014~2015년, 2021~2022년)로도 근무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플랫폼과 게임 연구, 글로벌라이제이션, 커뮤니케이션 기술 정책론, 비판 커뮤니케이션, 비판 문화연구, 과학 저널리즘 등이다. 주요 저서로 New Korean Wave: Transnational Cultural Power in the Age of Social Media(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6), Digital Platforms, Imperialism and Political Culture(Routledge, 2015), Deconvergence of Global Media Industries(Routledge, 2013), Hands On/Hands Off: The Korean State and the Market Liberalization of the Communication Industry(Hampton Press, 2011), Korea’s Online Gaming Empire(MIT Press, 2010), Artificial Intelligence in Cultural P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Platforms(Routledge,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정재승 (기획)    정보 더보기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이자 융합인재학부 학부장이다. 복잡계 및 통계물리학적인 접근을 통해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고 이를 정신질환 모델링, 뇌-기계 인터페이스, 인간 뇌를 닮은 인공지능 및 소셜 로봇 개발에 적용하는 학자다. 〈네이처〉를 포함해 세계적인 학술지에 120여 편의 논문을 출간한 바 있으며, 국내외 학술상을 여럿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열두 발자국》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학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상무를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박성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경제학 석사, Northwestern University School of Law 법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지식재산전략-한국발명진흥회. 공저> 가 있고, 현재 KAIST 법률자문교수. 미국변호사(미시건주)이며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KAIST 지식재산 대학원 프로그램 책임교수(미래전략대학원 초빙교수)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이규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행정대학원 수료 후, 서울시립대 에서 환경공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8년 제21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법제처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고,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근무한 후, 1990년부터 환경부에서 근무하면서 주요 과장과 대변인, 대기보전국장, 수질보전국장, 환경정책국장, 기획관리실장 및 차관을 거처 환경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환경행정의 성장기에 물, 대기, 폐기물, 환경영향평가, 환경기술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 개발, 제도 발전 및 운용에 참여하였다. 2008년부터 현재까지 김앤장법률사무소의 상임고문으로서 경제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분야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자문을 하고 있다.
펼치기
홍상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합통신 외신부에서 사회부와 정치부 기자 생활을 거쳐 前 YTN 보도국장을 역임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통령 홍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는 한콘국텐츠진흥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펼치기
이광형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와 카이스트에서 산업공학 학사, 석사, 프랑스 리옹 국립응용과학원(INSA Lyon)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카이스트 17대 총장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이고,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위원, 대법원 대법관추천위원장, 교육부 교육정책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다. 국민훈장 동백장(2016), 녹조근정훈장(2020) 등을 받았고, 주요 연구 분야는 생물정보학, 인공지능 등이며, 저서로 《미래의 기원》(2024), 《거꾸로 질문하고 스스로 답을 찾는 아이》(2023), 《우리는 모두 각자의 별에서 빛난다》(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는 한 세대 만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지구상의 유일한 나라다. 특히 대기업 중심의 산업 발전이 주효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나무가 크면 그늘도 크듯이, 이제는 이러한 체제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10대 대기업이 우리나라 GDP의 50%를 차지하는 지나친 편중 현상이 그것이다. 대기업은 효율성은 뛰어나지만 혁신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국민소득은 2007년에 1인당 2만 달러에 도달한 이후 6년간 제자리 상태다. 게다가 성장잠재력은 계속해서 하락 추세에 있으며, 노령인구 증가로 부양인구는 늘어가는데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창의와 혁신이 멈춘 자리에는 퇴보와 도태만이 있다는 걸 역사는 증명한다.


매출 1조 원을 돌파한 대표적인 벤처기업인 휴맥스의 변대규 사장도 유사한 이야기를 했다. 창업 초기 5년간 개발한 제품 모두가 실패했고, 벤처창업에서 기업성장에 14년, 운영혁신에 7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현재 위치에 오기까지 20년의 긴 세월이 걸렸다는 것이다. 가장 빨리 변화하고 있는 전자산업의 예를 보더라도 한 분야에서 승자가 되려면 적어도 10년 이상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그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즉, 변화의 속도가 아무리 빨라 보여도 그 뿌리는 이렇게 오랜 세월 투자한 곳에 있으므로, 멀리 미래를 예측한 후 미래전략을 세워 장시간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


애플이나 구글의 성공과 우리의 IT산업을 비교해보면 역시 창조적인 기업이 어떻게 변화를 시키는지에 대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애플은 콘텐츠 중심의 스마트모바일
시장을 크게 키워냈고, 구글도 개방형 운용체제를 이용해서 안드로이드 네트워크를 거대하게 키웠다. 우리 역시 IT산업을 잘 키워 성공했지만 너무 하드웨어 중심적으로 치우친 것에 대한 자체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8282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