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2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2 (영문판)

(순수이성비판. 2부 (칸트 철학))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부크크(bookk)
20,2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200원 -0% 0원
0원
20,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OD]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2 (영문판) (순수이성비판. 2부 (칸트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91127262099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9-02-12

목차

순수이성비판. 2부 (칸트 철학) :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2 (영문판)

World Classic Reading Book
(세계고전문학리딩북)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 추천 도서
-연세대 권장도서 200권 추천 도서
-고려대 권장도서 필독서 추천 도서

CONTENTS

PREFACE

THE CRITIQUE OF PURE REASON. Vol. 2

SECOND DIVISION—TRANSCENDENTAL LOGIC
TRANSCENDENTAL DIALECTIC. INTRODUCTION.
I. Of Transcendental Illusory Appearance.
II. Of Pure Reason as the Seat of Transcendental Illusory Appearance.
TRANSCENDENTAL DIALECTIC—BOOK I—OF THE CONCEPTIONS OF PURE REASON.
Section I—Of Ideas in General.
Section II. Of Transcendental Ideas.
Section III. System of Transcendental Ideas.
TRANSCENDENTAL DIALECTIC—BOOK II—OF THE DIALECTICAL PROCEDURE OF PURE REASON.
Chapter I. Of the Paralogisms of Pure Reason.
Chapter II. The Antinomy of Pure Reason.
Section I. System of Cosmological Ideas.
Section II. Antithetic of Pure Reason.
Section III. Of the Interest of Reason in these Self-contradictions.
Section IV. Of the necessity imposed upon Pure Reason of presenting a Solution of its Transcendental Problems.
Section V. Sceptical Exposition of the Cosmological Problems presented in the four Transcendental Ideas.
Section VI. Transcendental Idealism as the Key to theSolution of Pure Cosmological Dialectic.
Section VII. Critical Solution of the Cosmological Problem.
Section VIII. Regulative Principle of Pure Reason in relation to the Cosmological Ideas.
Section IX. Of the Empirical Use of the Regulative Principle of Reason with regard to the Cosmological Ideas.
I. Solution of the Cosmological Idea of the Totality of the Composition of Phenomena in the Universe.
II. Solution of the Cosmological Idea of the Totality of the Division of a Whole given in Intuition.
III. Solution of the Cosmological Idea of the Totality of the Deduction of Cosmical Events from their Causes.
IV. Solution of the Cosmological Idea of the Totality of the Dependence of Phenomenal Existences.
Chapter III. The Ideal of Pure Reason.
Section I. Of the Ideal in General.
Section II. Of the Transcendental Ideal (Prototypon Trancendentale).
Section III. Of the Arguments employed by Speculative Reason in Proof of the Existence of a Supreme Being.
Section IV. Of the Impossibility of an Ontological Proof of the Existence of God.
Section V. Of the Impossibility of a Cosmological Proof of the Existence of God.
Section VI. Of the Impossibility of a Physico-Theological Proof.
Section VII. Critique of all Theology based upon Speculative Principles of Reason.
Appendix. Of the Regulative Employment of the Ideas of Pure Reason.

II. Transcendental Doctrine of Method
Chapter I. The Discipline of Pure Reason.
Section I. The Discipline of Pure Reason in the Sphere of Dogmatism.
Section II. The Discipline of Pure Reason in Polemics.
Section III. The Discipline of Pure Reason in Hypothesis.
Section IV. The Discipline of Pure Reason in Relation to Proofs.
Chapter II. The Canon of Pure Reason.
Section I. Of the Ultimate End of the Pure Use of Reason.
Section II. Of the Ideal of the Summum Bonum as a Determining Ground of the Ultimate End of Pure Reason.
Section III. Of Opinion, Knowledge, and Belief.
Chapter III. The Architectonic of Pure Reason.
Chapter IV. The History of Pure Reason.

저자소개

임마누엘 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Preußen) 쾨니히스베르크(K?nigsberg)에서 수공업자의 아 들로 태어났다. 1730~32년까지 병원 부설 학교를, 1732~40년까지 오늘날 김나지움(Gymnasium)에 해당하는 콜레기움 프리데리키아눔(Collegium Fridericianum)을 다녔다. 1740년에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 입학해 주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공부했다. 1746년 대학 수업을 마친 후 10년 가까이 가정교사 생활을 했다. 1749년에 첫 저서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을 출판했다. 1755/56년도 겨울학기부터 사강사(Privatdozent)로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자연신학 원칙과 도덕 원칙의 명확성에 관한 연구』(1764)가 1763년 베를린 학술원 현상 공모에서 2등상을 받았다. 1766년 쾨니히스베르크 왕립 도서관의 부사서로 일하게 됨으로써 처음으로 고정 급여를 받는 직책을 얻었다. 1770년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의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담당하는 정교수가 되었고, 교수취임 논문으로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를 발표했다. 그 뒤 『순수이성비판』(1781), 『도덕형이상학 정초』(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비판』(1790), 『도덕형이상학』(1797) 등을 출판했다. 1786년 여름학기와 1788년 여름학기에 대학 총장직을 맡았고, 1796년 여름학기까지 강의했다. 1804년 2월 12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고 2월 28일 대학 교회의 교수 묘지에 안장되었다. 칸트의 생애는 지극히 평범했다. 그의 생애에서 우리 관심을 끌 만한 사건을 굳이 들자면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1793) 때문에 검열 당국과 빚은 마찰을 언급할 수 있겠다. 더욱이 중년 이후 칸트는 일과표를 정확히 지키는 지극히 규칙적인 삶을 영위한다. 하지만 단조롭게 보이는 그의 삶은 의도적으로 노력한 결과였다. 그는 자기 삶에 방해가 되는 세인의 주목을 원하지 않았다. 세속적인 명예나 찬사는 그가 바라는 바가 아니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