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88998439781
· 쪽수 : 848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_ 주영하
해제 한국에서의 비판적 음식학 연구를 위하여 _ 주영하
서문 _ 제프리 M. 필처
1부 음식의 역사
1장 음식과 아날학파 _ 시드니 와츠
2장 음식의 정치사 _ 엔리케 C. 오초아
3장 음식의 문화사 _ 제프리 M. 필처
4장 음식의 노동사 _ 트레이시 도이치
5장 음식의 공공역사 _ 레이나 그린
2부 음식학
6장 음식과 젠더 문제 _ 캐럴 커니핸
7장 음식의 인류학 _ R. 켄지 티어니, 에미코 오누키-티어니
8장 음식의 사회학 _ 시에라 버넷 클라크, 크리슈넨두 레이
9장 음식의 지리학 _ 버티 만델블랫
10장 비판적 영양학 _ 샬럿 빌테코프
11장 음식 교육 방식 _ 조너선 도이치, 제프리 밀러
3부 생산수단
12장 농업 생산과 환경의 역사 _ 스털링 에번스
13장 역사 기록물로서의 요리책 _ 켄 알바라
14장 음식과 제국 _ 제이에타 샤르마
15장 산업식품 _ 가브리엘라 M. 페트릭
16장 패스트푸드 _ 스티브 펜폴드
4부 음식의 전파
17장 음식, 이동, 그리고 세계사 _ 도나 R. 가바치아
18장 중세의 향신료 무역 _ 폴 프리드먼
19장 콜럼버스의 교환 _ 레베카 얼
20장 음식, 시간, 그리고 역사 _ 일라이어스 맨더러
21장 식품체제 _ 앙드레 마냥
22장 음식관광 _ 루시 M. 롱
5부 음식공동체
23장 음식과 종교 _ 코리 E. 노먼
24장 음식, 인종, 그리고 민족성 _ 용 첸
25장 민족 음식 _ 앨리슨 K. 스미스
26장 음식과 윤리적 소비 _ 레이첼 A. 앙키니
27장 음식과 사회운동 _ 워런 벨라스코
감사의 말
참고문헌
필자 소개(글 게재순)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그렇다고 1장부터 읽을 필요는 없다. 구미가 당기는 글부터 읽어도 무방하다. 글을 읽다가 나오는 사건을 ‘구글링’ 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면, ‘비판적 음식인문학’의 새로운 세상을 만나게 되는 기쁨을 더욱 맛볼 수 있다.
끝으로, 음식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한 가지 존재론적 질문이 오랫동안 끊이지 않고 이어졌다. 우리는 과연 우리가 연구하는 분야가 독자적 방법론과 논문들이 있는, 그리고 다른 학문 분야의 혁신적 연구에 단순히 기대지 않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방식으로 더 폭넓은 지식을 추구함으로써 과거의 지적 채무를 갚을 수 있는 독자적 학문 분야라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까?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이 질문에 대해 한 가지 견해나 의제를 강요하지 않으면서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긍정적 대답을 제시해줄 것이다.
음식의 역사가 본격적인 학문적 연구 대상으로 떠오른 것은 프랑스 아날학파학자들이 역사학 분야에서 중대한 분기점을 마련하고 난 뒤부터였다. 이러한 변화는 제2차 세계대전 전에 시작되어 수십 년 뒤에 마침내 사회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제도권에서 자리를 차지하면서 구체적 모습을 갖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